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서비스 소싱 유형 및 전략에 관한 실증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Typology and Sourcing Strategies of Business Services in Korea

  • 노전표 (연세대학교 경법대학 경영학과)
  • Noh, Jean-Pyo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Yonsei University at Won-Ju)
  • 발행 : 2001.07.31

초록

기업 서비스(business services)는 제조업이나 서비스업에 제공되는 산업재적 성격의 서비스로서 서비스 산업에서 매우 빠르게 성장하는 동시에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기업 서비스 분야 연구는 상대적으로 소흘히 다루어져 왔다. Matthyssens and Vandenbempt(1998)는 기존의 서비스 연구 중에서 산업재 서비스의 관리 및 마케팅 연구는 상대적으로 비중이 적다고 하였고, Morris and Davis(1992)와 Moore and Schlegelmilch(1994) 역시 산업재 서비스 마케팅 연구의 부족과 이 분야의 보다 많은 관심과 연구의 필요성을 지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 서비스 소싱 유형 및 전략에 관하여 실증적으로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공급자 충성도가 관여도에 관계없이 공급자 선정 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가격 요인의 영향력이 기대와는 달리 저관여 구매상황에서 미미하였다.

The purchase of business services is a growing activity among finns but with little appreciation that the purchase of a service requires a modification of the decision process developed for the purchase of material goods. A taxonomy for purchasing business services is developed to create a matrix with company involvement and focus of service as dimensions. Business servic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focus on three aspects of the finn: property, people, and core business. Business services are also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mpany involvement: high company involvement and low company involvement. A number of propositions are formulated based on insights derived from this taxonomy. The taxonomy results in six business service cells: facility support, equipment support, employee support, employee development, core business facilitator, and professional. Implications for managers considering a purchase in each category are explored. This study tests the research hypotheses delineated from the classification model and the purchasing process of business services. The strategic implications are suggested based on the findings for each cell of the classification model. This study concludes with a research agenda for further studi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