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영재교육에 있어 웹 기반 협동학습의 적용 가능성 탐색 : 웹 기반 구조적 의사교류법을 중심으로

A Exploration of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for the Gifted Education on Mathematics : Web-Based Structural Communication

  • 발행 : 2001.12.01

초록

영재들의 잠재 능력을 최대한으로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영재들의 일반적인 인지적.정의적 특성 및 다양한 학습 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최적의 학습 환경, 즉 구성주의 학습 환경을 제공해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구성주의 원리에 바탕을 둔 협동학습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 ‘웹 기반 구조적 의사교류법 (Web-Based Structural Communication)’을 활용하여 고등학교 수학 영재들의 ‘2$\times$2행렬’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최근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컴퓨터 공학과 네트워크 및 인터넷의 보급으로 ‘구조적 의사교류법’의 활용 가능성 및 효율성이 그 어느 때 보다도 크게 기대된다. 특히 웹을 통한 상조적 협동학습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지식 구성의 과정을 경험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객관적이고 다양한 관점을 지니게 되는 학습 활동을 구현할 수 있는 대표적인 학습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웹 기반 구조적 의사교류법’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기에, 이 프로그램의 구체적 효과에 관해서는 앞으로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여겨진다.

The Gifted need the constructivist loaming environments that reflect his or her cognitive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needs to exert their potential fully. 'Structural Communication'was designed to encourage creative thinking in learners, allowing them to create an understanding of a topic, not simply memorize facts. It is considered in line with constructivist philosophy and cognitive paradigms.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eb-Based Structural Communication'program to embody the collaborative loaming based on constructivism. It was applied on high school $2\times2$ matrix teaming for the gifted students. Recently developed computer technology, emerging network facilities, and internet enable us to extend the usefulness and efficiency of 'Structural Communication’Especially web provides not only the discussion environment that is free from space and time constraints and characteristics of leasers, but also the experiences of knowledge construction through the collaborative learning. Through the 'Web-based Structural Communication', the gifted will be able to argue, persuade and share their unique ideas and gradually elaborated ill-structured ideas. The gifted will escape from the tunnel vision of the early time and have multiple perspectives that are more objective and logical. As the result, the gifted are expected to acquire the effect of '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that Vygotsky advocat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