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ifference of Interpretations of Cardiopulmonary Exercise Testing According to Interpretative Algorithms and Exercise Methods

분석 알고리즘과 운동방법에 따른 Exercise Test 결과의 차이

  • Park, Jae-Mi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Pochon CHA University) ;
  • Kim, Sung-Kyu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The Institute of the Chest Diseases,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박재민 (포천중문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성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폐질환연구소)
  • Published : 2001.01.30

Abstract

Background : Recently, cardiopulmonary exercise testing (CPX) has become a popular diagnostic method for differentiating the main cause of exertional dyspnea or exercise limitation. We evaluated the difference in the CPX results according to interpretative algorithms and the methals of exercise in Korea. Method : Sixty-six patients with chronic lung disease and 48 adults with dyspneic symptoms, but with no abnormalities in a spirometry performed symptom limited CPX,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results were interpreted using both Wasserman's(WA) and Eschenbacher's algorithm (EA), and a comparison between both algorithms was made. Thirty-three healthy medical students performed the CPX with a cycle ergometer and treadmill. The results were interpreted with EA and the concurrence in interpretations was evaluated accord ing to the methods of exercise. Results : 1. In patients with chronic lung disease, the overall concordance rate between the two algorithms was 63.6%. The concordance rates waw 69.8%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25.0% in those with restrictive, and 66.7% in those with mixed pulmonary insufficiency. In patients with dyspneic symptoms but normal findings in resting spirometry, the concordance rate was 60.4%. 2. In healthy medical students, in results inter preted with EA, the concordance rate between the cycle ergometer and treadmill exercise was 25.0%. Conclusion : Both interpretative algorithms and methods of exercise may affect the CPX results. In using CPX as a diagnostic test for the causes of dyspnea in the Korean population. the interpretative algorithms and method of exercise need to be standardized, and a predictive $VO_2$max equation needs to be established.

연구배경 : 심폐운동검사를 호흡곤란이나 운동제한의 주원인 감별을 위한 진단적 목적으로 이용시, 사용한 진단 알고리즘과 운동방법에 따른 분석결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차이가 있다면 그 원인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안정시 폐기능검사상 이상이 있는 만성폐질환자 66명, 운동시 호흡곤란을 호소하나 안정시 폐기능검사상 이상이 없는 환자 48명을 대상으로 자전거를 이용하여 증상 제한적 최대운동을 시행하고 Wasserman 등과 Eschenbacher 등이 제안한 진단 알고리즘을 이용 하여 분석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고, 건강한 의과대 32명을 대상으로 자전거와 답차를 이용하여 증상 제한적 최대운동을 시행한 후 Eschenbacher 등이 제안한 진단 알고리즘으로 분석후 운동방법에 따른 분석결과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 1) 호흡곤란을 주증상으로 호소하고 안정시 폐기능 검사상 미국흉부학회 기준에 부합하는 폐기능손상을 보이는 환자중 최근 2개월이내에 증상이 악화되지 않은 환자 66명을 대상으로 증상제한적 최대운동후 Wasserman 방식과 Eschenbacher 방식으로 해석후 비교하여 보았을 때 42명에서 일치하여 63.6%의 일치율을 보였다. 폐기능검사소견에 따라 구분하여 보면, 폐쇄성장애를 보인 경우는 43명중 30명으로 69.8%, 제한성장애를 보인 경우 8명중 2명으로 25%, 혼합성장애를 보인 경우 15명 중 10명으로 66.7%의 일치율을 보였다. 2) 임상적으로 심장질환은 의심되지 않으나 활동시 호흡곤란을 호소하고, 안정시 폐활량측정에서 정상소견을 보이는 48명을 대상으로 자전거를 이용한 운동 후 두 방식으로 분석 비교하였을 때 30명에서 일치하여 일치율은 60.4%이었다. 3) 호흡곤란 등의 호흡기계증상이 없고 안정시 폐활량검사상 정상인 건강한 의과대학 남학생 32명을 대상으로 자전거와 답차를 이용한 운동후 Eschenbacher 방식으로 해석한 결과 운동방법에 따른 일치율은 25% 이었다. 결론 : 이와 같은 결과로 진단 알고리즘 혹은 운동방법에 따라 결과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심폐운동검사를 호흡곤란이나 운동제한의 주원인 감별을 위한 진단적 목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한국성인에 적용할 수 있는 운동방법에 따른 진단 알고리즘을 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