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자개 (Pseudobagrus fulvidraco)와 밀자개 (Leiocassis nitidus)에 대한 피부점액세포의 조직화학 (Bagridae, Siluriformes)

Histochemistry of the Mucous Cells in the Skin of Pseudobagrus fulvidraco and Leiocassis nitidus (Bagridae, Siluriformes)

  • 김용호 (군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 이충렬 (군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 제갈승주 (원광보건대학 임상병리과)
  • Kim, Yong-Ho (Department of Biology, College of Natural Science, Kunsan National University) ;
  • Lee, Chung-Lyul (Department of Biology, College of Natural Science, Kunsan National University) ;
  • JyeGal, Sung-Ju (Department of Clinical Pathology, College of Wonkwang Health Science)
  • 투고 : 2001.03.20
  • 심사 : 2001.06.15
  • 발행 : 2001.06.28

초록

동자개과 (Bagridae) 어류에 속하는 동자개 (P. fulvidraco)와 밀자개 (L. nitidus)의 3부위 (등면, 측면 그리고 배면)의 피부 점액세포를 광학현미경하에 조직화학적인 방법으로 조사했다. 각 종의 피부에 존재하는 점액세포를 PAS, AB-PAS 그리고 HID의 염색방법을 통해 비교해 본 결과, 두 종간에 점액세포의 성분적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고, 그러나 조사 부위에서 점액세포의 위치, 형태, 크기 그리고 수에 있어서 차이가 존재했다. 동자개의 점액세포들은 편평상피세포층과 상피의 alarm substance cells (ASCs)층에 존재했다. 그러나 밀자개의 점액세포들은 편평상피세포층에만 존재했다. 상피의 ASC 층에 존재하는 점액세포는 편평상피세포층에 존재하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더 컸다. 편평상피세포층에서 두 종간 각 부위의 점액세포의 평균수는 이분산 T-test에 의해 인정되었고, 등분산 T-test에 의한 동자개의 두 층의 점액세포간의 평균수는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그리고 이분산 T-test에 의한 동자개와 밀자개 상피의 ASC 평균수는 등면과 배면에서만 차이가 인정되었다.

Skin mucous cells in the three regions of the body in Pseudobagrus fulvidaraco and Leiocassius nitidus were investigated using three histochemical methods (PAS, AB-PAS and HID). In the two species, components of mucous cell were not distinguished in each region, but presented a differences in position and type, size, and count in all regions. Mucous cells of P. fulvidraco were located in two layers, a superficial epithelial cell and the space within alarm substance cells (ASCs). Mucous cells of L. nitidus were situated only in the superficial epithelial cell layer. The size of mucous cells in the ASC layer were larger than those of the superficial epithelial cells for all measured values: diameter, length, width, and area. In the superficial epithelial cell layer, the average number of mucous cells within the three region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species by unpaired T-test, but the average number of those within two cell layers of P. fulvidraco had a similarity at each region by paired T-test. The dismilarity in dorsal and ventral regions in average number of ASCs between P. fulvidraco and L. niditus was confirmed by unpaired T-tes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