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lied Microscopy
- Volume 31 Issue 2
- /
- Pages.199-206
- /
- 2001
- /
- 2287-5123(pISSN)
- /
- 2287-4445(eISSN)
Immunocytochemical Investigation on the Intracisternal Accumulations of Storage Protein in Pea Cotyledon Cells
완두 자엽세포의 소포체 내강에 축적된 저장 단백질에 대한 면역세포화학적 연구
-
Jeong, Byung-Kap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s, Kosin University) ;
- Park, Hong-Duok (Department of Biology,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 Published : 2001.06.01
Abstract
In 1980s, the fragmentation or subdivision of protein deposits at the periphery of protein storage vacuole was suggested as the only route of PB development in pea cotyledon cells. Since then, other independant processes such as terminal dilation , transformation and de novo development have been discussed as alternative routes for PB development, and today, these multiple mechanisms of PB development are accepted as a result of active investigations. For analysis of the protein accumulations in the ER cisternae during seed development, immunocytochemical gold labellings were applyed on the single cells separated by enzymatic digestion from cotyledon tissue. Anti-legumin labellings at the early stage, and anti-vicilin labellings at the intermediate stage were observed on the protein-filled ER. The
완두 자엽세포에 대한 저장단백질 과립의 발달은 단백질 저장 액포의 가장자리에 축적된 단백질의 fragmentation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최근 이 외에도 terminal dilation, transformation, denovo development등의 독립적인 과정이 각각 다른 시기에 관찰되므로서 단백과립의 발달은 이러한 여러 과정이 모두 나타나는 복합과정임이 알려졌다. 이러한 과정과는 별도로 종자발달의 이른시기에 소포체 내강에 축적되는 저장단백질과 여기서 발달하는 단백과립에 대하여 규명하고자 발달중인 종자의 자엽으로부터 단일 세포를 얻어서 면역세포 화학적 반응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종자발달의 이른 시기에는 legumin이, 중간시기 이후 에는 vicilin이 축적되므로서 단백질이 축적된 소포체가 단백과립으로 발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포체 내강에 존재하는 단백질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