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Landslide Factors Using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GSIS와 AHP법을 이용한 산사태 유발인자 분석

  • 양인태 (강원대학교 토목공학과) ;
  • 김제천 (삼척대학교 토목공학과) ;
  • 천기선 (강원대학교 토목공학과) ;
  • 김동문 (강원대학교 토목공학과)
  • Published : 2001.09.01

Abstract

The landslide occurrence in Sam-Chuck area was analyzed through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and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Among many factors which causes landslide, terrain slope, terrain aspect, lithology, soil texture and vegetation arc taken as input data from existing maps and constructed as a database. These factors are determined by each environmental factor by environmental and geological characters in the study area, and the rating and weight about factor are input using AHP. Possible areas for landslide have been extracted by overlaying each layers. Finally, the estimated results are compared with real landslide sites to know which factor is the most effective for landslide. The results showed that lithology and soil factor have high susceptibility in Sam-Chuck area.

GSIS와 AHP법을 이용하여 삼척지역을 대상으로 산사태 발생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산사태를 유발하는 많은 인자들 중에서 경사도, 경사방향, 지질, 토양, 임상자료들은 기존의 지도자료를 이용하여 입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의 환경적ㆍ지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산사태를 유발하는 인자를 결정하였으며, AHP법을 적용하여 유발인자들에 대한 입력값을 결정하였다. 산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지역은 산사태 유발인자들로 만들어진 각각의 레이어를 중첩함으로써 작성되었다. 마지막으로 작성된 도면을 실제 산사태가 발생한 곳과 비교함으로써 산사태 유발인자들이 산사태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삼척지역에서는 토양과 지질적 요소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GSIS와 AHP법을 이용한 폐기물 매립지 예측 평가 방법 최광식
  2. 우리나라 강우 특성으로 인한 산사태에 관한 연구 김윤원
  3. 우리나라의 산사태 발생 현황과 특성 심홍근
  4. GIS를 이용한 부여 서부지역의 산사태 연구 박하나
  5. 지형 자료를 이용한 산사태 분석에 관한 연구 김종훈
  6. 산사태 발생 추정 요소에 관한 연구 신영수
  7.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한 청주지역의 광역적 산사태 분석 연구 이사로
  8.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emote Sensing v.7 no.2 GIS를 이용한 광역 지질재해 분석 연구 김윤종(외 다수) https://doi.org/10.7780/kjrs.1991.7.2.165
  9. 수치표고모형에 의한 유역에서의 지형인자 분석 천기선
  10. Arc/Info manual
  11. Using GRID with ARC/INFO
  12.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Planning Thomas L. Saaty
  13. Analytic Hierarchy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