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tal Hyperperfusion of Cerebellum and Basal Ganglia in Temporal Lobe Epilepsy: SPECT Subtraction

측두엽 간질에서 발작기 소뇌와 기저핵의 뇌혈류 변화: SPECT 감영영상

  • Shin, Won-Chul (Department of Neurolog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Hong, Seung-Bong (Department of Neurolog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Tae, Woo-Suk (Department of Neurolog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Seo, Dae-Won (Department of Neurolog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im, Sang-Eu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s,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신원철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
  • 홍승봉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
  • 태우석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
  • 서대원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
  • 김상은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핵의학과)
  • Published : 2001.02.28

Abstract

Purpose: The ictal perfusion patterns of cerebellum and basal ganglia have not been systematically investigated in patients with temporal lobe epilepsy (TLE). Their ictal perfusion patterns were analyzed in relation with temporal lobe and frontal lobe hyperperfusion during TLE seizures using SPECT subtraction. Materials and Methods: Thirty-three TLE patients had interictal and ictal SPECT, video-EEG monitoring, SPGR MRI, and SPECT subtraction with MRI co-registration. Results: The vermian cerebellar hyperperfusion (CH) was observed in 26 patients (78.8%) and hemispheric CH in 25 (75.8%). Compared to the side of epileptogenic temporal lobe, there were seven ipsilateral hemispheric CH (28.0%), fifteen contralateral hemispheric CH (60.0%) and three bilateral hemispheric CH (12.0%). CH was more frequently observed in patients with additional frontal hyperperfusion (14/15, 93.3%) than in patients without frontal hyperperfusion (11/18, 61.1%). The basal ganglia hyperperfusion (BGH) was seen in 11 of the 15 patients with frontotemporal hyperperfusion (73.3%) and 11 of the 18 with temporal hyperperfusion only (61.1%). In 17 patients with unilateral BGH, contralateral CH to the BGH was observed in 14 (82.5%) and ipsilateral CH to BGH in 2 (11.8%) and bilateral CH in 1 (5.9%). Conclusion: The cerebellar hyperperfusion and basal ganglia hyperperfusion during seizures of TLE can be contralateral, ipsilateral or bilateral to the seizure focus. The presence of additional frontal or basal ganglia hyperperfusion was more frequently associated with contralateral hemispheric CH to their sides. However, temporal lobe hyperperfusion appears to be related with both ipsilateral and contralateral hemispheric CH.

목적: 측두엽 간질환자에서 소뇌와 기저핵의 발작기 뇌혈류 변화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아직 까지 없었다. 저자들은 SPECT 감영영상을 이용하여 측두엽 간질 발작동안 측두엽과 전두엽의 혈류증가와 관련된 소뇌와 기저핵의 혈류변화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발작간기와 발작기 뇌 SPECT, 비디오-뇌파 감시검사, SPGR MRI, SPECT subtraction with MRI co-registration을 측두엽 간질환자 33명에서 시행하였다. 결과. 29명(87.8%)에서 소뇌의 혈류증가가 관찰되었으며 이중 소뇌 충부의 혈류증가는 26명(78.8%),소뇌 반구의 혈류증가는 25명(75.8%)에서 보였다. 간질병소인 측두엽의 동측 소뇌반구의 혈류 증가가 관찰된 경우는 7명(28.0%), 반대편 소뇌 반구에 혈류증가가 관찰된 경우는 15명(60%), 그리고 양측 소뇌반구에 혈류증가가 관찰된 경우는 3명(12.0%)이었다. 소뇌의 혈류증가는 오직 측두엽에서만 혈류증가가 있었던 측두엽 간질환자(11/18, 61.1%)에서 보다 측두엽 외에 전두엽까지 혈류증가가 동반된 환자(14/15, 93.3%)에서 더 흔하게 관찰되었다. 기저핵의 혈류증가는 측두엽에서만 혈류가 증가한 환자군에서는 18명중 11명(61.1%), 그리고 측두엽과 전두엽 모두 혈류가 증가한 환자군에서는 15명중 11명(73.3%)에서 관찰되었다. 편측의 기저핵 혈류증가를 보이는 17명중에서 기저핵 혈류증가의 반대편 소뇌에 혈류증가가 관찰된 경우는 14명(82.5%)이었고 동측의 소뇌 혈류증가가 관찰된 경우는 2명(11.8%), 그리고 양측 소뇌의 혈류증가가 관찰된 경우가 1명(5.9%) 있었다. 결론: 측두엽 간질 발작 중에 소뇌와 기저핵의 혈류증가는 발작병소의 동측, 반대측, 그리고 양측 모두에서 관찰될 수 있다. 측두엽의 혈류증가와 함께 전두엽과 기저핵의 혈류증가가 동반되면 반대편 소뇌에 더 자주 발생하였으나, 발작 중 일측 측두엽의 뇌혈류증가는 반대측 또는 동측 소뇌의 혈류증가를 동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측두엽에서 만의 혈류증가는 그 동측 또는 반대측 소뇌 모두에서 혈류증가가 관찰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