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전자방출단층촬영을 이용한 국어단어와 영어단어의 어의처리 신경매개체의 특성 비교

Comparison of the Neural Substrates Mediating the Semantic Processing of Korean and English Words Using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 김재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
  • 김명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조상수 (서울대학교병원 임상의학연구소) ;
  • 권준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
  • 이재성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
  • 이동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
  • 정준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
  • 이명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 Kim, Jea-Ji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Myung-Sun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Cho, Sang-Soo (Clinical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Kwon, Jun-Soo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Jae-Sung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Dong-Soo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Chung, June-Key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Myung-Chul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1.06.28

초록

목적: 높은 숙련도의 국어와 낮은 숙련도의 영어의 단어들을 사용하는 시각 과제에서 어의처리에 매개되는 뇌 신경회로의 공통요소와 특이요소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정상인 13명을 대상으로 국어단어에 대한 어의처리 과제, 영어단어에 대한 어의처리 과제, 단순 도형을 이용한 대조과제 등 세 가지 인지과제를 주고, 과제 수행 동안 $[^{15}O]H_2O$를 추적자로 한 양전자방출단층촬영을 실시한 후 감산분석을 통해 두 언어에 대한 어의처리 과정에 공통적으로 관여하는 뇌영역과 각각에 특이하게 작용하는 뇌영역을 탐색하였다. 결과: 국어 및 영어단어에 공통적으로 어의처리 과정에 좌측 편측성의 방추상이랑(fusiform gyrus)의 활성화가 관찰되었고, 추가적으로 영어단어의 경우 좌측 하측두이랑(inferior temporal gyrus)의 활성화가 관찰되었다. 국어단어에 특이한 어의처리 영역은 우측 일차청각영역을 포함하는 뇌 전반에 걸친 다발성 활성화가 특징이었던데 반해, 영어단어에 특이한 어의처리 영역은 우측 시각영역에 한정된 양상이었다. 결론: 높은 숙련도의 국어단어를 이용한 시각적 과제수행에는 내적 음운처리가 중요한데 비해, 낮은 숙련도의 영어단어를 이용한 과제수행의 경우에는 주로 시각적 주사(visual scanning)가 중요한 요소를 구성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earch the relatively specific brain regions related to the semantic processing of Korean and English words on the one hand and the regions common to both on the other. Materials and Methods: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associated with different semantic tasks was examined using $[^{15}O]H_2O$ positron omission tomography in 13 healthy volunteers. The tasks consisted of semantic tasks for Korean words, semantic tasks for English words and control tasks using simple pictures. The regions specific and common to each language were identified by the relevant subtraction analysis using 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 Results: Common to the semantic processing of both words, the activation site was observed in the fusiform gyrus, particularly the left side. In addition, activation of the left inferior temporal gyrus was found only in the semantic processing of English words. The regions specific to Korean words were observed in multiple areas, including the right primary auditory cortex; whereas the regions specific to English words were limited to the right posterior visual area. Conclusion: Internal phonological process is engaged in performing the visual semantic task for Korean words of the high proficiency, whereas visual scann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performing the task for English words of the low proficienc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