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mbranous Glomerulopathy Showing Asymptomatic Isolated Microscopic Hematuria Only

무증상의 고립성 현미경적 혈뇨만을 나타낸 막성 사구체병증

  • Kim Se Heui (Departments of Pediatrics, The Institute of Kidney Diseas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Roh Hyun Kyung (Departments of Pediatrics, The Institute of Kidney Diseas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Young-Mock (Departments of Pediatrics, The Institute of Kidney Diseas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Ji Hong (Departments of Pediatrics, The Institute of Kidney Diseas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Pyung-Kil (Departments of Pediatrics, The Institute of Kidney Diseas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Hong Soon Won (Departments of Pathology, The Institute of Kidney Diseas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Jeong Hyun Joo (Departments of Pathology, The Institute of Kidney Diseas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김세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신장질환연구소) ;
  • 노현경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신장질환연구소) ;
  • 이영목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신장질환연구소) ;
  • 김지홍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신장질환연구소) ;
  • 김병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신장질환연구소) ;
  • 홍순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신장질환연구소) ;
  • 정현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신장질환연구소)
  • Published : 2001.10.01

Abstract

Purpose : Membranous glomerulopathy is a glomerular disease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subepithelial immune deposits with thickening of the capillary wall of the glomerulus without inflammatory change. The pathogenesis of membranous glomerulopathy is still unknown. Its incidence is higher in males, and it is rarely found in infants and adolescents. Among the clinical manifestations proteinuria is most common, while edema and hematuria are present. According to reports from other countries, among few patients diagnosed with membranous glomerulopathy by renal biopsy, show isolated microscopic hematuria without the clinical manifestations. Little research in this area has been performed in Korea, and so we conducted retrograde studies on membranous glomerulopathy associated with isolated microscopic hematuria. Materials and Methods : We analyzed retrogradely 109 cases of asymptomatic isolated microscopic hematuria that were diagnosed as membranous glomerulopathy by renal biopsy at Yonsei University Severance hospital from January, 1992 to July, 2001. Results : In 87 of the 109 cases patients were over 15 years old while in 22 cases patients were under 15 at the time of dignosis. Only three patients showed isolated microscopic hematuria without the clinical manifestations and abnormal laboratory findings and they were all male patients under 15 years old. Conclusion : Few cases of the membranous glomerulopathy show only asymptomatic isolated microscopic hematuria However, since membranous glomerulopathy can be found in patients who present with asymptomatic isolated microscopic hematuria only, if adequate indication for renal biopsy is present, we conclude that renal biopsy must be aggresively pursued in order to find the underlying disease. (J Korean Soc Pediatr Nephrol 2001 ; 5 : 196-205)

목 적 : 막성 사구체병증은 1950년에 Bell이 처음 보고한 질환으로 염증반응없이 사구체의 모세혈관벽의 비후를 동반한 상피하면역침착을 특징으로 한다. 발병기전은 명확하게 알려진 것이 없고 발생빈도는 남녀비가 2-3:1 정도로 남성에서 더 많은 빈도를 보이고 모든 연령에서 발병할 수 있으나 유아기와 청소년기에는 드물다. 임상양상은 단백뇨가 가장 흔하며 부종, 혈뇨가 흔한 소견으로 나타나는데, 외국에서의 보고에 따르면, 이런 특이한 임상양상 없이 무증상의 고립성 현미경적 혈뇨만을 보이는 환아에서 신조직검사 결과 막성사구체병증을 보인 경우는 매우 드물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국내에서의 연구 보고는 아직 미미한 상태로, 저자들은 무증상의 고립성 현미경적 혈뇨와 연관된 막성 사구체병증에 대해 후향적 조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2년 1월부터 2001년 7월까지 세브란스병원에서 신조직검사를 통해 막성 사구체병증으로 진단받은 109예를 대상으로 신조직검사 시행 이전에 무증상의 고립성 현미경적 혈뇨만을 나타내었던 증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신조직검사를 통해 막성 사구체병증으로 진단받은 109예 중에서 진단 당시 연령이 15세 이상이었던 경우가 87예 있었고, 15세미만의 경우가 22예 있었다. 이중 임상 양상과 임상 병리검사상 다른 특이 소견 없이, 단지 무증상의 고립성 현미경적 혈뇨만 있었던 경우는 3예로, 모두 15세 미만의 남자 환아들이었다. 결 론 ; 막성 사구체병증은 매우 드물게 무증상의 고립성 현미경적 혈뇨만으로 나타날 수 있다. 단백뇨, 부종, 고혈압, 신기능저하 등과 같은 다른 특이한 임상양상이 없는 무증상의 지속적 고립성 현미경적 혈뇨만을 보이는 환아에서의 신조직검사 결과 막성 사구체병증과 같은 신질환이 발견될 수 있으므로 신조직검사의 적응증에 합당한 경우 적극적인 신조직검사를 시행하여 원인 질환을 찾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