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오오도비스기

Search Result 10,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지질시대 및 지구조별 국내대리석 석재자원의 분류와 물성

  • 윤현수;홍세선;박덕원;이병대;김주용
    • Proceedings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2.10a
    • /
    • pp.153-169
    • /
    • 2002
  • 국내 대리석류 석재자원은 지질시대 및 지구조별로 선캠브리아기의 경기육괴와 영남육괴, 시대미상의 옥천대 남서부, 캠브리아-오오도비스기의 옥천대 북동부 그리고 일부 기하시대의 옥천대 북동부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전자는 변성퇴적암류내에 협재된 결정질 석회암, 화강암질 편마암내 포획된 결정질 석회암 등s으로 경기육괴의 포천, 김포, 온수리, 목계와 신림도폭 그리고 영남육괴의 춘양, 현동, 울진, 중평동 장기리와 장계도폭 등이 해당된다. 시대미상암류는 옥천대 남서부로서 목계 충주 괴산, 강경, 남원과 송정도폭, 그리고 캠브리아기는 풍촌석회암으로 임계, 호명, 서벽리도폭 등이 해당된다. 오오도비스기는 정선석회암이 분포하는 석병산, 평창, 정선과 임계도폭, 화천리층이 분포하는 문경도폭, 그리고 황강리도폭 등이 해당한다. 기타시대는 시대미상의 각력질 석회암과 상부석탄기의 홍점층군내 협재하는 결정질 석회암으로 이들은 각각 정선도폭과 석병산도폭에 위치한다. 선캠브리아기, 시대미상, 캠브리아기 및 오오도비스기 대리석류의 물성 중에서 흡수율과 공극율은 선캠브리아기, 오오도비스기 시대미상과 캠브리아기의 순으로 점차 감소한다 이들의 공극율은 비중에 대하여 대체로 불규칙하며, 흡수율은 공극율에 대하여 거의가 뚜렷한 정의 상관관계를 이룬다. 압축강도는 공극율에 대하여 다소 불규칙한, 그리고 인장강도에 대하여 정의 상관관계를 이룬다. 그리고 마모경도는 압축강도와 인장강도에 대하여 대체로 뚜렷한 정의 경향을 각각 보인다. 이들 대리석류는 선캠브리아기 중경암-경암, 시대미상 중경암-경암, 캠브리아기 거의가 중경암-경암, 그리고 오오도비스기는 경암에 각각 해당한다.역할을 충실히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과학기술의 급격한 발달, 소비패턴의 변화, 생활환경과 삶의 질을 중시하는 새로운 가치관의 확산 등으로 광업의 역할도 새로운 변화의 전기를 맞이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국내광업이 21C 급변하는 산업환경에 적응하여 생존하기 위해서는 각종 첨단산업에서 요구하는 소량 다품종의 원료광물을 적기에 공급 할 수 있는 전문화된 기술력을 하루속히 확보해야 하며, 이를 위해 고품위의 원료광물 확보를 위한 탐사 및 개발을 적극 추진하고 가공기술의 선진화를 위해 선진국과의 기술제휴 등 자원산업 글로벌화 정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삶의 질을 향상시키려는 현대인의 가치관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각종 소비제품의 원료를 제공하는 광업의 본래 목적 이외에도 자연환경 훼손을 최소화하며 개발 할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어려움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이처럼 국내광업이 안고 있는 여러 가지 난제들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업계와 정부가 합심하여 국내광업 육성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새로운 마음가짐으로 관련 정책을 수립 일관성 있게 추진해 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브랜드 이미지와 서비스 품질과의 관계에서 브랜드이미지는 서비스 품질의 선행변수가 될 수 있음을 증명하였으며 4개 요인의 이미지 중 사풍이미지를 제외한 영업 이미지, 제품 이미지, 마케팅 이미지가 서비스 품질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지각된 서비스 품질과 가격 수용성과의 관계에서, 서비스 품질은 최소 가격에 신뢰서비스 요인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부가서비스, 환경서비스에서는 역의 영향을

