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diction of the Variation in Annual Biomass of White Croaker Argyosomus argentatus in Korean Waters using Leslie Matrix

한국 연근해 보구치, Argyrosomus argentatus의 Leslie Matrix에 의한 자원변동 예측

  • LEE Sung Il (Department of Marine Production Management,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ZHANG Chang Ik (Department of Marine Production Management,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이성일 (부경대학교 해양생산관리학과) ;
  • 장창익 (부경대학교 해양생산관리학과)
  • Published : 2001.09.01

Abstract

Prediction of the variation in annual biomass was conducted for the white croaker. Argyrosomus argentatus in Korean waters using leslie Matrix, based upon fishery data for the past 21 years and biological data, We used density-independent and density-dependent Leslie Matrix models. Similar parameters were estimated from two models except that the density-dependent model was influenced by the density effect variable, q(i,t), The eigenvalue of the white croaker population for the $1984\~1995$ period was estimated to be 0.8, indicating a declining pattern of the population. The survival rate of 0-th year class was calculated to be 0.00005. Based on the schedule of the age-specific survival rate and fecundity, the future biomass and catch was predicted for various levels of fishing mortalities (F), If F was set at 0.252/yr ($F_{35x}$) or 0.368/yr ($F_{0.1}$), the biomass and catch increased, and if F was set at 0.922 ($F_{current}$), the biomass and catch decreased, The fishing mortality at equilibrium was estimated to be 0.7/yr. Finally, the management strategy of the white croaker was discussed.

한국 연근해 보구치 자원의 지난 21년간 ($1975\~1995$년) 자원량을 이용하여 추정된 고유치는 밀도 독립적인 경우와 밀도 종속적인 경우 약 0.8 정도로 감소하는 추세에 있었으며, 밀도 종속적인 경우 상수 a는 $5.234\times10^{-10}$이였다. 그리고 보구치 자원의 연령별 출생율은 1세 1,053에서 6세 310,803의 범위였고, 연령별 생잔율은 1세 1,053 에서 6세 310,803의 범위였으며, 초기생잔율은 0.00005였다. 자원량 및 어획량 예측치는 추정된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밀도독립적인 경우와 밀도 종속적인 경우의 Leslie Matrix에 적용해서 추정하였는데, 이때 어획사망계수가 $F_{35\%}$$F_{0.1}$, 수준인 0.252/yr와 0.368/yr에서 자원량과 어획량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밀도 송속 적인 경우 밀도 효과의 부여는 환경수용력 (carrying capacity)을 산출하므로 보다 현실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평형상태시의 어회 사망계수는 약 0.7/yr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남획상태에 있는 한국 연근해 보구치 자원을 Leslie Matrix에 적용시켜 자원량 및 어획량 변동을 예측해 봄으로써 남획으로 인해 고갈되어 가는 보구치 자원을 회복시킬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