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urvey on Practices and Attitude toward Wedding Food among Housewives in Busan and Kyungnam Area

부산.경남지역 주부들의 혼례음식 관행과 태도에 관한 조사

  • Kim, Kyong-Myo (Japanese Restaurant, Paradise Hotel in Busan) ;
  • Kim, Kyung-Ja (Department of Food & Nutrition, Dong-A University) ;
  • Shin, Ae-Sook (Department of Hotel Culinary Arts, Yangsan College)
  • 김경묘 (파라다이스 호텔 일식당) ;
  • 김경자 (동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신애숙 (양산대학 호텔조리과)
  • Published : 2002.07.31

Abstract

This study is to describe practices of and attitude toward traditional wedding food and the attitude of housewives toward the traditional wedding food in Busan metropolitan and Kyungnam province area. Data were analyzed from the convenient sample of 525 housewives collected from September 20 to September 28, 2001. As for the necessity of traditional wedding food, the most popular food was ebagee food, pebaek food, yedan food in order. Of the various kinds of traditional wedding food, table setting for parent-in-law was chosen as the most popular on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education level and age were statistically associated with perception of traditional wedding food being necessary as a ritual thing. The respondents preferred rice cakes as wedding food to fishes, fruits, traditional sweets and skewered slices of seasoned meats.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think current practices of wedding food is prodigal and has to be done in thrifty manner. As a ritual practices of wedding food were to be readjusted to the change of social custom depending on the degree of modernization. More than half (52.1%) of the housewives expected traditional wedding food should fade away. A conclusion was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modernized wedding food reflecting traditional wedding customs with economic costs.