  • PDF

지질시대 및 지구조별 국내대리석 석재자원의 분류와 물성

  • 윤현수;홍세선;박덕원;이병대;김주용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2.10a
    • /
    • pp.153-169
    • /
    • 2002
  • 국내 대리석류 석재자원은 지질시대 및 지구조별로 선캠브리아기의 경기육괴와 영남육괴, 시대미상의 옥천대 남서부, 캠브리아-오오도비스기의 옥천대 북동부, 그리고 일부 기타시대의 옥천대 북동부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전자는 변성퇴적암류내에 협재된 결정질 석회암, 화강암질 편마암내 포획된 결정질 석회암 등s으로 경기육괴의 포천, 김포, 온수리, 목계와 신림도폭 그리고 영남육괴의 춘양, 현동, 울진, 중평동, 장기리와 장계도폭 등이 해당된다. 시대미상암류는 옥천대 남서부로서 목계, 충주, 괴산, 강경, 남원과 송정도폭, 그리고 캠브리아기는 풍촌석회암으로 임계, 호명, 서벽리도폭 등기 해당된다. 오오도비스기는 정선석회암이 분포하는 석병산, 평창, 정선과 임계도폭, 화천리층이 분포하는 문경도폭, 그리고 황강리도폭 등디 해당한다 기타시대는 시대미상의 각력질 석회암과 상부석탄기의 홍점층군내 협재하는 결정질 석회암으로, 이들은 각각 정선도폭과 석병산도폭에 위치한다. 선캠브리아기, 시대미상, 캠브리아기 및 오오도비스기 대리석류의 물성 중에서 흡수율과 공극율은 선캠브리아기, 오오도비스기, 시대미상과 캠브리아기의 순으로 점차 감소한다. 이들의 공극율은 비중에 대하여 대체로 불규칙하며, 흡수율은 공극율에 대하여 거의가 뚜렷한 정의 상관관계를 이룬다. 압축강도는 공극율에 대하여 다소 불규칙한, 그리고 인장강도에 대하여 정의 상관관계를 이룬다. 그리고 마모경도는 압축강도와 인장강도에 대하여 대체로 뚜렷한 정의 경향을 각각 보인다. 이들 대리석류는 선캠브리아기 중경암-경암, 시대미상 중경암-경암, 캠브리아기 거의가 중경암-경암, 그리고 오오도비스기는 경암에 각각 해당한다.하고 구현 단계의 문제점들과 해결책을 기술한다. 다 솔레노이드방식 감압건조장치로 건조한 표고버섯으로 품위에 대한 유의성 검증결과, 표고버섯의 경우 온도별로는 색택과 복원률, 건조실 내부 압력별로는 수축률, 복원률에서 유의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라. 본 연구에서 구명된 감압건조특성을 기초로 하여 배치식 감압건조기를 설계 제작에 활용하고자 한다.ational banks. Several financial interchange standards which are involved in B2B business of e-procurement, e-placement, e-payment are also investigated.. monocytogenes, E. coli 및 S. enteritidis에 대한 키토산의 최소저해농도는 각각 0.1461 mg/mL, 0.2419 mg/mL, 0.0980 mg/mL 및 0.0490 mg/mL로 측정되었다. 또한 2%(v/v) 초산 자체의 최소저해농도를 측정한 결과, B. cereus, L. mosocytogenes, E. eoli에 대해서는 control과 비교시 유의적인 항균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S. enteritidis의 경우는 배양시간 4시간까지는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지만, 8시간 이후부터는 S. enteritidis의 성장이 control 보다 높아져 배양시간 20시간에서는 control 보다 약 2배 이상 균주의 성장을 촉진시켰다.차에 따른 개별화 학습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학습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향은 패션마케팅의 정의와 적용범위를 축소시킬 수 있는 위험을 내재한

