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들메나무(Fraxinus chiisanensis)의 분류학적(分類學的) 재고(再考)

A Taxonomic Reconsideration of Fraxinus chiisanensis (Oleaceae) in Korea

  • 민웅기 (서울대학교 산림자원학과 및 수목원) ;
  • 전정일 (서울대학교 산림자원학과 및 수목원) ;
  • 장진성 (서울대학교 산림자원학과 및 수목원)
  • Min, Woong-Ki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and The Arboretum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
  • Jeon, Jeong Ill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and The Arboretum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
  • Chang, Chin-Sung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and The Arboretum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01.01.04
  • 심사 : 2001.04.13
  • 발행 : 2001.06.30

초록

물들메나무(F. chiisanensis Nakai)의 분류학적 실체를 규명하기 위해 국내에 자생하는 4종(種)(쇠물푸레나무, 물푸레나무, 물들메나무, 들메나무)과 근연종으로 판단되는 중국, 일본의 F. platypofa Oliv.의 형태 및 flavonoids분석을 실시하였다. 물들메나무는 화서가 전년지(前年技)에 달리며 꽃잎이 없고 꽃받침이 존재하며, 나아(裸芽)(naked bud)를 가져 화서가 당년지(들에나무제외)에 달리거나 인아(鱗芽)(scaled bud)를 가지는 다른 3종(種)과 뚜렷이 구분되었다. 한편, flavonoids성분에서는 다른 3종(種)에서 flavonols와 C-glycosylflavone, flavanone 성분이 존재한 반면(물푸레나무형) 물들메나무에서는 3종류의 flavonoids 이외의 flavones성분이 확인(물들메나무형)되어 뚜렷한 종의 특성을 보였다. 따라서 물들메나무는 전북 내장산, 덕유산, 충청북도 민주지산, 전라남도 지리산, 백운산 등 전라남북도에 국한하여 분포하는 우리나라 특산종으로서 기존의 들메나무와 물푸레나무의 자연 교잡종이라는 주장보다는 독립종으로 처리하는 것이 타당하다. 특히, 형태적 특정에 의해 물들메나무는 들메나무아속(亞屬)(subgen. Fraxinus) 물들메나무절(節)(sect. Melioides)에 속하지만 중국과 일본의 물들메나무절(節)의 F. platypoda Oliv.는 인아(scaled bud)를 가지며 사과의 날개가 꽃받침까지 내려오며 화학적으로는 물푸레나무형이 확인되어 물들메나무와는 근연관계가 없고 오히려 북미대륙에 분포하는 동일 절(section)의 4종이 물들메나무에 더 가까운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taxonomic implications of F. chiisanensis Nakai based on morphology and flavonoids of four taxa of Fraxinus [F. chiisanensis Nakai, F. mandshurica Rupr., F. chinensis Roxb. var. rhynchophylla (Hance) Hemsl. and F. sieboldiana Blume] in Korea with one species of China and Japan (F. platypoda Oliv.). Morphologically F. chiisanensis was clearly distinguished from other taxa due to the presence of panicle from leafless lateral bud of previous year, apetalous flower, persistent calyx, and brownish naked bud. A survey of the foliar flavonoids of five species showed two distinctive chemical types. Unique flavones with flavonols, C-glycosylflavone and flavanone were detected in F. chiisanensis (chiisanensis type), while only flavonols, C-glycosylflavone, and flavanone were present in other four taxa (chinensis type). This study showed that F. chiisanensis was not a hybrid between F. mandshurica and F. chinensis var. rhynchophylla, but an endemic taxon distributed in southwestern Korea. Morphologically F. chiisanensis should be included into subgen. Fraxinus, sect. Melioides according to Chang and Qiu's classification. F. platypoda, a taxon of sect. Meliodies in China and Japan, was different from F. chiisanensis with respect of scaled bud, decurrent wing of samara and the lack of flavones (chinensis type). Since four American taxa of sect. Melioides contained flavones (chiisanensis type), they are more closely related with F. chiisanensis chemicall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