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첨단교통신호시스템

Search Result 30, Processing Time 0.04 seconds

A Study on Efficiency of the Real Time Signal Control Algorithm (첨단 신호제어 알고리즘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배분 녹색시간과 대기행렬 수요의 비교를 중심으로))

  • 문형택;김종학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b
    • /
    • pp.275-284
    • /
    • 1998
  • 신호화 교차로는 한정된 시간 자원을 각 접근로별로 서로 다른 수요에 적절하게 효과적으로 배분함으로써 그 운영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현재 서울시 기존 전자신호시스템은 검지기체계를 갖추고 있으나 주로 시간대별 제어방식(TOD제어)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실시간 교차로신호제어시스템인 이른바 첨단신호시스템이 개발되어 서울시 강남지역 61개소에서 시범운영중에 있다. 첨단신호시스템은 접근로별 수요에 따라 녹색시간을 배분하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첨단신호시스템의 운영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제 교통수요와 운영녹색시간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방출차량에 의한 포화도의 비율을 고려하여 주기 및 녹색시간을 결정하는 첨단신호제어시스템의 알고리즘은 비포화시 직진이동류에 대한 녹색시간은 수요에 비해 과대산출운영되고 있다. 둘째, 좌회전의 경우 대기차량의 패턴이 불규칙할 때, 실시간 녹색시간제어기능이 미흡하다. 따라서, 향후에는 교통수요를 고려할 수 있는 알고리즘의 보다 심도있는 연구·개발이 요구되며, 또한 비포화 상황이 아닌 과포화 상황에도 적용될 수 있는 알고리즘의 개발이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보인다.

  • PDF

The optimal traffic signal control method using the symbolic timing analysis (신호제어 변수들의 기호적 시간해석을 이용한 최적 교통 신호제어 방법)

  • 윤동영;이종근;지승도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2002.05a
    • /
    • pp.43-49
    • /
    • 2002
  • 본 연구는 첨단 신호 시스템 알고리즘의 최적해를 구하는 문제를 기호적 시뮬레이션 기법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한다. 최근 지능형 교통 시스템의 일환으로 최적화 된 교통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신호제어기법들이 많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신호제어기법은 복잡한 교통환경에서 신호제어 변수간의 다양한 상호작용의 모든 해를 제공할 수 없는 한계를 지닌다. 한편 기호적 시뮬레이션 기법은 발생 가능한 모든 사건과 시간관계를 자동 생성시킴으로써 동적으로 변화하는 다양한 교통환경에 대해서 신호제어 변수간의 모든 시간관계를 추론해 낼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하지만 기호적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모델링에 있어서 교통량과 같은 양적인 요소들의 기호적 표현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교통량과 같은 양적인 요소들을 시간에 따른 변화량으로 해석하여 첨단 신호 시스템 알고리즘의 최적해를 구하는 문제에 접근한다. 이를 위해 국내 첨단 신호 시스템을 대상으로 신호제어 전략에 필요한 양적 요소를 검토하고, 이러한 양적 요소를 시간에 따른 변화량으로 해석하여 모델링 하고, 기호적 시뮬레이션 실험을 수행하여 최적신호 제어 알고리즘을 생성한다.

  • PDF

Development of a Microscopic Traffic Simulator for Evaluating Signal Operating Strategy of Traffic Adaptive Control System (첨단신호시스템의 신호제어전략 평가를 위한 미시적 시뮬레이터의 개발)

  • 이영인;한동희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1 no.2
    • /
    • pp.83-94
    • /
    • 2003
  • Many cities, recently, have convertedoptimized fixed-time control to adaptive traffic system in the control of their signalized traffic network. The expected benefit from the adaptive traffic system is its ability to constantly modify signal timing to most effectively accommodate changed traffic conditions. While the potential benefits from this control structure may be significant, few studies have compared the effect of implementing this method of signal control against other alternative signal control strategies, because it is too difficult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the real-time adaptive system.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 to develop a microscopic simulator and to compare the effect at isolated intersections, corridors, and networks between the fixed signal timing plan and adaptive traffic signal system. This simulator will have allowed more sophisticated analysis techniques for the study of traffic control. Also, this research using this simulator evaluated a real-time traffic responsive signal system used in Seoul Korea

Development of a Micro-Simulator Prototype for Evaluating Adaptive Signal Control Strategies (교통대응 신호제어전략의 평가를 위한 미시적 시뮬레이터의 원형 개발)

  • 이영인;김이래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9 no.6
    • /
    • pp.143-160
    • /
    • 2001
  • Micro-simulation models have been recognized as an efficient assessment tool in developing traffic signal control technologies. In this paper a prototype of a microscopic simulation model which can be appli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raffic-adaptive signal control strategies was developed. In the simulation process, space-based arrays were appled to estimate parameters of car following and lane changing models. Two levels of link types, a micro-type and macro-type links, were also embodied in the simulation process. The proposed model was tested on a test network consists of 9 intersections.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odel was evaluated in link by link comparisons with the results of NETSIM.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odel could appropriately simulate traffic flows of the test network. The model also produces traffic adaptive signal timings, cycle lengths and green times for turning movements, based on the detector data. It implies that the optimization process of the model produces reasonable signal timings for the test network on the cycle basis.

