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ERSONALITY TRAIT OF BULLYING & VICTIMIZED SCHOOL CHILDRENS

학령기 집단따돌림 피해 및 가해아동의 인격성향에 관한 연구 - 한국아동인성검사를 이용하여 -

  • Jhin, Hea-Kyung (Department of Adolescent Psychiatry, Seoul National Metial Hospital) ;
  • Kim, Jong-Won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
  • Choi, Yun-Jung (Hansol Neuropsychiatry Clinic)
  • 진혜경 (국립 서울정신병원 청소년 정신과) ;
  • 김종원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최윤정 (한솔 신경정신과 의원)
  • Published : 2001.06.30

Abstract

Bullying has recently become a serious social problem in Korean society. Bullying, which is defined as a phenomenon that one particular student is intensively and continuously harassed or ostracized by a group of students, is apt to produce harmful effects on bullies as well as victims. Bullying has many causes including those originated from the personality of victims and bullies. This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personality trait between victims, bullies, victims/bullies, and neith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5(115 male and 100 female) 6th-grade students in the primary school in Seoul. Questionnares were distributed to the students and their carers. The student carers were also asked to answer the questions for a survey called the Korean Personality Invertory for Children(KPI-C). SPSS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test information;ANOVA, post hoc scheffe test, and T-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ested groups.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1) The victims, bullies, victims/bullies and neither totaled respectively 11(5.1%), 56(26.0%), 11(5.1%) and 137(63.7%). 115 were male and 100 were female. 2) The frequency of victimized is as follows:1 time is 15(7.0%), 2 times is 4(1.9%) and more than 3 times is 3(1.4%). The frequency of bullying is as follows;1 time is 40(18.6%), 2 times is 17 (7.9%) and more than 3 times is 10(4.7%). 3) The differences between froups in KPI-C test is as follows. (1) The ESR(p=.00) scal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victims group than in the neither group and the HPR(p=.00) scale and PSY(p<.01) scal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ormer than in the latter. (2) The ESR(p=.00) scal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victims/bullies group than in the neither group and the SOM(p=.00) scale and HPR(p=.00) scal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ormaer than in the latter. (3) The SOC(p=.00) scale, PSY(p<.01) scale and AUT(p=.00) scal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victims group than in the bullies group. (4) There is statistically no difference between the bullies group and the neither group. To conclusion, Victims need to learn how to cope with harsh situations, or they will have to face difficulties in relationships. Even after they experience bullying, they may not realize why they have been bullied, or speak out for themselves.

최근 학교 아동들 사이에 집단따돌림현상이 문제화되고 있다. 학급에서 여러명의 학생이 특정 학생을 놓고 집중적으로 괴롭히고 따돌리는 현상은 비단 따돌림을 당하는 아동뿐만 아니라, 따돌림을 하는 아동들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따돌림의 원인은 다양하며 그중 따돌리거나 따돌림을 당하는 아동의 인격적 측면도 중요하리라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집단 따돌림의 피해군, 가해군, 피해 및 가해군과 무경험군 사이에 인격성향의 차이점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1999년 3월부터 1999년 8월까지 서울에 소재한 초등학교 6학년에 재학중인 아동 215명(남자 115명, 여자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아동과 아동의 보호자에게 집단따돌림의 여부에 관한 설문지를 배부하여 조사하였으며 아동의 보호자에게 한국아동인성검사(Korean Personality Inventory for Children, 1997)를 실시하여 아동에 관한 자료들을 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version 통계 처리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각 집단간 차이는 ANOVA, post hoc scheffe test, Student’s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피해군, 가해군, 피해 및 가해군과 무경험군은 각각 11명(5.1%), 56명(26.0%), 11명(5.1%), 137명(63. 7%)이었다. 2) 따돌림피해의 빈도에 있어 1회 15명(7.0%), 2회 4명(1.9%), 3회이상 3명(1.4%)이었다. 또한 따돌림 가해빈도는 1회 40명(18.6%), 2회 17명(7.9%), 3회이상 10명(4.7%)이었다. 3) 집단따돌림의 피해군, 가해군, 피해 및 가해군과 무경험군에 있어 한국아동인성검사상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무경험군에 비하여 피해군은 자아탄력성(p=.00)척도가 유의하게 낮았으며, 과잉행동(p=.00), 정신증척도(p<.01)는 유의하게 높았다. (2) 무경험군에 비하여 피해 및 가해군은 자아탄력성척도(p=.00)가 유의하게 낮았고, 신체화(p=.00). 과잉행동척도(p=.00)는 유의하게 높았다. (3) 가해군에 비하여 피해군은 사회관계(p=.00), 정신증(p<.01), 자폐증척도(p=.00)가 유의하게 높았다. (4) 가해군은 무경험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으로 보아 피해아동은 상황에 따른 적응력이 떨어져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며, 대인관계를 잘 갖지 못하고 행동이 부산하거나 충동적인 면이 있어 또래관계에서 소외되고, 정서적으로 불안정, 의사소통의 어려움 및 사회기술이 떨어지고 사회적으로 고립되는 인격성향을 보이며, 이러한 특성은 피해전의 특성일수도 있으나, 피해로 인해 생긴 문제일수도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피해 및 가해아동도 피해아동처럼 적응력이 떨어져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행동이 부산하거나 충동적인 면이 있으나 사회적 관계를 맺는 기술의 문제나 정신증적인 특성, 자폐증적인 특성을 보이지 않고, 자신이 피해후 갖게된 분노감, 우울, 불안 등을 신체화시키고, 그러한 느낌에서 벗어나기 위해 다른 친구를 가해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피해아동보다 피해후 발생하는 사회적 위축이나 적응상의 문제가 더 적을 것이다. 또한 가해 아동은 인격성향에 있어서 특이소견이 없었던 바 사회문화적, 교육적 측면에서의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