본 연구는 우리의 전통혼례음식을 발전시키기 위한 기초자료 수집의 일환으로서 부산, 경남지역 주부들의 혼례음식에 대한 관행 및 견해를 조사한 것이다. 응답한 525부의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는 부산지역 주부들이 77.9%, 경남지역 주부들이 22.1%이었으며, 30대가 34.5%, 40대가 31.8%를 차지하였고, 전업주부가 43.5%, 직장인이 34.7%, 고졸이 49.3%, 수입정도는 100만원대가 44.2%, 핵가족의 구성이 66.9%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2. 이바지음식, 폐백음식, 예단음식의 필요성은 이바지음식의 필요성이 가장 점수가 높았고$(3.36{\pm}0.93)$, 연령이 높을수록 높은 점수를 보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학력이 낮을수록 폐백음식(p<0.01), 예단음식(p<0.01)의 필요성에 높은 점수를 나타내어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또한 수입정도가 높을수록(p<0.01), 핵가족 및 기타의 가족구성(p<0.05)이 이바지음식의 필요성에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3. 봉치떡, 신부큰상, 시부모큰상, 함, 혼서지 등의 필요성은 시부모큰상이 $3.19{\pm}0.97$로 가장 높은 점수이며, 연령이 높을수록 봉치떡, 함, 혼서지에 유의적(p<0.001)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고, 신부큰상, 시부모큰상에도 유의적인 차이(p(0.01)를 나타냈다. 학력이 낮을수록 봉치떡(p<0.01), 함(p<0.05), 혼서지(p<0.05)의 필요성에 대체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4. 혼례음식의 종류 중 가장 선호하는 것은 떡(58.4%), 생선류(27.3%), 과일류(17.0%), 한과류(16.1%), 산적류(14.1%)의 순으로 나타났다. 5. 현행 혼례음식에 대한 견해는 좀더 간소화하여야 한다가 64.4%, 생략되어야 한다가 17.8%로 나타났으며 연령별(p<0.001), 직업별(p<0.01), 가족구성별(p<0.05)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6. 현행 혼례음식의 상차림의 실천에 대한 견해는 간소화 한다 57.5%, 양가가 의논해서 23.4%로 나타났으며 직업별(p<0.05)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7. 자녀를 결혼시킬 때 혼례음식을 장만하는 방법에 대한 견해는 손수 장만하겠다는 비율이 30.1%, 주문하겠다 28.7%로 나타났으며 연령별(p<0.01) 직업별(p<0.05)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8. 주부들 자신이 혼주가 되었을 때 음식차림의 정도에 대한 견해는 양가 상의 하에 간소화하겠다가 51.0%, 보통이면 만족하겠다 19.8%, 기본적인 것만 해도 좋다 1%로 나타났다. 이는 연령별(p<0.05), 직업별(p<0.05), 학력별(p<0.05), 가족구성별(p<0.05)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9. 혼례음식의 전수와 보존에 대한 견해는 조금씩 사라질 것이다가 52.1%, 유지될 것이다 21.8%로 나타나 연령별(p<0.001), 직업별(p<0.01)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 연령이 높을수록 전통을 유지하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0. 혼례음식과 예식절차와의 관계에 대한 견해는 시대에 따라 변해야 된다 57.5%, 너무 겉치레이다 17.9%로 나타났다. 연령별(p<0.001), 학력별(p<0.05)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1997년 이후 일부 계층의 부의 과시처럼 혼례음식을 준비하는 경향이 이루어져 극도로 사치화 하는 혼례음식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나타내었지만 1999년 1월 6일자로 "가정의례의 정착 및 지원 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므로 인해 전면 허용됨에 따라 우리의 혼례음식 또한 그와 더불어 더욱 고급화, 허례허식화 된 것에 그 원인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신식혼례에 혼례음식은 전통을 고수18)한다는 명목하에 일부 부유층에서는 다시 혼례의 사치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최근 세계화는 곧 우리의 전통문화를 알리는 것이라는 목소리에 주부들이 전통음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이는 학습으로 연결되어 많은 주부들이 혼례음식을 배우고 있기 때문에 혼례음식의 인지도가 높아진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아직도 현시대에 맞는 적합한 모델이 제시되지 않은 상태이고 혼례음식 또한 혼례풍습과 함께 이어져 나갈 것은 확연한 사실이므로 이에 우리는 현시대에 맞는 적합한 모델을 찾아야 할 것이다. 즉 혼례음식이 가지는 기복의 의미를 되살리고 혼례음식을 준비하는 우리의 주부들의 사회, 경제적 부담을 줄이면서 전통계승을 살릴 수 있는 모델의 제시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Kang IH. Korean Rite of Passage Food. Korean J. DietaryCulture. 11(4): 541,1996
  2. Yun SS. History of dietary life Culture. Shinkwang Co., Seoul,435,2000
  3. Kang YJ. etc. Life Culture & Etiquette. Education Sdence Co.24,1999
  4. 奏者家禮
  5. LeeJ, 四禮便覽
  6. Lee HG. Food Culture of Korea, Shinkwang Co., Seoul, 49, 2001
  7. Han JS, Han GP, Sung SH, Joe YS. A Survey on Awarenss and Use for Traditional Foods of Housewives in Kyong-buk A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0(6): 480, 2000
  8. Shin AS, Kim KK. Dietary Behaviors of Adults for Health in UIsan City. Korean J. Dietary Culture. 15(1): 17, 2000
  9. Chyun. JH. A Study on Health, Anthropometry and Food Behavior of the Elderly living in Inchon. Korean J. Dietary Culture. 14(5): 517, 1999
  10. Cheong HS. A Study on the Food Habit and Food Preference of Mean in Kyung Nam Area. Korean J. Dietary Culture. 14(3): 189, 1999
  11. Shin AS. Kim KK. Consumption Pattern of Meals among Ulsan City Residents. J. of the East Asian of Dietary Life. 9(2): 135,1999
  12. Kang US. Chyun JH. A Study on Korean Tradidonal Food Use Patterns in Households of Middle Aged Women living in Kyunggido and Incheon Area. Korean J. dietary Culture. 13(5): 461,1998
  13. Lee HG. Choi YJ. Dietary Survey in Kyunggido Area. Korean J. Dietary Culture. 13(5): 393.1998
  14. Yoon SK. Park MN. The Study of Dietary Culture in East Cost Area in Kyungpook Province(I). Korean J. Dietary Culture. 14(2): 67,1999
  15. Yoon SK. Park MN. The Study of Dietary Culture in East Cost Area in Kyunspook Province(II). Korean J. Dietary Culture. 14(2): 83,1999
  16. Cho HJ. Cho JA. Choi SE. A Study of Housewives' Attitudes on the Fesdve Days and Dishes in Korea. J. of the East Asian of Dietary Life. 8(3): 235,1998
  17. SPSS Base 7.5 for Windows, User's Guide. Spss Inc. 1997
  18. Jung HK. etc. A Survey on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Korean Traditional Weddine Food. Korean J. Dietary Culture. 12(4): 425,1997
  19. Yun SK. Traditional Wedding Food Culture of Kyungsando Area. Korean J. Dietary Culture. 12(2):227, 1997
  20. Shin AS. A Research of Traditional & Native Local Food in Busan. Culinary Research. 6(2): 78,2000
  21. Cho YS. Hong SO. Han JS. A Survey on Traditional Food of City Housewives Korean J. Dietary Culture. 13(3): 175,1998
  22. Jane EJ. Lee YK. Lee HG. The Study for Consciousness, Dietary Life Behaviors on Korean Traditional Food. Korean J. Dietary Culture, 11(2): 179,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