  • PDF

태백산지역에서는 고도별 Karst Terrain의 비교 연구

  • 윤영숙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5 no.6
    • /
    • pp.31-39
    • /
    • 1980
  • 우리나라에는 캠브로-오오도비스(Cambro-Ordovician)기에 속하는 조선누층군의 대석회암통이 넓게 분포되어 있어 석회암지대 특유의 Karst지형을 이루는 곳이 많다. 본 논문의 연구대상지역은 고생대 캠브로-오오도비스기의 조선계 대석회암통에 속하는 옥천지향사의 북부태백산지구를 중심으로 한 석회암 분포지역 중에서 Sinkhole terrain이 비교적 잘 발달되고 해발고도가 상이한 3개 지역을 선정하였다.(중략)

  • PDF

Facies and sequence analysis on the Lower Ordovician Mungok Formation (전기 오오도비스기 문곡층의 시퀀스 및 상 분석)

  • Choi Yong Seok;Lee Yong Il
    • The Korean Journal of Petroleum Geology
    • /
    • v.9 no.1_2 s.10
    • /
    • pp.1-15
    • /
    • 2001
  • Hierarchically controlled sequence stratigraphic analysis shows that the Lower Ordovician mixed carbonatesiliciclastic Mungok Formation, Korea consists of three depositional sequences: T1, T2, and T3 in ascending order. Sequence boundaries are generally marked by abrupt transition from coarse-grained shallow-water carbonates to finegrained deeper-water carbonates mixed with fine-grained siliciclastics, and show indication of subaerial exposure such as karstification. Within this sequence stratigraphic framework, facies characteristics indicate that the Mungok sequences were mostly deposited on a subtidal ramp without slope break. The Mungok ramp had been under the influence of frequent tropical storm activity during deposition. The difference in lithology of tempestites seems to have been controlled by the nature of substrates and by proximality. High-frequency cycles consist of upward-shallowing facies successions. Cycles of shallow-water and basinal deposits are not well represented, probably due to cycle amalgamation. Cycle stacking patterns do not show a consistent thickness change that is usually associated with a large-scale sea-level change probably because of unfilled accommodation space.

  • PDF

영월 쌍용리 연당리 일대의 Karst 지형에 관한 연구

  • 유재신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4 no.5
    • /
    • pp.27-35
    • /
    • 1979
  • 우리나라에는 캠브로-오오도비스기에 속하는 조선누층군의 석회암이 넓게 분포되어 있는데 그들은 3개의 분포지역으로 구분된다. 즉 평안지향사, 삼척지향사 및 옥천지향사와 기타 소규모의 분포를 이루는 지역들이다. 이들 지역에는 국지적으로 Karst지형의 특징이 잘 관찰된다. 우리나라의 Karst 지형에 대한 연구는 개략적인 조사와 연구에 의하여 발표된바 있다.(중략)

  • PDF

삼척지역의 karst terrain에 관한 고찰

  • 정미숙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5 no.6
    • /
    • pp.23-30
    • /
    • 1980
  • 한반도 각지에는 캠브로-오오도비스기(Cambro-Ordovician)에 속하는 두터운 석회암층이 분포되어 있어 석회암지대 특유의 karst지형을 형성하는 곳이 많다. 그들은 3개의 분포지역으로 구분되는데, 즉, 평안지향사, 삼척지향사 및 옥천지향사 기타 소규모의 분포를 이루는 지역들이다. 이들 지역에는 국지적으로 karst지형의 특징이 잘 관찰되고 있다.(중략)

  • PDF

Occurrence, physical and petrochemical properties of the marbles by geological ages in South Korea (국내 대리석류의 지질시대별 산출 및 물리화학적 특성)

