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출조건이 어분단백질 물성과 필름의 ester 화합물 투과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tracting Conditions on the Properties of Pish Meal Protein Isolates and the Permeability of Protein Film for Ester Compounds

  • YOU Byeong-Jin (Department of Food Science, Kangnung National University) ;
  • SHIM Jae-Man (Department of Food Science, Kangnung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1.07.01

초록

어분단백질의 이용성을 높이기 위한 가식성 혹은 생분해성 필름가공을 목적으로 알칼리 처리하여 제조된 FMPI의 물성과 이물성과 ester 화합물의 필름 투과율과 인장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어분으로부터 알칼리처리하고 추출조건을 달리하여 제조된 FMPI의 추출량은 추출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FMPI의 소수성은 추출시간 1시간일 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가 그 이상 추출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유화활성은 추출시간이 5시간까지 증가함에 따라 급격한 증가를 보였으며, 유화안정성은 추출시간 2시간까지 추출시간의 증가에 따라 급격한 감소를 보여 유화활성과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점도는 pH가 2일 때 가장 높게 나타났고 pH가 4일 때 가장 점도가 낮게 나타났다. 첨가하는 가소제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필름의 ethyl acetate의 투과도는 증가하였다. 가소제의 종류별에 따른 ethyl acetate의 투과도는 polyethylene glycol, glycerol 및 sorbitol 첨가 필름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ester 화합물 중에서는 ethyl formate의 투과속도가 가장 높았다.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ethyl acetate의 필름 투과속도는 증가하였다. FHPI의 표면소수성이 증가하면 필름의 인장강도가 증가하였다. 필름의 신장율은 FMPI의 표면소수성보다 가소제의 종류에 더 큰 영향을 받았다.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preparing edible or biodegradable film, fish meal protein isolates (FMPI) were prepared through alkaline extraction. And FMPI's properties and the ester compounds permeability of FMPI film were measured. FMPI were extracted under various extracting time with 0.2 N NaOH solution at $60^{\circ}C$, Recovery ratios of FMPI extracted from fish meal were increased with extracting time increasing. Surface hydrophobicity of FMPI extracted for 1 hr showed highest value. Emulsifying activity index (EAI) was increased with the increasement of extracting time but its emulsifying stability index (ESI) showed an inverse results. Viscosity of FMPI solution showed the highest value at pH 2 but showed the lowest value at pH 4, The higher concentration of sorbitol as plasticizer showed the higher ethyl acetate permeability of FMPI film, Ethyl acetate permeability of FMPI films according to kind of plasticizers showed different degree and increased in order as follow: polyethylene glycol, glycerol and sorbitol. Ester compounds having the lower molecular weight showed the higher permeability. Increment of temperature increased the ethyl acetate permeability of FMPI film. FMPI haying higher surface hydrophobicity made FMPI film be higher tensile strength. On elongation of FMPI films, kinds of plasticizer were more effective than surface hydrophobicity of FMPI.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