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ychological Structure and ANS Response by Odor Induced Emotion

연령별 향 감성구조 및 향 감성에 따른 자율신경계 반응

  • 박미경 (충남대학교 심리학과 및 뇌과학연구소) ;
  • 정희윤 (충남대학교 심리학과 및 뇌과학연구소) ;
  • 이경화 (충남대학교 심리학과 및 뇌과학연구소) ;
  • 최정인 (충남대학교 심리학과 및 뇌과학연구소) ;
  • 이배환 (연세대학교 임상연구센터 및 뇌연구소) ;
  • 손진훈 (충남대학교 심리학과 및 뇌과학연구소)
  • Published : 2001.12.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structure of the sensibility and autonomic nervous responses to odor by ages. 72 participants, 24 each in their teens, twenties, and thirties were given odor stimuli, cederwood, grapefruit, teebaum, peppermint, rose. During the presentation of stimuli, participant were measured blood flow, skin temperature, skin conductance, and ECG and subjective emotion to each odor were evaluated, Five factors, aesthetic, intensity, naturality, uniqueness, and romantism were identified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by ages. Emotional factors that predict the preference to certain odors turned out partly different by ages. However, odors that made participants feel sick created more autonomic nervous response than odors that made them feel good.

본 연구는 향에 대한 연령별 감성구조를 밝히고, 향 감성에 따른 자율신경계 반응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험 참여자는 연령별(10대, 20대, 40대)로 24명씩 총 72명이고, 자극향은 cederwood, grapefruit, teebaum, peppermint, rose향을 사용하였다. 향이 제시되는 동안 혈류량, 피부온도, 피부전기 반응, 심전도 반응을 측정하였고, 향에 대한 주관적 감성을 측정하였다. 향에 의한 심리적 감성구조는 심미성, 강도, 자연성, 개성성, 낭만성의 다섯 요인이 확인되었고, 연령별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향 선호도를 예측하는 감성요인은 연령별에 따라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감성적으로 “나쁜” 향은 “좋은” 향보다 교감신경계 활동에 의한 자율신경계 반응이 더 크게 일어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