  • 윤현수;박덕원;이병대;홍세선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13 no.4
    • /
    • pp.429-444
    • /
    • 2003
  • Domestic marbles are mostly distributed in Gyeonggi and Yeongnam Massifs, southwest and northeast Ogcheon Belts, which belong to Precambrian, age-unknown, Cambrian-Ordovician ages, respectively. The former marbles occur as interbedded rocks in metasediments and xenoliths in granitic gneisses. Age-unknown ones occur as interbedded in the formations of Hyangsanri, Gyeomyeongsan, Hwajeonri and Munjuri, and some in metasedimentary rocks. The latter ones occur as interbedded in Pungchon Limestone, and in Jeongseon Limestone, Hwacheonri Formation and Great Limestone Group, respectively. Among physical properties, porosity shows irregular patterns to density and compressive strength, respectively. Absorption ratio has a linear pattern of positive trend to porosity, and compressive strength mostly shows a positive trend to tensile strength. Compressive strengths of the marbles are as follows : Precambrian $1,106{\;}kg/\textrm{cm}^2$, age-unknown $935{\;}kg/\textrm{cm}^2$. Cambrian $1,162{\;}kg/\textrm{cm}^2$ and Ordovician $1,560{\;}kg/\textrm{cm}^2$, respectively. Tensile strengths have decreasing trends as the above order of geologic age. In diagrams of major elements, $Al_2O_3,{\;}Fe_2O_{3(t)}{\;}and{\;}Na_2O+K_2O$ generally show positive trends with increasing $v_2$. MgO/CaO of Precambrian and age-unknown marbles have much higher values than Cambrian and Ordovician marbles as follows, Precambrian 0.31, age-unknown 0.30, Cambrian 0.03 and Ordovician 0.08. And MgO shows a negative trend with increasing CaO, which nay be caused by dolomitization. By MgO contents they can be classified into calcitic dolomite, dolomitic limestone, limestone and dolomitic limestone, respectively.

Diagenetic history of the Mungok Formation near Machari area, Yongweol, Kangwondo, based on Textural, Isotopic, and Chemical Analyses (강원도 영월군 마차리 부근에 분포하는 오오도비스기 문곡층의 속성역사)

  • Woo Kyung Sik;Choi Seung Jin
    • The Korean Journal of Petroleum Geology
    • /
    • v.1 no.1 s.1
    • /
    • pp.1-13
    • /
    • 1993
  • The diagenetic history of the carbonate rocks of the Mungok Formation near Machari area, Kangwondo, was investigated based on textural, isotopic, and chemical data. Paragenetic relationship among diagenetic minerals, coupled with their distinct geochemical contents, shows that the Mungok Formation have undergone several stages of diagenetic events: 1) shallow marine, 2) meteoric, 3) shallow to intermediate burial, and 4) deep burial diagenesis. Shallow marine diagenesis includes fibrous calcite cementation, micritization, and framboidal pyritization, and meteoric diagenesis involved dissolution and recrystallization of unstable allochems (both aragonite and HMC), syntaxial overgrowth on echinoderm fragments, and equant calcite cementation. During shallow to intermediate burial, idiotopic dolomite and chert formed, and xenotopic dolomitization took place before stylolitization of the rocks. After the rocks were deeply buried, saddle dolomitization, second stage of silicification, and dedolomitization occurred.

  • PDF

The Mineralogy and Chemistry of Clay Minerals of the Middle Ordovician Jigunsan Formation: Implications for the Metamorphic Grade (중부오오도비스기 직운산층 점토광물의 광물학적 및 화학적 연구: 변성정도에 대한 의의)

  • Ko, Hee-Kyeong;Lee, Yong-Il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4 no.1
    • /
    • pp.32-42
    • /
    • 1991
  • Illite 'crystallinity' and chlorite chemistry are applied to the evaluation of the thermal grade of the Jigunsan Formation. Illite 'crystallinity' value of the formation has the range fom 4.48 to 32.5 in Weaver index (W.I.) and from $0.14{{\Delta}{\circ}}\;2{\Theta}$to $0.03{{\Delta}{\circ}}\;2{\Theta}$in kubler index (K.I). Most of illite 'crystallinity' values in this formation belong to the epizone field (K.I.<$0.21{{\Delta}{\circ}}\;2{\Theta}$). The chemistry and calculated temperature of chlorites from this formation (Fe/(Fe+Mg)=0.45, Tet. Al/Octa. Al=0.84, the calculated temperature=250-270${\circ}C$) are similar to those of epizone chlorites in the literature. The results of this work show that the metamorphic grade of the Jigunsan Formation belongs to the epizone and the formation is believed to have been reached paleotemperatures of at least 300${\circ}C$.

