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대기오염물질 산정 방법론 설정에 관한 비교 연구 (강남구의 실시간 교통량 자료를 이용하여)

Comparative Study on the Methodology of Motor Vehicle Emission Calculation by Using Real-Time Traffic Volume in the Kangnam-Gu

  • 박성규 (서울시립대학교 환경공학과) ;
  • 김신도 (서울시립대학교 환경공학과) ;
  • 이영인 (서울시립대학교 건축도시 조경학부)
  • 발행 : 2001.08.01

초록

대도시에서 자동차는 1차 대기오염물질의 가장 큰 발생원 중의 하나이기 때문에 자동차 오염물질을 감소시키기 위한 수많은 저감 대책이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저감 대책 연구의 대표적인 특징은 대기오염물질의 배출목록 자료의 구축 시 오염물질의 정량성과 공간적인 분포성에 대한 것이다. 자동차 오염물질을 산정 할 때 배출목록은 활동도 통계와 차종별 배출계수 자료 등이 수집되어야 한다. 대부분의 배출목록은 개별조사나 교통모델에 의한 수동적인 자료로서 자료가 수집되는 순간부터 과거 자료가 되는 특성을 지닌다. 따라서, 최근의 추세는 도시 교통제어시스템과 자동차가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 평가의 결합에 대한 연구가 추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교통 자료를 이용한 이동오염원의 배출량을 평가하기 위한 산출 기법을 비교하여 배출량 자료구축의 방향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대상지역에서 대표적인 자동차 오염물질 중 CO의 배출량을 산정 하였다. 교통자료는 서울시 강남구 지역(강남대로-영동대로와 역삼로-양재대로 축)에 설치되어 있는 교차로 검지기에서 수집되는 첨단교통신호시스템의 실시간 교통정보를 이용하였다. 실시간 교통정보 중 시간대별 통과 교통량과 통과속도 자료를 이용하여 시간대별 평균주행속도에 따른 배출계수와 각 도로의 길이를 고려하여 각 도로별·시간대별로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CO 배출량을 산정 하였다. 또한, 기존의 차종별 일일평균주행거리에 의한 방법으로 산정한 결과와 비교하여 각각의 방법에 따른 장·단점을 파악하여 자동차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5 nm 부근과 410nm 부근의 두 부분에서 최대 파장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410 nm 부근이 파장은 180일 이후에 형성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오늘날 주거형태 변화에 따라 담금용기를 항아리에 유리병으로 달리하여 보았을 때 맛과 향미, 색의 면에서 유리병에 담근 간장이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Scene editor, Spatial analyzer(Intersect, Buffering, Network analysis), VRML exporter. While, most other 3D GISes or cartographic mapping systems may be categorized into 3D visualization systems handling terrain height-field processing, 2D GIS extension modules, or 3D geometric feature generation system using orthophoto image: actually, these are eventually considered as several parts of "real 3D GIS". As well as these things, other components, especially web-based 3D GIS, are being implemented in this study: Surface/feature integration, Java/VRML linkage, Mesh/Grid problem, LOD(Level of Detail)

Traffic represents one of the largest sources of primary air pollutants in urban area. As a consequence. numerous abatement strategies are being pursued to decrease the ambient concentration of pollutants. A characteristic of most of the these strategies is a requirement for accurate data on both the quantity and spatial distribution of emissions to air in the form of an atmospheric emission inventory database. In the case of traffic pollution, such an inventory must be compiled using activity statistics and emission factors for vehicle types. The majority of inventories are compiled using passive data from either surveys or transportation models and by their very nature tend to be out-of-date by the time they are compiled. The study of current trends are towards integrating urban traffic control systems and assessments of the environmental effects of motor vehicles. In this study, a methodology of motor vehicle emission calculation by using real-time traffic data was studied. A methodology for estimating emissions of CO at a test area in Seoul. Traffic data, which are required on a street-by-street basis, is obtained from induction loops of traffic control system. It was calculated speed-related mass of CO emission from traffic tail pipe of data from traffic system, and parameters are considered, volume, composition, average velocity, link length. And, the result was compared with that of a method of emission calculation by VKT(Vehicle Kilometer Travelled) of vehicles of category.

