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Tear and th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Index on MRI Findings

자기공명영상 상 전방십자인대 파열과 후방십자인대 곡선값의 연관성

  • Kang Jae Do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Wallace Memorial Baptist Hospital) ;
  • Kim Kwang Yu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Wallace Memorial Baptist Hospital) ;
  • Kim Hyung Cheo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Wallace Memorial Baptist Hospital) ;
  • Lee Sung Chu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Wallace Memorial Baptist Hospital)
  • 강재도 (왈레스 기념 침례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김광열 (왈레스 기념 침례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김형천 (왈레스 기념 침례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이성춘 (왈레스 기념 침례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2.12.01

Abstract

Propose : The purpose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test th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PCL index) for diagnosis of a tear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by means of MR imaging. Materials and Methods : From Mar. 1997 to Feb. 2001, concomitant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nd knee joint arthroscopy were performed in 56 patients of either pain or instability of the knee.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femoral and tibial attachment of PCL (X) and the distance from that line to the tip of the arc marked by the PCL (Y) on the sagittal plane images were measured. The quotient of these two parameters (Y/X) defined the PCL index. Results : Using MRI diagnosis, there were 35 patients diagnosed with ACL rupture and 21 patients were ruled out of ACL injury. Using arthroscopy, 32 of the 35 patients diagnosed by MRI showed ACL rupture, and 20 of the 21 patients were ruled out of ACL injury. The mean PCL index was 0.40 in the 33 patients diagnosed with ACL rupture through arthroscopy. The mean PCL index was 0.23 in 23 patients with an uninjured ACL through arthroscopy. In 33 patients with ruptured ACL, this value exceeds 0.31. The index value was 0.31 in 3 patients with uninjured ACL. The value of the index was not above 0.31 with an uninjured ACL. PCL index on MRI had a sensitivity of $91\%$ and a specificity of $94\%$ for determining the status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Conclusion : Injury to the ACL changes the PCL index markedly. In diagnostically unreliable MR images, amelioration of the PCL index could help in the diagnosis of ACL injury.

목적 : 전방십자인대 파열의 MRI상 간접소견인 후방십자인대 곡선값(PCL index)의 통계학적인 의의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7년 3월부터 2001년 2월까지 슬관절 동통 및 불안정성으로 내원한 총 56명을 대상으로 자기공명 영상소견과 관절경을 이용하였다. 시상면에서 대퇴골의 후방십자인대 부착부위와 경골의 후방십자인대 부착부위의 거리(X)를 표시한후, 이 선에서 후방십자인대에 내린 가장 큰 수선거리(Y)를 표시하여 Y/X를 후방십자인대 곡선값으로 정의하였다. 결과 : 자기공명영상에서 35명을 전방십자인대 파열, 21명을 정상인 전방십자인대로 진단하였으며, 관절경으로 35명중 32명이 전방십자인대 파열, 21명중 20경이 정상인 전방십자인대로 확인하였다. 총 33명에서 관절경으로 전방십자인대 파열을 확인하였으며, 후방십자인대 곡선값의 평균은 0.40기었으며, 층 23명에서 정상인 전방십자인대의 후방십자인대 곡선값의 평균은 0.23이었다. 파열된 33명의 환자에서 후방십자인대 곡선값은 0.31을 초과하였다. 정상인 전방십자인대의 후방십자인대 곡선값에서 3명은 0.31이었으며, 그 외에는 후방십자인대 곡선값이 0 31을 초과하지 않았다. 자기공명영상에서 전방십자인대 파열을 후방십자인대 곡선값으로 결정함에 있어서 민감도 $91\%$와 특이도 $94\%$이었다. 결론 : 전방십자인대 손상시 후방십자인대 곡선 값에 영향을 주었으며, 후방십자인대 곡선 값은 자기공명영상에서 파열의 직접소견이 보여지지 않을 때 진단에 도움이 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