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간대 지역의 올바른 관리 및 이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ise Use and the Management of Intertidal Environment - With Focus on Kanghwa island mudflat by satellite image interpretation and sediment analysis -

  • 박의준 (전남대학교 호남문화연구소) ;
  • 서종철 (환경부 생태조사단실)
  • 발행 : 2001.08.20

초록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조간대 퇴적지형인 강화도 남단 갯벌을 사례로 서해안 조간대 지역의 퇴적환경을 구명하고 올바른 이용 및 관리방안을 고찰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화도 남단 갯벌은 세계적으로 그 가치가 인정되고 있는 지형 생태적으로 중요한 해안습지이다. 그러나 해안생태계의 자정작용 역할을 하는 염생습지의 대부분은 간척되어 현재는 농경지로 이용되거나 그대로 방치되고 있다. 둘째, 강화도 남단 갯벌의 평균 조석간만의 차는 7.3m로, 조석차를 바탕으로 권역을 구분하면 고위 조간대 중위 조간대 저위 조간대 및 천해로 구분 지을 수 있다. 또한 대부분 간척된 과거 염생습지로 이루어진 육지권역이 포함될 수 있다. 셋째, 연구지역의 퇴적환경을 지시한다고 판단된 표층 퇴적물의 물리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평균 입도 분포는 모래 41.5% 실트 47.3% 점토 11.2%로 나타나서 실트의 비율이 상당히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퇴적물의 생태적 특성을 지시하는 것이다. 넷째, 권역별 이용 및 관리방안으로는 (1) 고위 및 중위 조간대는 갯벌 체험학교와 인공 염생습지, 그리고 양식업 대상지로 이용할 수 있으며 오염물질의 유입과 양식장 관리가 중요한 곳이다. (2) 저위 조간대는 특정기간의 갯벌체험과 바다 낚시 대상지로 이용할 수 있으며 조류의 통과시기와 패류의 산란시기에는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는 곳이다. (3), 천해는 외해와 인접한 곳으로서 극히 일부 기간의 갯벌 체험과 바다 낚시 대상지로 이용할 수 는 곳이다. (4) 인접 육지부는 방조제를 이용한 철새관찰용 시설물 설치와 갯벌의 생태적 특징을 중심으로 한 홍보물을 설치할 수 있는 생태 관광지 대상지이다. 또 갯벌부로 유입되는 생활하수와 축산폐수의 관리가 중요한 곳이기도 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wise use and the management of intertidal environment. For tills purpose, we selected the Kanghwa island mudflat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tertidal region in Korea peninsula. The main research method is surface sediment and several map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study area is worldwide coastal wetland in view of ecology and geomorphology. But most of the salt marsh has been reclaimed sinc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study area is mainly composed of mudflat. (2) The mean tidal regime of study area is 7.3m. From this tidal regime, the study area is subdivided into four distinct areas: the high intertidal area the middle intertidal area the low intertidal area and the shallow sea area terrestrial area near mudflat. (3) The mean particle size of surface sediment is sand 41.5%, silt 47.3%, clay 11.2%. This particle size pattern indicates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urface sediment of the study area. The proportion of clay is increasing to the open sea. (5) The pursuit of the wise use and the management must be implemented by the consideration of not only ecologic and sedimentary characteristics but also of the eco-tour site plan. And the entire use and management subject is different in each area.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