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부모와 별거 성인자녀와의 가족유대: 정서적 지원에 대한 교환이론적 접근

Family Ties between Aging Parents and Adult Children Living in Separate Households: Social Support from a Social Exchange Perspective

  • 정기원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부)
  • 발행 : 2001.01.01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노부모에 대해 따로 살고 있는 성인자녀가 제공하는 정서적 지원의 크기가 어떤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세대간 가족관계에 있어서의 교환이론적 접근을 분석틀로 하고, \`1998년도 전국 노인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조사\` 의 자료를 바탕으로 노부모에 대한 별거 성인자녀의 정서적 지원과 이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여겨지는 요인들-노부모의 인구학적 특성, 상호교환에 있어서의 보상자원 소유여부, 그리고 피 부양욕구-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다단계 군집 표집법을 통해 추출된 전국의 9,355가구에서 2.535명의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자료가 수집되었는데, 이들 중에서 별거 성인자녀가 있는 2.205명을 분석한 결과 잠재적 보상자원을 지니고 있는 노부모에 대한 별거 성인자녀의 정서적 지원이 잠재적 보상자원을 지니지 못한 노부모의 경우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다른 자녀와 함께 살고 있는 독신 노인에 대한 별거 성인자녀의 정서적 지원이 가장 낮았으며, 수단적 일상생활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정도가 심한 노인일수록 별거 성인자녀들로부터 낮은 수준의 정서적 지원은 받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의 일부는 세대간 가족관계가 교환이론을 바탕으로 설명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주고 있으나, 분석에 포함된 변수들이 전체 노민들에게서 나타나고 있는 정서적 지원의 변량을 8.9퍼센트밖에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factors affecting emotional support between aging parents and adult children living in separate households. With a social exchange perspective on intergenerational family relationship as theoretical framework, the effects of aging par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otential reward resources. and need for care were tested by analyzing data collected from 2.535 persons aged 65 and over in 9,355 sample households of \`National Survey of Living Status and Welfare Needs of the Elders-1998\`. The statistical analysis of 2,205 aging parents with adult children living in seperate households reveals that the aging parents who have potential reward resources are provided more emotional support by their children than the aging parents without resources are. Findings also show that the elders who live in same households with their own children, and need help from other people with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obtain less emotional support from their children living in separate households. The empirical findings of this study support the social exchange perspectives on family ties between aging parents and adult children living in separate households. but only 8.9 per cents of variance in degree of emotional support is explained by the variables included in the model.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