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 Instability in the Korean Labor market: Comparison before and after the IMF Economic Crisis

외환위기 전후의 노동시장 불안정성에 대한 연구

  • Received : 2001.01.02
  • Accepted : 2001.02.20
  • Published : 2001.03.31

Abstract

This study first attempted to measure the job instability of Korean labor market by exploiting the data sets of 1998 and 1999 Korean Labor Panels. In order to compare the degrees of job instability of Korea with the one of U.S., we followed the same empirical methods used by Jaeger and Stevens(1999), Neumark et al.(1999), Bemhardt et al.(1999) recently published in the Journal of Labor Economics (vol. 17). Our empirical results suggest that the job retention rate of the Korean labor market during the IMF economic crisis was decreased to the level that the U.S. labor market has never experienced during the past two decades. One noticeable point regarding our estimated four year retention rate is that it takes a form of plateau peaked around 9 and 15 tenure year, which is in sharp contrast with the four year retention rate of u.S. showing a monotonically decreasing tendency over tenure periods. The comparison of 2-year retention rates before and after the economic crisis suggests that job stabilities has been conspicuously aggravated especially for cohorts of long tenure, irregular job, old age, service and sales jobs.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조사의 1~2차 자료를 이용하여, 외환위기 전후 한국 노동시장의 불안정성(instability) 정도와 그 변화를 측정하고 있다. 한국과 미국의 노동시장 불안정성 정도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미국 노동시장의 불안정성(instability)을 계측하려는 논문들과 가능한 동일한 방법으로 한국노동패널자료를 재구성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1995-99년 한국 노동시장의 4년 직장유지율(job retention rate)은 미국 1980~90년대의 최저치를 하회하는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 한국 노동시장의 불안정성이 상대적으로 심각함을 알 수 있었다. 한국 노동시장에서 보이는 독특한 양태는 근속기간이 증가해 감에 따라 4년 직장유지율이 점증하다가 9년 이상 15년 미만의 근속기간을 정점으로 다시 하락하는 역U자 모양을 따른다는 점이다. 1995~97년과 1997~99년의 두 상이한 기간을 대상으로 2년 직장유지율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외환위기의 영향이 거의 모든 계층에서 나타났다. 특히 장기근속자일수록, 비정규직일수록, 고연령층일수록, 그리고 생산직과 서비스 판매직에서 2년 직장유지율이 큰 폭으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나, 외환위기 이후 한국 노동시장 불안정성이 특정 계층을 중심으로 더욱 심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