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환여과 사육시스템에서 급격한 염분변화에 따른 숭어 (Mugil cephalus)와 틸라피아 (Oreochromis niloticus) 치어의 아가미 조직과 체성분 변화

Changes of Gill Tissue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Grey Mullet (Mugil cephalus) and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to the Sharp Salinity Change in a Recirculating Rearing System

  • 허준욱 (부경대학교 양식학과) ;
  • 장영진 (부경대학교 양식학과) ;
  • 강덕영 (국립수산진흥원 거제수산종묘시험장) ;
  • 이복규 (동의대학교 생물학과)
  • HUR Jun Wook (Department of Aquacultur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CHANG Young Jin (Department of Aquacultur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KANG Duck-Young (Keoje Marine Hatchery,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LEE Bok Kyu (Department of Biology, Dong Eui University)
  • 발행 : 2001.01.01

초록

염분변화에 따른 숭어와 틸라피아의 아가미 조직과 전어체의 일반성분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사육수의 염분조절은 담수로부터 1일만에 $33\%_{\circ}$의 해수가 되도록 사육수를 교환하였고, 이후 15일 후에 다시 담수로 사육수를 교환하여 15일간 담수로 유지하였다. 전 실험기간중 숭어의 아가미 조직상은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틸라피아는 염분상승에 따른 조직의 손상이 관찰되었으며, 해수 2일째에는 아가미 2차 새변 (gill lamella)의 모세혈관들이 응혈 (bloodclot)되고 새변이 중첩되는 조직상을 보였다. 염분이 상승함에 따라 숭어의 아가미 염류세포는 개구부 (apical pit)가 뚜렷하였으며, 많은 수의 미토콘드리아를 가지고 있었다. 틸라피아에서는 실험개시시에는 염류세포 개구부가 거의 닫혀있는 형태를 나타냈으며, 미토콘드리아는 담수 보다 해수에서 증가되었다. 숭어 전어체의 수분 함량은 실험개시시 $74.0\pm0.6\%$, 해수사육 15일째 $73.6\pm0.5\%$, 담수사육 15일째 $74.5\pm0.3\%$로 서로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틸라피아에서는 실험개시시 $72.2\pm0.1\%$였다가 해수사육 2일째에는 $70.2\pm0.2\%$로 유의하게 낮아졌다. 숭어의 전어체 단백질 함량은 실험개시시와 15일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틸라피아의 지질 함량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회분 함량은 차이를 나타냈다.

Changes of gill tissue and body composition of grey mullet (Mugil cephalus) and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by the manipulation of salinity were observed in a recirculating rearing system. Salinity was increased from $0\%_{\circ}$ to $33\%_{\circ}$for 1 day and remained far 15days, thereafter salinity was decreased from $33\%_{\circ}$ to $0\%_{\circ{$ for 1 day and remained for other 15 days. Any morphological differences of gill lamella in grey mullet were not observed in seawater and freshwater. However, on day 2 in exposure to seawater, Nile tilapia showed the edema and bloodclot in gill lamella. In the case of grey mullet, mitochondria and tubular system of chloride cell were more densely packed according to the salinity increase. The whole body of grey mulle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isture content during experimental period. However, moisture content in whole body of the Nile tilapia was signincantly decreased when exposed to seawater. Protein content in whole body of grey mulle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eginning and day 15 of the experimen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