  • PDF

Determination Method of Signal Timing Plan Using Travel Time Data (통행시간 자료를 이용한 신호시간계획의 결정 방법)

  • Jeong, Young-J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3
    • /
    • pp.52-61
    • /
    • 2018
  • This research suggested the traffic signal timing calculation model for signal intersections based on sectional travel time. A detection system that collects sectional travel time data such as Urban Transport Information System(UTIS) is applied. This research developed the model to calculate saturation flow rate and demand volume from travel time information using a deterministic delay model. Moreover, this model could determine the traffic signal timings to minimize a delay based on Webster model using traffic demand volume. In micro simulation analysis using VISSIM and its API ComInterface, it checked the saturation conditions and determined the traffic signal timings to minimize the intersection delay. Recently, sectional vehicle detection systems are being installed in various projects, such as Urban Transportation Information System(UTIS) and Advanced 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ATMS) in Korea. This research has important contribution to apply the traffic information system to traffic signal operation sector.

PQR array chip technology in traffic signal system (광양자테 레이저 어레이를 이용한 교통 신호 시스템)

  • Kim, Young-Chun;Shin, Mi-Hyang;Chae, Kwang-Hyun;Kim, Tae-Kyum;Kwon, O-Da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1627_1628
    • /
    • 2009
  • 도로 교통에서의 보행자 안전을 위해 광양자테 레이저 어레이를 이용한 첨단 교통 신호 시스템 응용 기술을 소개한다. 저소비 전력 및 온도 특성이 뛰어난 광양자테 레이저는 대규모 어레이로 제작이용이하며 고속 모듈레이션 및 색순도 등이 뛰어나 광학 투사 시스템을 이용해 고해상도의 글자체 및 영상 구현이 가능하다. 횡단 보도 인근에 고집적, 고출력의 글자체 광양자테 레이저 어레이를 도로 바닥에 투사 및 영상화 시킴으로써 운전자 및 보행자의 교통 사고 예방에 획기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 PDF

Paramics Microscopic Simulation Model Application to Transportation Management Alternative Evaluation

  • 김원규;최기주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2001.05a
    • /
    • pp.106-106
    • /
    • 2001
  • 네트웍의 용량의 개념이 없는 미세한 교통혼잡 도구로서 Microscopic시뮬레이션 모형인 Paramics가 소개된다. 모형의 기본구조가 설명되고, 특히 응용사례로서 서울시 교통관리 시스템을 설치함에 있어서 대안의 평가에 따른 제반 결과의 척도를 이끌어 내는 절차가 소개되었고, 아울러 결과가 분석되어 제시되었다. 이는 미시적 교통 시뮬레이션을 위한 고성능의 소프트웨어로서 각 차량들은 상세한 속성들을 가지고, ITS와 운전자와의 인터페이스를 모델링 할 뿐만 아니라 정확한 교통류, 대중교통 시간, 혼잡정보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바 적용 분야로서 여기까지가 있으나 혼잡이 있는 도로 네트워크 및 일반도로 네트워크와 ITS 인프라의 존재상황에서 제반 모델링이 가능한바 이를 통한 도시고속도로 관리시스템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신호의 영향, 첨단신호제어, 램프 미터링, 루프 검지기, 다양한 속도 표지, VMS 정보전략 등의 기능을 소개하고 금번 서울시의 사례를 통한 모형의 장단점을 보고한다. 아울러 이 시뮬레이션 모형의 한계도 함께 지적되었다.

  • PDF

Development of a Bi-objective Cycle-free Signal Timing Model Using Genetic Algorithm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이중목적 주기변동 신호시간 결정 모형 개발)

  • 최완석;이영인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5
    • /
    • pp.81-98
    • /
    • 2002
  • This paper documents the development of a bi-objective(minimizing delays and Queue lengths) cycle-free signal timing length model using Genetic Algorithm. The model was embodied using MATLAB. the language of technical computing. A special feature of this model is its ability to concurrently manage delays and queue lengths of turning movement concurrently. The model produces a cycle-free signal timing(cycles and green times) for each intersection on the cycle basis. Appropriate offsets could be also accomplished by applying cycle-free based signal timings for respective intersections. The model was applied to an example network which consists of four intersections. The result shows that the model produces superior signal timings to the existing signal timing model in terms of managing delays and queue lengths of turning movements.

A Study on Network Based Traffic Signal Optimization Using Traffic Prediction Data (교통예측자료 기반 Network 차원의 신호제어 최적화 방안)

  • Han, Jeong-hye;Lee, Seon-Ha;Cheon, Choon-Keun;Oh, Tae-ho;Kim, Eun-Ji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4 no.6
    • /
    • pp.77-90
    • /
    • 2015
  • An increasing number of vehicles is causing various traffic problems such as chronic congestion of highways and air pollution. Local governments have been managing traffic by constructing systems such a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ITS) and Advanced Traffic Management Systems (ATMS) to relieve such problems, but construction of an infrastructure-based traffic system is insufficient in resolving chronic traffic problems. A more sophisticated system with enhanced operational management capabilities added to the existing facilities is necessary at this point. As traffic patterns of the urban traffic flow is time-specific due to the different vehicle populations throughout the time of the day, a local network-wide signal operation plan that can manage such situation-specific traffic patterns is deemed to be necessary. Therefore, this study i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establishment of a plan for contextual signal control management through signal optimization at the network level after setting the Frame Signal in accordance to the traffic patterns gathered from the short-term traffic forecast data as a means to mitigate the problems with existing standardized signal oper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