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ductivity Analysis and Improvement of the System Form Construction in the Apartment Housing Project

공동주택 SYSTEM FORM 공사의 생산성 분석 및 향상방안 제안

  • 김도형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 김경래 (한양대학교 건축학부)
  • Published : 2001.09.01

Abstract

Application of system form is very effective to continuous horizontal or vertical walls of the apartment housing. Though the system forms that are used in the construction field have the advantage of concrete quality improvement and increasing number of usages, there are some problems in reaching early planning scheduling goal due to schedule delay and low productivity. This study is initiated to solve the problem and suggest some improvements searching for reasons that diminish the productivity. A case study was done in apartment construction field where system form was used and the productivity is analyzed by work sampling. Finally, productivity improvements for assembly of the form, internal form and external form are suggested, respectively.

벽식 구조 공동주택(고층아파트)은 수평, 수직구조체가 동일하게 연속되므로 시스템거푸집 시공이 효율적이다. 그런데 현재 많은 고층 건축물 시공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시스템 거푸집은 전용횟수의 증대와 콘크리트 품질향상의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공장 제작되어 현장 반입된 후 2차 조립 과정중의 공기지연 및 시공초기의 인력과다투입 등으로 초기 계획공정달성에 많은 애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각각의 노무자들이 실제 생산적인 작업에 소비하는 시간 비율과 공사지연의 정도 및 원인 등을 평가대상으로 생산성 저하의 원인을 찾아내어 개선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시스템거푸집 공정을 수행하고 있는 아파트 신축현장을 선택하여, 다양한 생산성 분석방법 중의 하나인 워크샘플링(Work Sampling)를 통하여 생산성을 분석한 후, 크루발런스스터디(Crew Balance Study)를 통하여 생산성 향상방안을 현장조립공정과 내부 폼(form)작업, 외부 폼(form)작업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