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형 탐구학습을 통한 영재들의 과학하기

Doing Science through the Project-Based Science Program

  • 조한국 (인천대학교 과학영재교육센터) ;
  • 한기순 (인천대학교 과학영재교육센터) ;
  • 박인호 (인천대학교 과학영재교육센터)
  • 발행 : 2001.12.01

초록

기존의 교실에서 교사가 학생들에게 무엇을 또 어떻게 탐구할 것인가에 대한 절차적인 지식을 가르칠 수는 있었으나, 그러한 가운데 우리가 놓치고 있었던 것은 과학을 하는 것(doing science)에 대한 본질이었다. 특히 영재들의 학문적 욕구는 평범한 아이들과는 질적으로 다르기 때문에, 과학 영재들에게 그러한 요구와 필요성은 상당히 큰 것이었으나 그 요구와 필요성에 부합하는 연구와 프로그램의 개발이 뒷받침되어주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과학 영재를 위한 교과과정은 학습 내용, 학습과정, 산출물에 있어서 영재들을 위해 특수화가 필요하다. 이러한 현실적 문제에 봉착하여, 본 연구는 하나의 작은 시도로서 과학영재들을 위한 프로젝트형 탐구학습의 프로그램을 개발, 현장에 적용, 그리고 제한적이나 그 효과성도 부분적으로 검토하였다. 실제 문제들과 이슈들을 다루는 프로젝트형 탐구학습을 수행함으로서 학생들은 고차원적인 사고 능력을 기르며, 소집단활동을 통해서 학생들이 복잡한 실제 문제들을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학생들은 이러한 형식의 수업을 통하여 또한 내용을 배우고 적용할 수 있게 되며 비판적 사고력을 배양하고 평생학습자로서의 자질을 키우며 의사소통능력과 상호협동능력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음을 제시했다. 프로젝트형 탐구학습은 최근 여러 학문영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 영재교육프로그램에서 그 사용은 그리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프로젝트형 탐구학습은 과학영재들의 특성과 잘 부합되므로 과학영재들을 위한 프로그램에 성공적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음을 본 연구는 시사하고 있다.

In the current classrooms a teacher has been merely able to inculcate the procedural knowledge of how-and-what. In doing so, however, we lose sight of the essence of "doing science."Though desire of the gifted children is qualitatively different from that of normal children, it is an undesirable reality that we have not developed sufficient researches and programs in conformity with the necessary desire and demand of the gifted children. Curriculum for gifted children in the domain of science necessitates markedly the specializations for the specific areas of the contents, the processes, and the products of studies. In an effort to provide the optimum learning experience for the gifted, this paper deals with the development of project-and-discovery-based science program, its method of application to the real field of education, and its effect, however limited and partial that effect may be. What this study has found are the following: on the one hand, the students acquired and developed the higher levels of thinking when they were under the influence of project-and-discovery-based science program that dealt with concrete real-world problems and issues; on the other, the students were capable of solving creatively the complex and real problems through small group activities. This study also suggests the possible implications of project-and-discovery-based science program: the students can not only learn the contents of study but also apply them creatively; the students can cultivate critical thinking skills that can be a fundamental base for a life-time leaner; the students can naturally acquire the abilities of communication and coordination. Project-and-discovery-based program is currently used in the various disciplines. However, the field of gifted education does not yet implement this type of program. So the overall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project-and-discovery-based science program in developing optimal teaming experience for gifted children in the domain of science, since this type of study is most compatible with the characteristic of the gifted children. childre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