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의 치조제에 발생한 양성 종물

BENIGN TUMORS IN THE ALVEOLAR RIDGE OF NEWBORNS

  • 이제호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김소화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윤정훈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병리학교실) ;
  • 최병재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Lee, Jae-H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
  • Kim, So-Hwa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
  • Yun, Jung-Hun (Department of Oral Pathology,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
  • Choi, Byung-Jai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 발행 : 2001.05.31

초록

신생아에서 흔히 발생하는 연조직 종양으로는 신생아의 구개 및 치은 낭종(palatal & gingival cyst of the newborn), 선천성 치은종(congenital epulis), 혈관종(hemangioma), 기형종(teratoma), 화농성 육아종 및 자극성 섬유종(pyogenic granuloma & irritation fibroma)이 있다. 이렇게 신생아의 치조제에서 발생한 연조직 종양은 대부분 외과적으로 절제하여 치료하며, 치료하지 않는 경우 흡인(aspiration)으로 인한 기도 폐쇄 및 호흡 곤란, 구강으로 수유시 불편감, 비강으로 수유시 구토가 불가능해 흡인폐렴(aspiration pneumonia) 유발 가능성이 있다. 본 증례는 신생아의 치조제에 발생한 연조직 종양으로, 외과적으로 절제하여 치료하였으며, 조직 검사 소견상 화농성 육아종 및 자극성 섬유종과 유사하였지만 다핵형 거대세포(multinucleated giant cells)가 관찰되었고 선천적으로 발생하였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었다. 이 종물의 병리 기전은 아직까지 명확하지 않으며 어떤 특정 질환으로 포함시키는 데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The soft tissue tumors that occur commonly in newborn infants include palatal and gingival cyst of the newborn, congenital epulis, hemangioma, teratoma, pyogenic granuloma, and irritation fibroma. Such soft tissue tumors in the alveolar ridge of newborns are usually treated by surgical excision. If untreated, they can cause airway obstruction and breathing difficulty due to aspiration. They also cause discomfort during oral feeding. If nasal feeding is tried, since vomitting is impossible, there is a risk of aspiration pneumonia. In this case, a newborn infant visited our hospital with soft tissue tumor as chief complaint, and the infant was treated by surgical excision. It appeared to be similar to pyogenic granuloma and irritation fibroma upon histologic exam. However, it was different from those diseases since multinucleated giant cells were observed and it was congenital. The pathologic process of this neoplasm is not clear. This case is reported, since it is difficult to classify it as a specific diseas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