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Salinity on Spontaneous Maturation and Induced Spawning in Seabass, Lateolabrax japonicus

실내사육 농어, Lateolabrax japonicus의 성 성숙 및 산란 유도를 위한 염분의 영향

  • 한형균 (국립수산진흥원 거제수산종묘시험장) ;
  • 강덕영 (국립수산진흥원) ;
  • 허성범 (부경대학교 양식학과) ;
  • 전창영 (국립수산진흥원 거제수산종묘시험장)
  • Published : 2001.12.01

Abstract

To study the effect of salinity on maturation and spawning, two series of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during November, 1998- July, 1999 and January, 1999- March 2000. In the first series, the control group (C) was reared at 14.3$^{\circ}C$ and 35.1$\textperthousand$ S, but the experimental group was reared at 33.8$\textperthousand$ S. In the second series, they were also exposed to approximately the same temperature but the experimental group was reared at still lowered salinity of 2p.6$\textperthousand$. Survival, food intake and growth of the experimental groups in either series reared at lower salinitie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ir respective control groups. At lower salinity, larger number of females attained spontaneous sexual maturity and successfully spawned. Hatching success of the eggs spawned by the experimental females reared at lower salinities was also higher (54-56$\textperthousand$) than that (~19%) of the control group reared at higher salinity.

