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ity and Privatism: Social Dimensions of the Mobile Phone

이동성, 그리고 사인주의: 이동전화의 사회적 함의

  • Published : 2002.05.13

Abstract

The mobile phone is a medium of mobility in the sense that it makes possible anytime, anywhere communications. It is also a medium of privatism as it opens for the users an exclusive communication space that marks private territoriality. These two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the mobile phone are usually interpreted as part of its technical properties and convenience it provides to the users. But mobility is offered not just for the sake of mobility, nor privatism is for the sake of privatism. There are certain social and political economic conditions that enhance and even force us to be mobile and private. The mobile phone symbolizes this kind of world order in which mobility and privatism condition our social life-world.

이동전화는 언제 어디서나 소통을 가능케 한다는 뜻에서 이동성의 통신매체이며, 또한 개인적 통신수단을 넘어, 사적 공간을 의미하는 개개인의 독립적인, 그리고 배타적인 소통행위의 영역을 만들어 낸다는 의미에서 사인주의적 매체이다. 이동 전화에서 볼 수 있는 이같은 이동성과 사인주의적 성격을 우리는 대체로 이동전화의 기술적 특성, 또는 편리함 정도로 이해하고 있다. 그러나 이동성은 이동 그 자체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사인주의 또한 사인주의 그 자체가 목표는 아니다. 이동성과 사인주의에는 우리로 하여금 그렇게 생활하고 생각하게끔 요구하는 특정한 정치경제적, 사회적 조건들이 존재한다. 이동전화는 우리에게 이같은 이동적이며 사인주의적인 방식의 삶을 강제하는 오늘날의 사회적 질서체계를 상징하는 정보통신 매체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