  • PDF

Stratigraphic response to tectonic evolution of sedimentary basins in the Yellow Sea and adjacent areas (황해 및 인접 지역 퇴적분지들의 구조적 진화에 따른 층서)

  • Ryo In Chang;Kim Boo Yang;Kwak won Jun;Kim Gi Hyoun;Park Se Jin
    • The Korean Journal of Petroleum Geology
    • /
    • v.8 no.1_2 s.9
    • /
    • pp.1-43
    • /
    • 2000
  • A comparison study for understanding a stratigraphic response to tectonic evolution of sedimentary basins in the Yellow Sea and adjacent areas was carried out by using an integrated stratigraphic technology. As an interim result, we propose a stratigraphic framework that allows temporal and spatial correlation of the sedimentary successions in the basins. This stratigraphic framework will use as a new stratigraphic paradigm for hydrocarbon exploration in the Yellow Sea and adjacent areas. Integrated stratigraphic analysis in conjunction with sequence-keyed biostratigraphy allows us to define nine stratigraphic units in the basins: Cambro-Ordovician, Carboniferous-Triassic, early to middle Jurassic, late Jurassic-early Cretaceous, late Cretaceous, Paleocene-Eocene, Oligocene, early Miocene, and middle Miocene-Pliocene. They are tectono-stratigraphic units that provide time-sliced information on basin-forming tectonics, sedimentation, and basin-modifying tectonics of sedimentary basins in the Yellow Sea and adjacent area. In the Paleozoic, the South Yellow Sea basin was initiated as a marginal sag basin in the northern margin of the South China Block. Siliciclastic and carbonate sediments were deposited in the basin, showing cyclic fashions due to relative sea-level fluctuations. During the Devonian, however, the basin was once uplifted and deformed due to the Caledonian Orogeny, which resulted in an unconformity between the Cambro-Ordovician and the Carboniferous-Triassic units. The second orogenic event, Indosinian Orogeny, occurred in the late Permian-late Triassic, when the North China block began to collide with the South China block. Collision of the North and South China blocks produced the Qinling-Dabie-Sulu-Imjin foldbelts and led to the uplift and deformation of the Paleozoic strata. Subsequent rapid subsidence of the foreland parallel to the foldbelts formed the Bohai and the West Korean Bay basins where infilled with the early to middle Jurassic molasse sediments. Also Piggyback basins locally developed along the thrust. The later intensive Yanshanian (first) Orogeny modified these foreland and Piggyback basins in the late Jurassic. The South Yellow Sea basin, however, was likely to be a continental interior sag basin during the early to middle Jurassic. The early to middle Jurassic unit in the South Yellow Sea basin is characterized by fluvial to lacustrine sandstone and shale with a thick basal quartz conglomerate that contains well-sorted and well-rounded gravels. Meanwhile, the Tan-Lu fault system underwent a sinistrai strike-slip wrench movement in the late Triassic and continued into the Jurassic and Cretaceous until the early Tertiary. In the late Jurassic, development of second- or third-order wrench faults along the Tan-Lu fault system probably initiated a series of small-scale strike-slip extensional basins. Continued sinistral movement of the Tan-Lu fault until the late Eocene caused a megashear in the South Yellow Sea basin, forming a large-scale pull-apart basin. However, the Bohai basin was uplifted and severely modified during this period. h pronounced Yanshanian Orogeny (second and third) was marked by the unconformity between the early Cretaceous and late Eocene in the Bohai basin. In the late Eocene, the Indian Plate began to collide with the Eurasian Plate, forming a megasuture zone. This orogenic event, namely the Himalayan Orogeny, was probably responsible for the change of motion of the Tan-Lu fault system from left-lateral to right-lateral. The right-lateral strike-slip movement of the Tan-Lu fault caused the tectonic inversion of the South Yellow Sea basin and the pull-apart opening of the Bohai basin. Thus, the Oligocene was the main period of sedimentation in the Bohai basin as well as severe tectonic modification of the South Yellow Sea basin. After the Oligocene, the Yellow Sea and Bohai basins have maintained thermal subsidence up to the present with short periods of marine transgressions extending into the land part of the present basi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