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지역의 정보화와 지역발전: 원주 정보화시범마을 사례

Rural Telematics and the Possibilities for Regional Development: The Case of Information Model Village in Weonju, Korea

  • sungjae Choo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Geography,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 발행 : 2001.12.01

초록

이 연구는 농촌지역에 있어 컴퓨터의 보급, 또는 보다 광범위하게 정보화의 확산이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강원도 원주시의 정보화시범마을로 지정된 황둔 송계마을을 사례지역으로 하여 컴퓨터의 보급 활용의 특성으로부터 지역발전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마을주민들의 컴퓨터사용은 인터넷, 이메일, 마을홈페이지 활용 등의 측면에서 초보적인 수준이지만, 라이프스타일과 마을공동체의 형성에 있어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잠재력이 높고 따라서 지역발전의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이 발견된다. 이러한 긍정적인 변화는 주민들이 컴퓨터사용으로부터 얻는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혜택을 증대시킴으로써 가능하다고 보인다. 무엇보다도 필요한 것은 컴퓨터의 보급은 외적 동기에 의하여 이루어졌지만 이를 내적 동기로 전환시키고 보다 활발하게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일이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capacity of impacts that the diffusion of networked computer in rural areas, or so-called rural telematics, has on regional development schemes. It is accomplished mainly by a case study of a small rural village near the city of Weonju, Korea, which has been recently designated as an information model village by the provincial government and given supports for information infrastructure. The case study shows that although the residents'computer use is confined to a very elementary level in every respect of using internet, e-mails, and visiting village portal site, there is high potential that extended use of networked computer would bring positive changes in life-styles and community formulation, and hence new possibilities of regional development. These positive moves will be possible by increasing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benefits that the residents receive from using computer facilities. One of the important prerequisites is to transform external motivation to internal one and to lead the residents to a more active use of computer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