본 연구에서는 농어과, 농어속 어류인 농어(L. japonicus)어미를 대상으로 2회에 걸쳐 성 성숙 및 자연 산란유도에 있어 염분의 영향을 조사하여 인위적 성숙 및 산란 조절가능성을 파악하였다. 실험기간 동안의 평균수온은 1차 실험의 대조구에서 14.3$\pm$1.1$^{\circ}C$, 저염분구에서 14.2$\pm$1.1$^{\circ}C$였고, 2차 실험의 대조구에서 15.8$\pm$1.2$^{\circ}C$, 저염분구에서 15.4$\pm$1.1$^{\circ}C$로 나타나 실험구에셔 15.8$\pm$1.2$^{\circ}C$, 저염분구에서 15.4$\pm$1.1$^{\circ}C$로 나타나 실험구간 유의차는 없었다. 그리고 성 성숙과 산란시기로 판단되는 11~2월 사이의 월별 평균수온은 1차 실험의 대조구에서 각각 10.6$\pm$0.8$^{\circ}C$~13.8$\pm$0.4$^{\circ}C$였고, 저염분구에서 각각 10.6$\pm$0.8$^{\circ}C$~14.6$\pm$1.4$^{\circ}C$로 나타났다. 2차 실험의 실험구 I은 각각 10.7$\pm$0.5$^{\circ}C$~15.8$\pm$1.$0^{\circ}C$였고, 실험구 II는 각각 10.3$\pm$0.9$^{\circ}C$~15.7$\pm$0.7$^{\circ}C$로 나타났다. 실험기간 동안의 평균염분은 1차 실험의 대조구에서 35.1$\pm$0.2$\textperthousand$, 저염분구에서 33.8$\pm$0.6$\textperthousand$였고, 2차 실험의 대조구에서 34.5$\pm$0.4$\textperthousand$, 저염분구에서 월별 평균염분은 1차 실험에서 각각 31.0$\pm$3.7~35.2$\pm$0.7$\textperthousand$(최저염분은 26.5$\textperthousand$)였고, 2차 실험에서 각각 24.8$\pm$0.9~35.1$\pm$0.7$\textperthousand$(최저염분은 23.4$\textperthousand$)였다. 각 실험구별 개체당 일간 사료섭식량은 1차와 2차 실험에서 저염분구가 대조구보다 많은 사료를 섭식했고, 또한 성장률 및 생존율도 두 번의 실험 모두에서 저염분구가 해수만을 공급한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 어미의 성 성숙 및 산란은 두 번의 실험에서 대조구보다 저염분구에서 원만히 이루어졌다. 암컷 성숙 개체의 경우 1차 실험은 대조구 6마리, 저염분구 12마리였으며, 2차 실험은 대조구 5마리, 저염분구 12마리였으며, 2차 실험은 대조구 5마리, 저염분구 14마리로서 성숙유도에 있어 염분의 조절에 의한 성숙이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산란 시기는 1차 실험에서 대조구나 저염분구의 산란 개시 시점이 거의 동일한 데 비해, 2차 실험에서는 저염분구가 대조구에 비해 대략 20일 정도 빠르게 나타났다. 또한 산란에 가입한 암컷 어미의 개체수도 두 차례의 실험 모두 저염분구가 많았다. 또한 알의 크기 면에서도 저염분구가 대조구의 53.8$\pm$4.6%을 나타낸 반면 대조구는 19.3$\pm$2.3%로 낮았고, 2차 실험에서도 대조구에서 산란된 알의 대부분이 과숙상태여서 정상적인 부화가 이루어지지 못한데 비해 저염분구의 알들은 56.4$\pm$7.1%의 부화율을 나타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Riv. Ital. Aquacult. v.24 Induction of spawning in the gilthead sea bream, Sparus aurata L. by elevation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and by HCG and LH-RH analogue treatments Colombo, L.;A. Francescon;A. BArbaro;P. Belvedere;P. Melotti
  2. Fish Physiol. Biochem v.4 Annual cycle of plasma insulin and glucose of sea bass. Dicentrarchus labrax, L. Gutierrez, J.;J. Fernandez;M. Carrillo;S. Zanuy;J. Planas
  3. Aquaculture v.188 The effects of salinity on reproductive development, plasma steroid levels, fertilization and egg survival in black bream, Acanthopagrus butcherii Haddy, J. A.;N. W. Pankhurst
  4. Auuaculture v.105 Effects of dietary lipid and carbonhydrate levels and chronic 3,5,3' -triiodo-L- thyronine treatment on growth, appetite, food and protein utilization and body composition of immature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at low termperature Higgs, D. A.;B. S. Dosanjh;L. M. Uin;B. A. Himick; J. G. Eales
  5. Nippon Suisan Gakkaishi v.59 Distribution patterns of sea bass. Lateolabrax japonicus eggs and greenling, Hexagrammos otakii larvae in relation to water masses in the Kii channel and adjacent waters in winter Horiki, N.
  6. Mass production of seabass, Lates calcarifer (Bloch) by environmental manipulation Kungvankij, P.;N. Suthemechaikul
  7. Comp. Biochem. Physiol. v.93 Experimental inductionof vitellogenin synthesis in eel (Anguilla anguilla) adapted to sea-water or freshwater Peterson, I.;B. Korsgaard
  8. Fish. Sci. v.64 Use of otolith microanalysis to determine cstuarine migrations of Japanese sea bass Lateolabrax japonicus distributed in Ariake Sea Secor, D. H.;T.Ohta;K. Nakayama;M. Tanaka
  9. Proceedings of The North Pacific Aquaculture Symposium Sexual maturation of coho salmon (Oncorhynchus kisutch) : Accelerated ovulation of salmon in freshwater and seawater Sower, S. A.;C. B. Schreck;Melteff, B. R.(ed.);R. A. Neve(ed.)
  10. J. Fish. China Shuichan Xuebao v.18 The reproductive biology of Lateolabrax japonicus in the Yangtze River esturary and Zhejiang offshore waters Sun, G.;Zhu, Y.;Zhou, Z.;Chen, J.
  11. J. World Aquacult. Soc. v.25 Oocyte growth of the striped mullet Mugil cephalus L. masturing at different saliniteis Tamaru, C. S.;C. S. Lee;C. D. Kelley;G. Miyamoto;A. Moriwake
  12. Oceanol. Limnol. Sin. Haiyang Yu Huzhao v.20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distribution of eggs, larvae and juveniles of the Engraulis japonicus (Temminck and Schlegel) and Anchoviella commersonii (Lecepede) in the Changjiang River Estuary Wu. G.
  13. Aquaculture of Sea Bass and Sparids L. Delayed spawning of sea bass after rearing at low salinity Zanuy, S.;M. Carillo;Barnabe G.(ed.);R. Billard(ed.)
  14. 한국양식학회지 v.5 태바성 성선자극호르몬 (Iluman Chorionic Gonadortropin) 처리에 의해 미꾸라지의 산란유도 및 연중 다산란 유도를 위한 연구 김동수;김종현;박인석
  15. 한국양식학회지 v.10 능성어, Epinephelus septermfasciatus의 번식 생물학적 연구. Ⅰ. HCG 처리에 의한 배란유도 김병호;김경민;이영돈;송춘복;노섬
  16. 광주기와 호르몬 처리에 의한 점농어(Lateolabrax maculatus)의 성숙과 배란유도 노용길
  17. 한국양식학회지 v.11 no.1 호르몬 처리 (in vitro 실험)에 의한 농어, Lateolabrax japonicus의 난성숙과 배란유도 박혜자;김형배;안철민;명정인
  18. 한국양식학회지 v.9 인간의 태반성 성선자극호르몬 또는 성선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 유도체와 pimozide에 의한 황보의 배란유도 장선일
  19. 한국양식학회지 v.12 태반성 성선자극호로몬(HCG) 처리에 의한 독가시치, Signus canaliculatus의 배란유도 황형규;이정의;양상근;노섬;강용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