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양념과 유기산을 이용한 소형 적색육어 조미숙성제품 개발 2. 꽁치 조미숙성제품의 관능적 품질평가

Development of Conditioning for Small Red Muscle Fish Using Kimchi Seasoning Ingredients and Organic acids 2. Sensory Evaluation in Conditioned Saury with Kimchi Seasoning and organic acids

  • 임영선 (강릉대학교 동해안해양생물자원연구센터) ;
  • 정인학 (강릉대학교 해양생명공학부, 동해안해양생물자원연구센터)
  • LIM Yeong-Seon (East Coastal Marine Bioresources Research Center, Kangnung National University) ;
  • JEONG In-Hak (Faculty of Marine Bioscience & Technology/East Coastal Marine Bioresources Research Center, Kangnung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1.07.01

초록

소형 적색육어 중 꽁치, Cololabis saira를 김치와 같은 산성의 조미양념에 담금$\cdot$숙성하여 어육 및 등뼈의 연화와 잔뼈의 감소를 통해 whole 상태로 어린이도 뼈에 대해 아무런 걱정 없이 식용할 수 있도록 기호성이 있는 새로운 가공품을 제조하였다. 마른간 제품에 비해 물간 제품은 숙성 중 신맛, 부패취 및 조직의 과도한 연화로 인해 관능적 품질변화가 나빠졌으며, 이러한 요인들은 조리 후에도 여전히 남아있어 조미숙성제품 제조시 염 첨가방법은 마른간이 적합하였고, 구운 제품이 자숙한 제품에 비해 육즙의 유출량이 적은 관계로 모든 항목에서 관능적 기호도가 높아 조리법은 구이법이 적합하였다. 숙성 60일 후 물간 제품의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histidine, leucine, glutamic acid, alanine, valine 등으로 나타났으며, 미강 첨가유무에 관계없이 마른간 제품에서는 histidine, glutamic acid, arginine, leucine, alanine 등으로 나타나 염첨가방법에 따른 유리아미노산 조성의 차이를 보였다. 마른간을 하고 미강을 첨가한 제품은 첨가하지 않은 제품에 비해 색택, 맛, 조직감이 향상되어 관능적 기호도가 가장 높았다. 유리아미노산 총량, 정미성 아미노산 함량, 잔뼈의 감소 및 등뼈 강도의 연화 개선 능도 첨가하지 않은 제품보다 높아 조미숙성제품 제조시 마른 간을 하고 미강을 첨가하는 것이 저이용 자원의 활용 측면에서 상업적 제품화가 기대된다.

In odor to improve preference to small red muscle fish such as saury, sardine, herring, etc., a new seasoning and conditioning process was experimented using kimchi seasoning ingredients and organic acids. The sensory profiles during 60 days of conditioning at $5^{\circ}C$ showed better results in dry salting than in wet salting. The additions of rice bran in dry salting gave advantageous effect on the sensory evaluation of conditioned saury with kimchi seasoning. The counts of remained fine bones and hardness of backbones after 60 days of conditioning were about $50\%\;and\;23\%$ in wet salted product, and $38\sim41\%$ and $11\sim14\%$ in dry salted product respectively, as compared to raw saury, The decomposition of protein to amino acids was more severe in wet salted product than in dry salted product. Histidine, leucine, glutamic acid, alanine, and valine in order were abundant in wet salted product, but histidine, glutamic acid, arginine, leucine, and alanine in order were contained plentifully in dry salted produc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