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HANGES IN POLYMERIZATION OF LIGHT-ACTIVATED COMPOSITE RESIN WITH VARIOUS EXPOSURE TIME AND DISTANCE

광중합형 복합레진의 중합시간과 거리에 따른 중합도의 변화

  • Ahn, Myung-Ki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Jeong, Tae-Su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im, Shi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안명기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정태성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김신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Published : 2001.05.31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distance of the light tip to the surface of restoration and exposure time on the polymerization of surface and 2mm below the surface of light-activated composite resins. Two light-activated composite resins were used. From the experimen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Relative light intensity rapidly decreased when distance of the light tip to the surface of material is more than 2mm(p<0.05). 2. In all groups, microhardness was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relative light intensity and exposure time(p<0.05). 3. The distance of the light tip to the surface of restoration and exposure time more affected 2mm below the surface rather than the surface(p<0.05). 4. Although exposure time was increased, difference of microhardness of the 2mm below the surface with the distance of the light tip to the surface of restoration was relatively high in Z100 between below 4mm and other groups and Z250 between below 2mm and other groups(p<0.05).

본 연구에서는 광중합형 복합레진을 대상으로 중합거리와 시간의 변화에 따른 중합도와 거리에 따른 적절한 중합시간을 알아보기 위하여 일정 중합 광도하에서 중합거리와 시간을 달리하여 재료의 표면과 2mm 하방의 미세경도를 측정한 후 이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중합도를 평가하였다. 광중합형 복합레진으로 Z100과 Z250을 사용하였고 각 재료별로 조사단과의 거리가 0, 2, 4, 6mm인 상태에서 20, 30, 40, 60, 80초간 광조사를 시행하였다. 중합 후 표층과 내층의 경도를 미세경도 측정기로 측정하였다. 측정치를 통계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거리의 증가에 따라 상대광도는 2mm이상에서 급격히 감소하였다(p<0.05). 2. 미세 경도는 상대광도와 조사시간의 증가에 따라 표층 및 내층에서 모두 증가하였다(p<0.05). 3. 내층이 표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합거리와 시간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p<0.05). 4. 조사 시간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Z100 시편에서 중합거리가 4mm 이하군과 6mm군에서, Z250 시편에서는 2mm 이하군과 4mm 이상군에서 내층의 미세 경도 차이가 비교적 크게 나타났다(p<0.05).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