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undamental Study of Height Determination Using GPS Leveling Technique

GLT에 의한 정밀 표고결정의 기초적 연구

  • 강인준 (부산대학교 토목공학과) ;
  • 장용구 ((주)세광정보시스템 GIS연구소) ;
  • 곽영주 (부산대학교 토목공학과 대학원)
  • Published : 2001.06.01

Abstract

When determining a three dimensional position for engineering purposes, we can use the GPS survey to find position. According to the enhancement of precision for domestic Geoid model, the positional accuracy of GPS about precise method of vertical position has been also increased. But by considering Geoid undulation, it is difficult to measure GPS-derived elevations. Because Geoid undulation has changed little in local sites, GPS-derived elevations are similar to orthometric height. By ignoring Geoid undulation, it is possible to measure GLT-derived elevations at the local. small construction sites. GLT(GPS Leveling Technique) provides a method for computing orthometric heights. GLT processes the data more rapidly than conventional measurement devices. We only considered the weight factors affecting accuracy between the points. That is, the GPS procedures to produce satisfactory elevation accuracy depends on the method of observations, receivers and conditions of the local environment. A comparison was performed between the GPS survey using Geoid model and GLT at a part within Pusan National University and construction model sites in South Korea. And the writers proved the GPS surveying is efficient in positioning accuracy, time, and cost on a construction sites.

오늘날 3차원 위치결정에 있어서 위성측량을 활용하여 위치결정이 가능하게 되었다. 최근 국내 지오이드모델의 정밀도가 향상되면서 정밀 수직위치결정에 대한 위성측량의 위치정확도 또한 많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지오이드고를 고려하였을 때, 위성측량의 수직위치결정의 활용은 아직 어려운 실정에 있다. 그러나, 지오이드 변화가 국소지역에서는 미소하게 변화하므로 위성측량 관측에 의한 표고와 정표고는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지오이드를 고려치 않은 건설현장에서 GLT(GPS Leveling Technique)의 수직위치결정 측량이 가능하게 되었다. GLT는 재래적 측량장비보다 처리속도가 뛰어난 정표고를 계산하는 방법이었고, 관측방법과 수신기 상태, 현장 상황에 따라 정확도가 다소 변화하게 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측점간의 경중률 만을 고려하였다. 지반 침하량 계측에 있어서 레벨을 이용한 재래식 수직위치결정방법을 기준으로 부산대학교내 일정지역과 모델현장에서 지오이드모델을 이용한 위성측량방법과 GLT 방법을 비교 분석하여 위치 정확도 및 시간과 비용에 있어서의 효율성을 검토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GPS에 의한 Geoid Height 결정"에 관한 연구보고서 강준묵
  2. 한국측지학회 연구발표개요집 GPS를 이용한 Geoid Undulation Model 산정에 관한 연구 강준묵;이용창;박필호;송승호
  3. 한국측지학회 v.9 no.2 OSU89B에 의한 한반도 일원의 지 오이드에 관한 연구 최광선
  4. Journal of Surveying and mapping v.105 no.1 Intergrated Processing of GPS and Gravity Data Gunter W. Hein;Alfred Leick
  5. Journal of Geodetic Society of Japan v.40 no.1 Geoid Undulation Differences in Shikoku Region, Southwest Japan, Determined by GPS Measurement and Leveling Takao Tabei
  6. Journal of Surveying Engineering v.126 no.2 Refinement of Gravimetric Geoid Using GPS and Leveling Data W. E. Featherstone
  7. Journal of Surveying Engineering v.124 no.4 Heighting in Okavango Delta C. L. Merry;H. Heister;M. Barry;W. N. Ellery;T. S. McCarthy;H. Ruther;H. Sternberg
  8. Journal of Surveying Engineering v.122 no.2 GPS High Accuracy Geodetic Networks in MEXICO Tomas Soler;Gabriei Alvarez-Garcia;Antonio Hernandez Navarro;Richard H. Foote
  9. 측량학 원론(I) 유복모
  10. 측량지형정보공학(I) 강인준
  11. GPS Satellite Surveying Alfred Leick
  12. Chuji Tsuboi;Gravity, George Allen;Unwin
  13. Physical Geodesy Helmut Moritz Weikko A. Heiskanen
  14. Wolfgang Torge, Geodesy;Walter de Gruyter
  15. 일반측량학 안철호;최재하
  16. Kore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25 no.1 GPS/Leveling Geoid of thesouthern korean Peninsula 최광선;이정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