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부 대동맥 질환에서 스텐트-그라프트의 임상적 적용

Clinical Application of Stent-graft in Thoracic Aortic Diseases

  • 김경환 (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 교실) ;
  • 이철 (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 교실) ;
  • 장지민 (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 교실) ;
  • 정진욱 (서울대학교병원 진단방사선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 교실) ;
  • 안혁 (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 교실) ;
  • 박재형 (서울대학교병원 진단방사선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 교실)
  • Kim, Kyung-Hwan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Cheul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ang, Ji-Min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ung, Jin-Wook (Department of Rad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Ahn, Hyuk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Park, Jae-Hyung (Department of Rad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발행 : 2001.09.01

초록

배경: 하행 흉부대동맥류를 포함한 대동맥 질환을 가진 환자들에서 히생한 대동맥내 스텐트-그라프트 삽입술의 치료효과와 추적성적 및, 대상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을 통해 치료방법으로서의 적응과 역할을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이후 모두 8명의 환자에서 진단방사선과와 협진으로 스텐트-그라프트 삽입술을 시행하였으며, 시술 전 진단으로는 외상성 대동맥 파열이 3례, 동맥경화증성 대동맥류 3례, 흉부가성대동맥류 파열 1례, 매독성 대동맥염에 의한 흉복무대동맥류가 1례였다. 시술은 혈관조영실에서 혈관조영을 하면서 시행하였고, 전신마취가 3례, 국소마취가 3례였고, 2례에서 경막외 마취하에 시술하였으며, 사용한 스텐트-그라프트는 0.35mm 굵기의 스테인레스 강철사를 지그재그 형태로 구부려 만든 스텐트를 서로 연결하고 인조혈과(Dacton)을 입힌 후 봉합한 것으로 제조회사에 의뢰하여 자체제작 하였다. 결과: 시술받은 환자의 전례에서 스텐트-그라프트 삽입시 기술적 어려움은 없었으며, 스텐트-그라프트 삽입후 4일에서 7일 사이에 시행했던 추적검사(4례)에서 스텐트-그라프트 주위부 누출이나 당초 목표했던 위이에서의 이탈은 없었다. 1례의 외사성 대동맥 파열이 었었던 환자가 시술 후 13일째 급성호흡곤란증후군 및 다장기부전으로 사망하였고, 매독성 대동맥염이 있었던 흉복부 대동맥류 환자가 시술 후 6일째 상행대동맥 및 대동맥궁에 대한 수술을 시행받고 술후 22일째 문합부위 파열로 사망하였다. 결론: 대동맥내 스텐트-그라프트를 이용한 흉복부 대동맥 질환의 치료는 수술에 따른 이환률 및 사망률을 고려할 때 특히 다장기부전으로 수술이 어려운 경우 또는 수술 후 합병증의 발생이 강력히 우려되는 경우에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는 치료의 한 방편으로서 의미를 가진다고 사료된다.행성 이하선염과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외피가 있는 170-180nm 이었다.TEX>$\pm$0.10(100분), 0.46$\pm$0.11(120분), 0.52$\pm$0.15(심폐기 재가동 30분), 0.62$\pm$0.15(60분), 0.76$\pm$0.17(심폐기이탈 30분), 0.81$\pm$0.20(60분), 0.84$\pm$0.23(90분) and 0.94$\pm$0.33(120분)를 보였고 이는 역행성 뇌관류 전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된 소견이었다(p<0.05). 뇌신피질, 기저핵, 해마에서 전자현미경 조직 소견을 관찰하였으며 마이토콘드리아의 부종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론 : 역행성 뇌관류 120분 후에 S100 베타 단백의 유의한 증가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뇌조직 손상과의 관련성은 좀 더 연구되어야 할 부분으로 생각된다. 장기 생존 모델을 통한 재평가가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심폐바이패스 시행 등의 교란 인자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비해 Progenitor II의 형질전환 효율이 현저히 떨어졌다. L. acidophilus HY7008과 HY7001은 두 기기 모두 형질전환이 이루어졌으나, L. acidophilus WEISBY와 NCFM은 Progeni-tor II에서 전이가 일어나지 않았으며, Gene Pulser에서 전이균주를 얻어 두 electroporator간에 형질전환 효율의 차이를 보였다. 11. L. casei 102S에 pLZ12를 electroporation시 낮은 전압에서 형질전환 효율이 비교적 좋았으며, 배양 시기를 달리하여 전이시켰을 때 대수생장 말기의 세포가 형질전환 효율이 좋았다. 12.

Background: Endovascular stent-graft insertion in aortic diseases is now generally accepted as an attractive alternative treatment modality. We reviewed our clinical experiences of endovascular stent-graft insertion in thoracic aorta. Material and Method: Since 1995, we performed 8 cases of endovasclar stent-graft insertion. Preoperative diagnoses were aortic aneurysms in 4, traumatic aortic ruptures in 3, and ruptured aortic pseudoaneurysm in 1. All procedures were performed in angiography room with the guidance of fluoroscopy. The stent-graft device is a custom-made 0.35mm thickness Z-shaped stainless steel wires, intertwined with each other using polypropylene suture ligation. It is covered with expanded Dacron vascular graft. Result: All procedures were performed successfully. Follow-up studies revealed 2 minimal perigraft leakages. There was no significant leakage or graft migration. 2 patients expired due to multiple organ failure and fungal sepsis. Other survivors(6) are doing well. Conclusion: Endovascular stent-graft insertion is relatively saft and effective treatment modality in the managment of various types of aortic diseases. In may be an effective alternative in aortic diseases of great surgical risk.

키워드

참고문헌

  1. 대한방사선의학회지 v.40 대동맥류에 대한 Gianturco 스텐트와 PTFE를 이용한 스텐트-그라프트의 임상적 응용 박재형;송순영;정진욱, et al
  2. Ann Thorac Surg v.67 Thoracic aourtic aneurysm repair with an endovascular stent graft: the "First Generation" Mitchell RS.;Miller DC.;MD.;Semba CP.;Moore KA;Sakai T.
  3. Surg Clin North Am v.79 Endovascular treatment of descending thoracic aortic aneurysm and dissections Fann JI;Miller DC.
  4. N Eng J Med v.340 Endovascular stent-graft placement for the treatment of acute aortic dissection Dake MD.;Kato N.;Mitchell RS. et al
  5. N. Eng J Med v.340 Nonsurgical reconstruction of thoracic aortic dissection by stent-graft placement. Nienaber CA.;Fattori R.;Lund G. et al
  6. J Thorac Cardiovasc Surg v.111 Endovascular stent-graft repair of thoracic aortic aneuryams Mitchell RS.;Dake MD.;Semba CP. et al.
  7. Circulation v.87 Outcomes of stent-graft treatment of false lumen in aortic dissection Kato M.;Matsuda T.;Kaneko M. et al
  8. N Eng J Med v.331 Transluminal placement of endovascular stent-grafts for the treatment of descending thoracic aortic aneurysms Dake MD.;Miller DC.;Semba CP.;Mitchell RS.;Walker PJ.;Liddell RP.
  9. Ann Thorac Surg v.66 Endovascular stent graft repair for aneurysms on the descending thoracic aorta Ehrlich M.;Grabenwoeger M.;Cartes-Zumelzu F. et al.
  10. J Thorac Cardiovasc Surg v.117 Percutaneous balloon fenestration and stenting for life-threatening ischemic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acute aortic dissection Slonim SM.;Miller DC.;Mitchell RS.;Semba CP.;Razavi MK.;Dake M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