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화학II 교과서의 STS 내용 분석

An Analysis of STS Contents in the High School Chemistry(II) Textbook

  • 김정태 (부산 금정고등학교) ;
  • 김윤희 (경상대학교 생산기술연구소) ;
  • 문성배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화학교육과)
  • Kim, Jung-Tae (KumJung High School) ;
  • Kim, Yun-Hi (Research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Moon, Seong-Bae (Department of Chemistry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2.02.20

초록

본 연구는 제6차 교육과정에 의해 편찬된 7종의 검인정 화학Ⅱ 교과서 중 STS 내용의 포함정도를 알아보고 STS 내용을 단원별, Piel의 주제영역별, 활동영역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교과서에 STS와 관련된 내용이 어느 정도 반영되고 있고 교과서가 교육과정 목표에 어느 정도 부합되는지를 알아보았다. 7종의 화학Ⅱ 교과서에서는 STS 교육내용이 교과서 지면의 평균 2.7%를 차지하고 있었다. STS 내용의 단원별 분포를 보면 화학결합과 화합물에 3.8%, 원자구조와 주기율 3.2%, 물질의 상태와 용액 2.2%, 물질의 과학에 1.9%, 화학반응 1.9%로 화학결합과 화합물에 STS 내용이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Piel의 STS 주제영역에 따른 STS 교육내용을 살펴보면 기술발달의 영향이 33.7%, 환경문제와 천연 자원의 이용이 27.5%, 인간공학이 19.6%, 에너지가 13.8%, 과학의 사회학이 5.4%이었고, 인구 및 우주개발과 국방에 관련된 내용은 모든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지 않았다. STS 주제를 단원별로 분석한 결과를 보면 에너지는 화학결합과 화합물 및 화학반응 단원에, 인간공학, 환경문제와 천연자원의 이용 및 기술발달과 영향은 화학결합과 화합물에 주로 포함되어 있었다. 그리고 과학의 사회학은 원자구조와 주기율 및 화학반응 단원에 주로 포함되어 있었다. STS 교육내용을 SATIS의 활동영역에 따라 분석한 결과는 조사연구와 사례연구가 대부분이었다. 현장활동, 문제해결과 의사결정 및 모의 실험은 매우 적게 나타났으며 역할놀이는 어느 교과서에서도 다루고 있지 않았다.

The STS contents, emphasized in the 6th curriculum, in the chemistry textbooks(II) were analyzed. The STS contents in textbooks showed average value of 2.7%. The chapter of ‘chemical bond and compound' were included 3.8% of STS contents. And the chapter of ‘atomic structure and periodic table', ‘state of material and solution', ‘science of material', and ‘chemical reaction' contained 3.2%, 2.2%, 1.9%, and 1.9% of STS contents, respectively. When the STS contents were analyzed by STS topics of Pi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33.7% on effect of technological developments, 27.5% on environmental quality and utilization of natural source, 19.6% on human engineering, 13.8% on energy, and 5.4% on sociality of science. However, there were no topics on population, space research and national defense. When the STS contents were analyzed by student activities of SATIS, most of the activities were research and case study. There were few field activities of practical investigation, problem solving and decision making, research design and stimulation. There were no activities of role play.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순자; 최명희; 이정아 한국생물교육학회지 1994, 11, 225.
  2. 송진웅; 박승제; 장경애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92, 12, 109.
  3. 백성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1.
  4. 백성혜 과학교육공동세미나 및 학술발표회 1992, 38.
  5. 권재술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91, 11(1), 117.
  6. Yager, R. E.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988, 88(3), 694.
  7. Yager, R. E. Iowa Science Teacher Journal 1990, 27(1). 2.
  8. Yager, R. E. The American Biology Teacher 1992, 54(6), 349. https://doi.org/10.2307/4449509
  9. 한국교육개발원 1992. 1.
  10. 허명 새교육 1991, 91(9), 8.
  11. 허명 한국학술진흥재단 연구보고서 1993, 1.
  12. 허명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교과교육연구, 1994, 3, 189.
  13. 하미경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91, 11(2), 79.
  14. 조정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91, 11(2), 87.
  15. 최병순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1992, 50.
  16. 김현재 한국초등과학학회 1992, 11(1), 16.
  17. 권용주 과학교육, 1992, 339, 66.
  18. 정완호; 권용주; 김영신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93, 13(1), 66.
  19. 김윤희; 권효진; 문정배 대한화학회지 1999, 43(3), 321.
  20. 최인영; 김윤희; 문성배 대한화학회지 2001, 45(2), 162.
  21. 김윤희; 문성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00, 20(2), 274.
  22. Piel, E. J. What Research Say to the Science Teacher; Washington D.C,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1981.
  23. 최경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94, 14(2), 192.
  24. Bybee, R. W. Science Education 1987, 71(5), 667. https://doi.org/10.1002/sce.3730710504
  25. NSTA An NSTA Position Statement, NSTA; Washington, D.C., 1982.

피인용 문헌

  1. 중등과학 물질 분야 탐구영역의 탐구 상황 및 탐구 용어에 대한 조사 . 연구 -중학 과학과 화학 I . II 교과서에 대하여- vol.49, pp.1, 2002, https://doi.org/10.5012/jkcs.2005.49.1.083
  2. 중등과학 물질 분야 탐구영역의 탐구 상황 및 탐구 용어에 대한 조사 . 연구 -중학 과학과 화학 I . II 교과서에 대하여- vol.49, pp.1, 2002, https://doi.org/10.5012/jkcs.2005.49.1.083
  3.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과학 교과서 화학 단원의 STS 교육 내용 분석과 화학 교사들의 STS 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vol.50, pp.2, 2002, https://doi.org/10.5012/jkcs.2006.50.2.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