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e Case Study on the Cauda Equina Syndrom

마미증후군 환자 증례보고(症例報告)

  • Kwak, Min-Ah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san University) ;
  • Lee, Eun-Ju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san University) ;
  • Park, Chi-Sa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san University) ;
  • Byun, Joon-Seo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san University) ;
  • Park, Chang-Goo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san University) ;
  • Hwang, Hui-Je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san University)
  • 곽민아 (경산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은주 (경산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박치상 (경산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변준석 (경산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박창국 (경산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황희정 (경산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2001.12.30

Abstract

Cauda Equina Syndrom is caused by compression of nerve root resulted from trauma or neoplasm and so forth in the lumbasacral lesion, so the patients suffer from the incontinence or urgency in urination and feces. We are extended to find out the effect of serveral kinds of Herbal Medicine that administrated to the patient suffering from Cauda Equina Syndrom. This patient was differenciated as defiency of Yang. When administrated Palmijihwang-Hwan gami-Bang, there was dominent improvement in both of symptom and dermatome test. From this case it is thought that Herbal Medicine treatment according to differenciation of symptom is very effective to Cauda Equina Syndrom and that more studies and examinations are needed in futher.

마미증후군으로 진단받은 환자에게 팔미지황환(八味地黃丸)에 가미방(加味方)의 투여 및 침(鍼), 구(灸), 물리치료(物理治療)를 이용한 한방요법으로 하지감각장애(下肢感覺障碍), 보행곤란(步行困難) 및 대소변(大小便) 장애(障碍) 등에 유의할 만한 증상의 호전을 볼 수 있었으며 향후 이에 대한 많은 임상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신경외과학 대한신경외과학회
  2. 정형외과학 v.5 대한정형외과학회
  3. 임상신경진료학 v.1 金枓元
  4. 자연과학연구소논문지 v.3 no.1 Treatment of Cauda Equina injury with Bobath Concept 황병용
  5. 臨床腎系學硏究 杜鎬京
  6. 임상신경국소 진단학 김승민;선우일남;이광수;최경수
  7. 신경과학 아담스 신경과학편찬위원회
  8. 임상신경학 이광우;정희원
  9. 임상신경학 각론 이대희
  10. 대한마취과학회지 v.30 no.2 경막외마취후 발생한 마미증후군 박성희;황선익;김윤기
  11. 대한척추외과학회 v.6 no.3 자가견인 치료 후 발생한 마미증후군을 동반한 추간판 탈출증 김용민;원중희;서중배
  12. 대한재활의학회지 v.23 no.2 척수도수치료 후 발생한 마미증후군 권용욱;김종민
  13. 대한통증학회지 v.8 no.2 척추마취후 발생한 마미증후군과 총비골신경마비 윤경봉;이영복;김순열;이정원
  14. 대한재활의학회지 v.16 no.2 척수손상환자에서의 비뇨기계 합병증 권순호;이강목
  15. 대한재활의학회지 v.22 no.5 척수 손상 환나의 퇴원 후 신경인성 방광 관리방식의 변화 임준경;방덕영
  16. 대한재활의학회지 v.17 no.1 척수 손상환자에서 방광의 과대팽창으로 인한 문제점에 대한 고찰 나은우;황경상
  17. 대한재활의학회지 v.15 no.3 척수 손상환자의 요로감염 및 Leukocyte Esterase와 Nitrate 검사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이은자;나은우
  18. 圖光醫科學 v.10 척수 손상에 의한 신경인성 방광관리에 대한 연구 이석재;박동식
  19. 대한비뇨기학회지 v.39 no.10 척수손상으로 인한 排尿筋 過反射에서 Oxybutynin에 反應하지 않는 환자군에서의 방광내 Resinioferatoxin(RTX) 투여의 초기 경험 임용수;김형곤;박원희
  20. 대한재활의학회지 v.15 no.2 EMG Biofeedback을 이용한 철수수막류 환자의 배변실금 치료에 대한 1례보고 박찬일;손민균
  21. 標準臨床方劑學 裵秉哲
  22. 方劑學 李尙仁
  23. 方劑學 康舜洙;盧昇鉉;李尙仁
  24. 八味元이 性機能과 抗疲勞에 미치는 영향 김상우
  25. 八味丸이 腎性高血壓에 미치는 영향 김수옥
  26. 右歸飮과 八味地黃湯 煎湯液 투여가 家兎 腎臟機能 및 血漿 Aldostreone 濃度에 미치는 영향 姜仁壽
  27. 慶熙醫學 v.11 藿香正氣散 및 八味地黃湯이 Gentamicin Sulfate로 유발된 白鼠의 腎細尿管에 미치는 영향 두호경;조동현;안세영
  28. 六味地黃元과 腎氣丸이 생쥐의 성숙도에 따른 배란과 수정란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신민숙
  29. 八味元이 streptoxotocin으로 유발한 실험적 당뇨 백서에 미치는 영향 신정연
  30. 八味地黃湯이 Thiourall로 유발된 흰쥐의 갑상선기능저하증에 미치는 영향 閔庚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