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향

Search Result 9,432,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Relationship of molecular structure and aroma characteristic (분자구조와 향특성과의 관계)

  • Baek, Shin;Jang, Seok-Su;Kim, Kun-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Tobacco Science
    • /
    • v.31 no.2
    • /
    • pp.115-120
    • /
    • 2009
  • 향료산업은 화학의 발전과 더불어 번창하였다. 초기에는 시나믹 알데하이드, 바닐린 등과 같은 합성 원료가 제조 되었으며 그 후 장미 천연향의 구성 성분인 메틸 아이오논이 합성되었고 점차 더 섬세하고 지속성이 강하며 안정성 및 확산성이 좋은 신규향료 개발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점차 미량으로도 충분한 향을 발현할 수 있는 향 강도가 강한 향료 개발이 가속화 되었다. 특히 최근에는 GC-MS와 GC-Olfactometry 기술의 발전에 따라 천연물에 존재하는 화합물의 확인이 더 용이해 지면서 향 화학자들의 연구 영역이 점점 더 확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담배에 사용되는 케미칼 향의 분자 골격 또는 골격에 다양한 곁가지로 유도체를 합성함으로써 분자구조에 따른 향 특성 변화에 대해 논의 하였다. 세계적으로 점차 담배에 사용되는 향의 종류가 감소되는 추세에서 동일한 향 계열 중 본 논문에서 언급된 다양한 향을 적절히 선택하여 대체 사용함으로써 첨가제의 축소 및 감소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우선 단맛(sweet)을 내는 물질에 대해 논하는데 이 부분은 상당히 광범위하다. 그래서 단맛의 대표적인 열대과일 향과 쵸코렛 향에 대해 먼저 언급하고, 다음으로 구수한 스모키 향과 팝콘향, Cooling하고 Fresh한 향 특징을 주는 멘솔 유도체 향, 과일 향, 버섯 향, 꽃 향, 스파이스한 향 등에 대해 언급하였다.

The structure of odor sensibility and physiological responses produced by odorants (향 감성 구조 및 생리 반응)

  • 박미경;이정미;최지연;이경화;이배환;손진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32-37
    • /
    • 2000
  • 본 연구는 향의 감성 구조를 밝히고, 향 선호도를 예측하는 감성요인을 규명하며, 향에 대한 자율 신경계 반응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향에 대한 주관적인 감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25개의 감성 형용사로 구성된 향 감성 측정 척도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이 척도를 이용하여 lavender, lemon, rose, jasmin, peppermint의 다섯 가지 향에 대해 대학생 50명을 대상으로 향 감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향에 대한 감성 구조는 심미성, 강도, 자연성, 여성성-남성성, 개성, 중량감의 여섯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향에 대한 자율 신경계 반응 측정은 대학생 20명을 대상으로 lavender, lemon, rose, jasmin, peppermint 향에 대해 실시하였다. 향에 대한 자율 신경계 반응 측정 결과, PPG 반응은 남녀 모두 lavender, lemon 향에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남자의 경우, PPG 반응은 rose, peppermint 향에서도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SKT 반응은 lavender, jasmin 항에 대해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 PDF

Factor Structure of Imagery on Odors : The Difference Between Gender (향(香)의 이미지 인자구조: 남녀차에 관한 연구)

