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ection of Alimentary Tract Viruses in Busan: 1998-2000

1998-2000년 부산지역 소화기계 바이러스의 탐색

  • 조경순 (부산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
  • 김영희 (동의대학교 미생물학과)
  • Published : 2001.12.01

Abstract

Incidence of infectious viruses is ensuing throughout the world and threatening the health of children as well as adults. The outbreaks of viral diseases of alimentary tract in Pusan from 1998 to 2000 were detected. Viruses were isolated from stool specimens, cerebrospinal fluid and throat swabs from suspicious patients and confirmed by cell culture, latex agglutination test, indirect immunofluorescent test and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The average isolation rate was 12.5% from the suspected specimens. From this work, 2 cases of enteric adenoviruses, 23 cases of echovirus, 31 cases of coxsackivirus 36 cases of rotavirus, 45 cases of SRSV, and 7 cases of poliovirus were detected. The major serotypes of coxsackievirus were B2, B3, B4, B6 and echovirus of serotypes 6, 9, 11, 25, and 30 were examined. Two cases of enteric adenovirus type 41 were also confirmed. The incidence of SRSV was mostly concentrated between December through following March, April through October with echovirus and coxsackievirus, and January through April with rotavirus, respectively. Electron micrograph of negative-stained viruses showed typical appearance with 30-80 nm in diameter.

감염성 바이러스의 발생은 세계적인 현상으로 어린이는 물론 성인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는 설정이다. 1998년-2000년 사이에 부산지역 바이러스성 전염병 유행예측사업의 과정에서 소화기계 바이러스가 탐색되었다. 의심되는 환자의 대변 및 뇌척수액, 인후가검물에서 세포배양, Latex 응집반응, 간접면역형광항체법, 전자현미경 관찰 등을 행하여 바이러스를 확인하였다. 총 검체 중에서 바이러스의 확인 율은 12.5% 이었다. 이 과정을 통하여 3 사례의 장 adenovirus 및 , 23 사례의 echovirus, 31 사례의 coxsackievirus, 36 사례의 rotavirus, 45 사례의 small round structued virus (SRSV), 7 사례의 poliovirus가 확인되었다. 확인된 주요 혈청형으로는 장 adenovirus 41형 및 echovirus 6, 9, 11, 25, 30형, coxsackievirus B2, B3, B4, B6 형 등이 탐색되었다. 각 바이러스의 월별 발생별로는 SRSV는 12월에서는 다음해 4월 사이, echovirus와 coxsackievirus는 4월에서 10월 사이에, rotavirus는 1월에서 4월사이에 각각 분리 율이 높았다. 전자현미경 관찰에서는 30-80 nm의 작은 크기의 바이러스들이 확인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대한바이러스학회지 v.25 Small round-structured virus(SRSV)의 국내에서의 중요도 및 국내 분리주(Seoul-SRSV) 유전자의 염기서열에 관한 연구 김경희
  2. 대한바이러스학회지 v.26 General-primer를 이용한 무균성 뇌막염원인 바이러스 분석 김문보;김기순;배유병;송철용;윤재득;이광호;신학균
  3. 대한바이러스학회지 v.28 한국인 영아에서 분리된 G1 로타바이러스의 G7 단백유전자 염기서열 및 발현 김원용;송미옥;박철민;임성준;김기정;정상인;최철순;임인석
  4. 소아감염 v.3 무균성 뇌막염에서 증상발현부터 진단까지 걸린 시간에 따른 시기별 유병기간의 검토 김탁수;허지연;박영희;정민구;김성원
  5. 대한미생물학회지 v.32 한국형 사람 로타바이러스의 단편지놈 양상 및 변이:1989-1994 김희태;김경희;김지애;조양자;김대근;최태열
  6. 대한바이러스학회지 v.27 한국에 산재하는 사람 Calicivirus의 다양한 유전자군: 1987-1994 남기범;김지애;양재명;김경희
  7. 소아감염 v.5 1997년에 부산지역에서 유행한 무균성뇌막염 박영희;김원정;손병희;김성원
  8. 감염 v.29 1996년 봄철 무균성 뇌막염 환아에서 원인 바이러스 검출 박소미;유정우;김동수;윤재득;이홍래;김기순;배유병
  9. 한국환경과학회지 v.8 부산지역 무균성 뇌막염 원인 바이러스의 분리 및 동정 조경순;김만수;정구영;민상기;구평태;김병준;윤재득;지영미;김기순;김영희;정영기
  10. 미생물학회지 v.34 1998년 부산지역 수족구병 환아로부터 echovirus 25혈청형의 분리 조경순;김영희
  11. 대한바이러스학회지 v.29 원주지역 설사환자에서 분리한 small round structured viruses (SRSV) 염기서열 분석 지영미;김기순;천두성;박정구;강영화;정윤석;고운영;신영학;윤재득
  12. 대한바이러스학회지 v.27 한국형 사람 calicivirus의 RNA-dependent RNA polymerase diversity 한동표;김지애;양재명;김경희
  13. J. Clinical Microbiol. v.20 Diagnosis of fastidious enteric adenoviruses 40 and 41 in stool specimens Brown, M.;M. Petric;P.J. Middleton
  14. The Lancet v.345 Isolation of subgenus B adenovirus during a fatal outbreak of enterovirus 71-associated hand, foot, and mouth disease in Sibu Sarawak. Cardosa, M.J.;S. Krishnan;P.H. Tio;D. Perera;S.H. Wong
  15. J. Life Science v.10 Detection of adenovirus from respiratory and alimentary tract in Pusan, 1999 Cho, K.S.;Y.H. Kim
  16. J. Pediatr. v.113 Association of clinical presentation, laboratory findings virus serotypes with the presence of meningitis in hospitalized infants with enterovirus infections Dagan, R.J.
  17. J. Infect. Dis v.146 Enteroviral diseases in the United States, 1970-1977 Moore, N.
  18. Environ Sci. Tech. v.29 Detection of fastidious infectious enteric viruses in water Pinto, R.N.;R. Gaiardo;F.X. Abad;A. Bosch
  19. J. Clinical Microbiol. v.26 Genome variants of human adenovirus types 40 and 41 (subgroup F) in Japan Shinozaki, T.;K. Araki;M. Kovayashi;Y. Fujita;T. Abe;H. Shijima
  20. J. Clinical Microbiol. v.20 Importance of enteric ung children Uhnoo, I.;G. Wadell;L. Svensson;M.E. Johans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