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s of Green Tobacco Sickness: Occupational Nicotine Poisoning in Tobacco Harvesters in Korea

담배 재배 농부에서 발생한 담배잎농부병(green tobacco sickness) 증례

  • Lim, Hyun-Sul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Dongguk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Kwa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Dongguk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임현술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이관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Published : 2001.12.30

Abstract

Cases of green tobacco sickness were described. During the cutting of tobacco plants throughout harvest, four cases of green tobacco sickness occurred in August 2001, Korea. The range of age was 42-55 years. The most frequent symptoms included dizziness, weakness, nausea, vomiting, abdominal cramps, headache, and difficulty breathing. All affected individuals worked in fields of wet tobacco, where their clothes became wet from moisture on the plants or sweating. They were all healthy, except one with hypertension. They are all non-smokers. They recovered after fluid and antiemetic administrations within two days. Most of doctors misdiagnosed their symptoms as a pesticide poisoning or heat injury. Green tobacco sickness is a condition that has long been known as an occupational health risk among tobacco harvesters. Nicotine poisoning by dermal absorption is reported to be the cause of green tobacco sickness. In Korea, there are many tobacco harvesters, and most of them may be sticken with green tobacco sickness. But, no case of green tobacco sickness has been reported. We report cases of green tobacco sickness occurred to the tobacco harvesters with a review of articles.

증례들은 40대 남자 1명과 여자 1명, 50대 여자 2명이었다. 담배 농사는 모두 10년 이상 종사하였다. 모두 어지러움과 구역을 호소하였으며, 구토, 두통, 설사, 쇠약감 등의 증상이 있었다. 이런 증상은 담배를 집중적으로 수확하는 시기에 발생하였으며, 날씨가 덥거나 땀을 많이 흘리는 경우에 증상이 심했다. 이슬에 젖은 담배잎을 수학하면서 증상이 발현되는 경우도 있었다. 최근 2-3년 동안에 상기 증상들이 1년에 2-3차례 발생하였다. 남자 1명이 고혈압으로 치료하고 있는 것을 제외하면 병력상 특이점은 없었으며, 모두 비흡연자였다. 증례들은 약국과 병원에서 수액요법 등으로 1일 이내에 호전되었다. 우리 나라에서 담배잎농부병의 유병률, 발생률 및 위험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역학조사와 병 의원 감시체계를 가동하여야 한다. 담배잎을 수확하다가 어지러움과 구토를 주소로 내원하는 많은 사람들이 실제 담배잎농부병으로 진단되지 못하고 단순한 농약중독과 고온손상에 준하여 치료받는 경우가 많을 것으로 생각한다. 담배를 재배하는 농부는 물론 의료인에 대해서도 담배잎농부병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