키워드

참고문헌

  1. 21C 경기 대기보전 실천계획 경기도
  2. 대한교통학회지 v.17 no.4 교통수요 관리 기법을 활용한 환경오염비용의 내부화 방안 연구 김운수;엄진기;황기연;장지희
  3. 한국대기환경학회지 v.14 no.6 자동차 대기오염 물질이 고속도로 인접지역에 미치는 농도 예측에 관한 연구 박성규;김신도;김종호
  4. 한국환경위생확회 v.26 no.4 실시간 교통량을 이용한 고속도로 요금소 대기오염도 예측 박성규;김신도;이정주
  5. 대한교통학회지 v.17 no.3 차량위치파악을 위한 위성항법/개인이동통신/인터넷의 통합시스템 구현 및 분석 박영주;김호중;장석철;안병하
  6. 서울특별시 첨단교통신호시스템 시범설치공사 준공도면 서울지방경찰청
  7. 신신호시스템 평가 및 감리 연구 서울지방경찰청
  8. '99 서울시 교통량 조사자료 서울지방경찰청
  9. 서울시 교통센서스 및 데이터 베이스 구축(코든·스크린라인 교통량조사) 서울특별시
  10. 1999년도 정기속도조사자료 서울특별시
  11. 서울?계연보 v.38;40 서울특별시
  12. 서울시 대기환경개선 실천계획 서울특별시
  13.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연구원 도시과학논총 v.24 교통정보 종합처리센터 구축방향 연구 이영인
  14. 면 및 이동오염원 조사방법 개발 및 지침서 작성에 관한 연구 장영기;김동영;조규탁
  15. 한국대기환경학회지 v.9 no.1 자동차에 의한 오염물질 배출계수 및 배출량 산출에 관한 연구 조강래(등)
  16.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선오염원에 의한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서울지역을 대상으로) 조억수
  17. 대기오염 배출자료목록의 작성 표준과학연구원
  18. 서해안권역내 발전소 입지예정지역 주변의 대기오염원조사 한국대기환경학회
  19. 21세기 자동차배출가스 관리정책 방향 대토론회 환경부
  20. 환경백서 환경부
  21. 대기오염물질 배출량(1999) 환경부
  22. 自動車 交通公害 低減の ための 交通管理對策の 評? システム 本問正勝
  23.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v.50 Modal Emission Modeling : A Physical Approach Barth M.;An F.;Norbeck J.;Ross M.
  24. users manual COPERTⅡ Computer Programme to Calculate Emissions from Road Transport EU EEA
  25. Index to Methodology Chapters Ordered by SNAP97 Activity(second edition) v.Ⅱ Atomspheric Emission Inventory Guidebook EU EEA
  26. Journal of the Eastern Asia Society for Transportation Studies v.3 no.1 Estimating Urban Air Pollution Levels from Road Traffic in TRAMS Joseph Kwame AFFUM
  27. Atmospheric Environment v.23 Spatially Disaggregrated Emission Inventory for Anthropogenic NMVOC in Austria Loibi W.;Orthofer R.;Winiwarter W.
  28. Journal of the Air & Waste Mqnagement Association v.50 Development of a Microscale Emission Factor Model for CO for Prediction Real-Time Motor Vehicle Emissions Rakesh B. Singh;Alan H. Huber
  29. Journal of the Air & Waste Management Association v.50 Real world vehicle emission : A summary of the ninth coordinating research council on road vehicle emission workshop Steven H. Cadle;Robert A. Grose;Jr.;Brent K. Bailey;Douglas R. Lawson
  30. Journal of the Air & Waste Management Association v.47 Application of Computational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Traffic Emissions Sturms P.;Almbauer R.;Sudy C.;Pucher K.
  31. Report US EPA AP-42 v.Ⅱ Supplement A to Compilation of Air Pollution Emission Factors US EPA
  32. International Journal of Vehicle Design v.18 Comparative Assessment of European Tools to Estimate Traffic Emissions Zachariadis T.;Samaras 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