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삽에 의한 음나무의 무성번식

Asexual Propagation of Kalopanax pictus by Root Cutting

  • 김철우 (강원대학교 대학원 임학과) ;
  • 송재모 (강원대학교 대학원 임학과) ;
  • 배찬호 (강원대학교 대학원 임학과) ;
  • 박봉재 (홍천농업고등학교) ;
  • 문흥규 (임업연구원 산림유전자원부) ;
  • 황석인 (임업연구원 산림유전자원부) ;
  • 이재선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대학 산림자원학부)
  • Kim, Chul-Woo (Department of Forestry, Graduate School,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Song, Jae-Mo (Department of Forestry, Graduate School,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Bae, Chan-Ho (Department of Forestry, Graduate School,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Park, Bong-Jae (Hongcheon High School of Agriculture) ;
  • Moon, Heung-Kyu (Division of Forest Genetics Resources, Forestry Research Institute) ;
  • Hwang, Suk-In (Division of Forest Genetics Resources, Forestry Research Institute) ;
  • Yi, Jae-Seon (Division of Forest Resources, College of Forest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1.11.30

초록

본 연구는 음나무의 증식을 위해 근삽을 이용하여 대량번식방법의 체계를 확립하고자 실시하였다. 조사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음나무의 근삽시 생장조절물질의 처리는 고농도보다 저농도가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장조절물질 처리에 따른 부정아 발생율은 IBA, NAA 300mg/L 처리구에서 96.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무처리 역시 90.0%로 높은 부정아 발생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엽의 특성(엽수, 엽신, 엽폭)은 무처리와 생장조절물질 처리간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2. 근의 방향에 따른 근삽은 가로근삽(100%)과 세로근삽 (92.5%) 이 모두 90% 이상의 부정아 발생율을 보여 두 처리 모두 높은 부정아 발생율을 나타내었고, 부정아 발생수 및 엽 특성(엽수, 엽병, 엽신 및 엽폭)에 있어서 세로근삽이 가로근삽보다 모두 높게 나타났다. 3. 바로묻기 한 것이 거꾸로묻기 한 것보다 부정아 발생율, 부정아 발생수 및 엽특성(엽수, 엽신, 엽폭)에서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거꾸로묻기 한 경우 세근의 발달이 없거나 미약하며, 부정아 발생의 경우 기극 부근에서 발생하여 지면으로 올라오는 경우를 나타냈다.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the large quantity propagation system for Kalopanax pictus using root cutt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omotion of adventitious shoot development from the root cuttings of Kalopanax pictus among kinds (IBA, NAA and Kinetin) and concentrations (0 to 2000 mg/L) of growth regulators, no application is recommended, which showed more than 90% of shoot development. Horizontal and vertical placement of rooting showed more than 93% of shoot occurrence, but the latter showed more desirable growth traits in the number of shoot development, number of leaf, petiole length, and leaf length and leaf width Polarity was observed and thus normal vertical placement of root cutting is preferred. However, root cuttings placed upside down showed the shoot development at the distal end, which indicates further sophisticated tes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is phenomen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