  • 민병찬;정순철;김수진;김혜주;김상균;민병운;오지영;신정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417-422
    • /
    • 1999
  • 지금까지 향의 이미지에 따른 감성 평가에 관한 연구, 특히 성별에 따른 차이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본 연구는 향의 이미지에 따른 성별 감성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네 가지 향 (Jasmin abs, Rose oil bulgalian, Lavender oil france, Lemon oil misitano)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주관적 평가를 분석하였다. 후각 실험 및 주관적 평가는 20-26세의 남자10명, 여자10명으로 구성된 피험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고, 주관적 평가는 향의 세부적인 이미지를 나타내는 후각 감성 형용사를 이용하여, 양극의 7점 척도 25문항, 단극의 5점 척도 40문항, 그리고 각 향의 전반적인 선호도를 묻는 양극의 7점 척도 2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남성과 여성 모두 Lemon향을 가장 쾌한 감성의 향으로, Rose향을 가장 자극적인 향으로 생각하는 것과 같은 심리척도의 보편적인 정서인 쾌/불쾌, 자극/진정의 감성에 있어서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별로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여성에 비해 남성이 Rose향을 정열적이고 화려한 향으로 느낀다거나, Jasmin 향에 대하여 남성은 여성적인 향으로 생각하는 반면, 여성은 Jasmin 향을 남성적인 향으로 평가하는 등 각 향에 대한 세부적인 이미지에는 여성과 남성이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 PDF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Different Parts of 5 Types of Late Maturing Citrus (Citrus hybrid 'Shiranuhi', Citrus hybrid 'Setoka', Citrus hybrid 'Blanco', Citrus hybrid 'Kanpei', Citrus 'Kara') (만감류 5종(한라봉, 천혜향, 황금향, 레드향, 카라향)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 Ji-Won Seo;Mi-Kyeong Jang;Won-Seob So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3.04a
    • /
    • pp.66-66
    • /
    • 2023
  • 만감류 5종(한라봉, 천혜향, 황금향, 레드향, 카라향)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에 관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DPPH radical 소거 활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만감류 5종(한라봉, 천혜향, 황금향, 레드향, 카라향)의 총 폴리페놀 함량의 경우, 레드향 과피 처리구(93.97mg/g)에서 가장 높았으며, 천혜향을 제외한 모든 만감류 품종 부위들 가운데, 과피 처리구에서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내었다. 만감류 5종(한라봉, 천혜향, 황금향, 레드향, 카라향)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한라봉 전체 처리구(23.65mg/g)에서 가장 높았으며, 모든 처리구에서 30mg/g 함량보다 낮은 결과를 나타내어 총 폴리페놀 함량 대비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현상은 만감류 5종(한라봉, 천혜향, 황금향, 레드향, 카라향) 가운데 과피 두께의 비율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만감류 5종(한라봉, 천혜향, 황금향, 레드향, 카라향)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의 경우, 한라봉 전체(81.01%)를 시작으로 한라봉 중피(73.13%), 한라봉 외피(63.94%) 처리구에서만 DPPH radical 함량이 EDA 50% 이상 값을 나타내었다. 특히 총 폴리페놀 함량(mg/g)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mg/g) 모두에서 높은 수치를 기록했던 처리구들 가운데 한라봉 중피(79.75, 23.16), 한라봉 전체(75.51, 23.65) 처리구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인 반면, 레드향 과피(93.97, 20.59)의 활성은 49.26%로 DPPH radical EDA 50%에 미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과피와 과육의 에센셜 오일과 성분의 차이에서 기인된 것으로 추측된다.

  • PDF

Psychological structure and ANS response by odor induced emotion (연령별 향 감성 구조 및 향 감성에 따른 자율신경계 반응)

  • 박미경;정희윤;이경화;최정인;이배환;손진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127-133
    • /
    • 2001
  • 본 연구는 향에 대한 연령별 감성 구조를 밝히고, 향 감성에 따른 자율신경계 반응을 밝히려는 것이다. 실험 참여자는 연령별(10대, 20대, 40대)로 24명씩, 총 72명이고 자극향은 cederwood, grapegruit, teebaum, peppermint, rose 향을 사용하였다. 향이 제시되는 동안 혈류량, 피부온도, 피부전기반응, 심전도 반응을 측정하였고, 향에 대한 주관적 감성을 측정하였다. 향에 의한 심리적 감성 구조는 심미성, 강도, 자연성, 개성성, 낭만성의 다섯 요인이 확인되었고, 연령별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향 선호도를 예측하는 감성요인은 연령별로 차이가 났다. 감성적으로 "나쁜"향은 "좋은"향보다 교감신경계 활동에 의한 자율신경계 반응이 더 크게 일어났다.

  • PDF

Development of a remote control odor generation system for multimedia (원격동작 멀티미디어용 향 발생장치 개발)

  • 이영주;전영주;임재중;김남균;김동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19-22
    • /
    • 1999
  • 전자석을 이용하여 원하는 향을 일정한 시점에 일정한 시간동안 방출하는 향 발생장치를 개발하고, 멀티미디어의 후각자극 시점을 원격, 무선으로 송ㆍ수신하여 향 발생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자석 제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각기 다른 향을 담은 지름 5.3mm, 높이 24mm의 향 container에 소형 전자석을 장착하여 효과적으로 향이 방출되어 제어되도록 설계하였으며 RF 리모콘을 이용하여 20-30m 내에서 향 발생피내의 각기 다른 향들을 제어할 수 있는 원격동작 향 발생기 제어용 하드웨어를 개발하였다.

