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기록관리학의 발전을 위한 교육과정연구 -준하태(駿河台)(스루가다이)대학(大學)의 경우를 중심(中心)으로-

A Study on the Curriculum for Record Management Science Education - with focus on the Faculty of Cultural Information Resources, Surugadai University; Evolving Program, New Connections

  • 김용원 (스루가다이대학 문화정보학부)
  • 투고 : 2000.05.30
  • 발행 : 2001.03.30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일본에서의 기록관리학 교육의 현황을 개관하고, 몇 가지 중요한 이슈와 문제점을 언급하면서 이 분야의 급속한 성장의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기록관리학 교육의 목적은 정보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고 정보전문가의 적절한 공급을 보장하는 것이다. 기록관리학프로그램은 학생들에게 전문직업 교육을 하는 것이므로 교육과정에는 교육과 실무 훈련이 모두 포함되어야 한다. 이점은 흔히 이론과 실제의 대비로 표현된다. 학습이 이루어지는 환경의 사회적, 경제적 및 기술적 현실의 합류점이 양자에게 모두 영향을 준다. 본 논문은 일본에서의 기록관리학 교육의 역사적 배경과 현황을 검토한다. 또한 교육기관들의 다양한 형태의 교과과정과 교수진을 분석하되 일본 최초의 종합적인 대학 수준 프로그램인 스루가다이대학교의 학부프로그램에 초점을 둔다. 스루가다이대학교 문화정보학부는 정보학 분야를 통합한 새로운 학부로서 다양한 문화정보자원관리의 이론과 실제를 연구하기 위해 1994년도에 설립되었다. 그 목적은 archival science, records management, 박물관 학예직 및 사서직 분야에서 전문적 훈련을 제공함으로써 정보학 분야의 연구를 촉진하고 장려하는 것이다. 학부에는 두 개의 학과가 있고 각각에는 두 개의 코스가 있다; 문화정보학과. - 영상정보코스, - 관광정보코스 지식정보학과: 지식커뮤니케이션코스, 레코드 아카이브스코스 전체 교과과정의 구조는 역시 기본과목 교육부터 단계적으로 조직된다. 학생이 대학교에 입학하면 바로 수강하는 오리엔테이션과목들은 전문교육의 입문이 되며, 대학에서의 기본적인 학습 연구방법을 배운다. 1학년과 2학년 동안 학생들은 전문화를 위한 필수단계로서 기초과목과 기간과목들을 수강한다. 이를 위해 광범위한 주제의 과목들이 개설된다. 개설코스수는 약 150개에 이른다.3학년부터는 자신의 주전공이 해당하는 특정 코스를 시작하며 세미나와 실습을 통해 습득한 지식을 실제에 적용하게 된다. 각 학과에 속한 코스들은 2학년을 시작하는 학생들에게 개설된다. 그러나 두 학과 간에 넘을 수 없는 장벽은 없으며 졸업필요요건에 약간의 차이만 있을 뿐이다. 학생들은 자신이 속한 학과에 관계없이 3 4학년 세미나를 선택할 수 있다. 문헌정보학 학사학위를 받으려면 기초과목군(예: 문헌정보사회사, 문화인류학, 과학사, 행동과학, 커뮤니케이션 등)에서 34학점, 외국어에서 16학점(영어 10학점 포함), 정보처리에서 14학점(이론과 실습 포함), 그리고 자신의 전공코스에서 60학점을 취득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일본 기록관리학교육이 당면하고 있는 몇 가지 과제와 문제점을 아래와 같이 간단히 요약한다. - 관련 분야 및 유사 프로그램과의 결합 및 조화, - 교과과정 개선, - 교과서 부족, - 유능한 교수의 부족, - 졸업생의 취업문제 정보서비스가 점점 더 복합, 통합, 멀티미디어어화 되어감에 따라 정보전문직들은 다른 분야의 전문가들과 더욱 긴밀하게 협력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아키비스트, 레코드메니저 및 박물관 큐레이터와 함께 일하는 것이 정보전문직으로서의 사서직의 생존에 필수적이 될 것이다. 더욱 정보화되는 사회에서 변화를 견뎌내려면 문화기관 내 모든 사람들의 강력한 연대가 요구된다. 미래의 동료들이 경쟁력을 갖게 하기 위해서는 정보전문직 간에 그리고 국경을 넘어서 파트너쉽을 구축하고 강화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n overview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records management science education in Japan, and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the rapid growth of this filed while noting some of its significant issues and problems. The goal of records management science education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information services and to assure an adequate supply of information professionals. Because records management science programs prepare students for a professional career, their curricula must encompass elements of both education and practical training. This is often expressed as a contrast between theory and practice. The confluence of the social, economic and technological realities of the environment where the learning takes place affects both. This paper reviews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current trends of records management science education in Japan. It also analyzes the various types of curriculum and the teaching staff of these institutions, with focus on the status of the undergraduate program at Surugadai University, the first comprehensive, university level program in Japan. The Faculty of Cultural Information Resources, Surugadai University, a new school toward an integrated information disciplines, was opened in 1994, to explore the theory and practice of the management diverse cultural information resources. Its purpose was to stimulate and promote research in additional fields of information science by offering professional training in archival science, records management, and museum curatorship, as well as librarianship. In 1999, the school introduced a master program, the first in Japan. The Faculty has two departments and each of them has two courses; Department of Sensory Information Resources Management; -Sound and Audiovisual Information Management, -Landscape and Tourism Information Management, Department of Knowledge Information Resources Management; -Library and Information Management,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The structure of the entire curriculum is also organized in stages from the time of entrance through basic instruction and onwards. Orientation subjects which a student takes immediately upon entering university is an introduction to specialized education, in which he learns the basic methods of university education and study, During his first and second years, he arranges Basic and Core courses as essential steps towards specialization at university. For this purpose, the courses offer a wide variety of study topics. The number of courses offered, including these, amounts to approximately 150. While from his third year onwards, he begins specific courses that apply to his major field, and in a gradual accumulation of seminar classes and practical training, puts his knowledge grained to practical use. Courses pertaining to these departments are offered to students beginning their second year. However, there is no impenetrable wall between the two departments, and there are only minor differences with regard requirements for graduation. Students may select third or fourth year seminars regardless of the department to which they belong. To be awarded a B.A. in Cultural Information Resources, the student is required to earn 34 credits in Basic Courses(such as, Social History of Cultural Information, Cultural Anthropology, History of Science, Behavioral Sciences, Communication, etc.), 16 credits in Foreign Languages(including 10 in English), 14 credits on Information Processing(including both theory and practice), and 60 credits in the courses for his or her major. Finally, several of the issues and problems currently facing records management science education in Japan are briefly summarized below; -Integration and Incorporation of related areas and similar programs, -Curriculum Improvement, -Insufficient of Textbooks, -Lack of qualified Teachers, -Problems of the employment of Graduates. As we moved toward more sophisticated, integrated, multimedia information services, information professionals will need to work more closely with colleagues in other specialties. It will become essential to the survival of the information professions for librarians to work with archivists, record managers and museum curators. Managing the changes in our increasingly information-intensive society demands strong coalitions among everyone in cultural Institutions. To provide our future colleagues with these competencies will require building and strengthening partnerships within and across the information professions and across national border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