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Cooperative Learning Teaching Aids for clothing and Textiles in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중학교 가정과 의생활 영역의 협동학습 지도안 개발

  • 심은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가정교육전공) ;
  • 손원교 (강원대학교 가정교육과)
  • Published : 2001.04.01

Abstract

This study is to develop teaching aids in the area of Clothing and Textiles based on cooperative learning as an alternative to increase the quality of Home Economics class. It is very difficult to control students because of noise coming from activities. when teachers teach students with cooperative learning strategy a classroom with restricted space. Sometimes the activities will disturb other classes in the school. which will harm the real purpose of cooperative learning. However. we have more positive results from cooperative learning method. because students have more chance to improve their personal skills. easily solve a problem together and openly express their opinions. Moreover. we found that they understand the subjects and increase their attention much better because they are tested right after learning. We anticipate that the developed teaching aids will be a great help to improv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class.

Keywords

References

  1. 협동학습을 적용한 가정과 수업에 관한 연구 구영순
  2.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인간발달과 가족관계 영역의 학습 지도안 개발 김수현
  3. 미술과 표현활동에서 협동학습의 효율적 지도방안 연구 김영아
  4. 소집단 협동학습 통한 수학과 학습 부진아의 효과적인 지도에 관한 연구 김원걸
  5. 컴퓨터 보조 협동학습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김유정
  6. 초등학교 사회과의 협동학습과 경쟁학습이 자아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 김태우
  7. 소집단 협동학습이 수학교과에 미치는 효과 김효성
  8. 실천문제 해결 수업모형을 적용한 가정과 인간발달과 가족관계 영역의 수업지도안 개발 도난희
  9. 컴퓨터를 활용한 협력학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문기훈
  10. 협동학습과 전통학습이 아동의 인지양식에 따라 학업성취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박수민
  11.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9 no.2 중학교 가정과 교육내용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박일록
  12. 소집단 협동학습이 수학과 학력신장에 미치는 영향 변창수
  13. 협동학습이 학습자의 사회성에 따라 학습태도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서재식
  14. 협동학습이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양낙진
  15.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10 no.1 가정과 수업의 협동학습이 학생의 교과에 대한 흥미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양정혜;신상옥
  16. 집단경쟁과 집단무경쟁 협동학습이 학업성취와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이동원
  17. 수업용 CD-ROM타이틀 제작 및 이를 적용시킨 효과적인 학습 지도안 개발;중학교 1학년 과정 한복입기를 중심으로 이은선
  18. 사회과 학업성취에 대한 협동학습의 효과 연구 정문성
  19. Johnson 학습 방법이 학습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조형식
  2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8 no.1 가정과교육과정 모형에 대한 선호도 채정현
  21. 중등수학 교과과정에서의 협동학습 도입에 관한 연구 한재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