  • PDF

EEG Asymmetry Changes in Elderly Women in Stimulus of Odors (향 자극 시 연령에 따른 뇌파의 비대칭성 변화에 관한 연구)

  • 민병찬;진승현;강인형;남경돈;김수용;김철중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144-148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쾌한 향과 불쾌한 향에 대한 좌우 반구의 차이를 보여 주는 비대칭 지수를 사용하여, 두 반구 사이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중년층과 장년층 여성을 대상으로, 100%의 Basil oil, Lavender oil, Lemon oil, Jasmin oil, Ylangylang oil(KIMEX co. Ltd), Sketol의 총 6가지 종류의 천연향을 제시한 후, 주관적 평가를 통해 쾌한 향과 불쾌한 향을 구분한 후, 이 두 향에 대한 뇌파의 비대칭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년층의 경우, 주관적 평가에서 쾌한 향으로 나타난 lemon향을 제시했을 때, 불쾌한 향을 제시한 경우에 비해 세타파와 알파파에서 우반구 부분이 우세한 경향을 보여 주었고, 장년층에 비해 중년층은 마찬가지로 세타파와 알파파에서 쾌한 향 자극 시 우반구가 우세함을 보여 주었다.

  • PDF

A Study on the Use of Buyonghyang During the Joseon Royal Wedding Ceremony - Focused on Sunjo Sunwonwanghoo Garyedogam Uigwe - (조선 왕실 가례의 부용향(芙蓉香) 연구 - 『순조순원왕후가례도감의궤』를 중심으로 -)

  • Ha, Sumin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2 no.3
    • /
    • pp.222-239
    • /
    • 2019
  • This paper studied Joseon royal incense, Buyonghyang, focusing on the case of Sunjo Sunwonwanghoo Garyedogam Uigwe. Incense was introduced to Korea in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with Buddhist cultures. Buyonghyang is an incense that represented the royal family and was used in various rituals. Civilians also burned this incense in front of a bride's palanquin at a wedding ceremony. Buyonghyang had various uses-ceremonial uses, as a fragrance, to mothproof, and medical uses. Buyonghyang is a combined incense with ten different ingredients. This study tracked the supply and demand of the incense ingredients through Takjijunjeol, Sejong Shilok Jiriji, and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his paper identified properties of the ingredients and studied recipes using ancient medical books-Jejungshinpyeon, Donguibogam, etc. Then the cooperation and treatment of incense by craftsman were examined using the records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Seungjeongwon Ilgi. The significance of Buyonghyang during the Joseon dynasty was studied by examining its use at a royal wedding ceremony. This study considered Sunjo's wedding ceremony based on Sunjo Sunwonwanghoo Garyedogam Uigwe which is highly regarded as a well-organized system compared to other Uigwe. Buronghyang was burned during all of the ceremonies which took place in the palace. Conversely, it is considered that Buyonghyang was burned only during the Bisuchekui ceremony (investiture), which took place in the bride's place, according to the record of the mobilization of court ladies for various incense burners for the Bisuchekui ceremony. Since the incense was able to be used only after Bisuchekui, it is considered that only the royal family could use the incense, and it was a symbolic incense of the Joseon Royal Family.

A study on Compound Sensibility of Odors and Colors for Aromatic Fabric Design (방향성 소재 디자인을 위한 향과 색의 복합 감성 연구)

  • 우승정;조길수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6 no.2
    • /
    • pp.37-47
    • /
    • 2003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lfactory sense such as perfume and sense of sight and how it affects the sensibility based on the fact that ,senses are compound feeling from detective parts of human body. First, to build the emotional rate stale we selected the 19 pairs of adjective from the previous studies that overlaps smell, color, and clothes and added one pairs of related clause. Then each pair was divided into 7 level of emotional stage. In the experiment by the selected 15 man and woman from the visual design major student of Hong-ick Univ each student was given floral, jasmin, lavender, papaya and asked them to pick one color from I.R.I Hue & Tone chart for each smell. Then, analyzed the emotional rating of selected color for given smell. The emotional structure of smell and color consists five parts; 'Esthetics', 'Romance', 'Character', 'Intensity', 'Natur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requencies of selected colors for each given smell and gender difference also affected the color selected. Average value of emotional rating scale of smell and color was ,similar to the results from previous studies on relationship between smell and emo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