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TIVATOR-HEADGEAR COMBINATION THERAPY IN CASE WITH CLASS II MALOCCLUSION CHILDREN

성장기 아동에서 Activator-Headgear를 이용한 II급 부정교합의 치험례

  • Cho, Young-Ju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Oral Biology Research Institute,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Lee, Chang-Seop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Oral Biology Research Institute,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Song, Gwang-Chul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Oral Biology Research Institute,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Jung, Hyun-Ku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Oral Biology Research Institute,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Lee, Sang-H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Oral Biology Research Institute,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조영준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구강생물학연구소) ;
  • 이창섭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구강생물학연구소) ;
  • 송광철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구강생물학연구소) ;
  • 정현구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구강생물학연구소) ;
  • 이상호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구강생물학연구소)
  • Published : 2001.08.31

Abstract

Maxilla overgrowth who diagnosis with skeletal Class II division 1 have transverse and also sagittal problem. If maxillary growth vector is direction to anterior inferior, mandible is rotation to clockwise pattern and it disturbance it's anterior growth. At this time, treatment goal is restrict of maxillary growth to accomplish ideal intermaxillary relation and one of treatment choice is the application of extraoral force. This report is 3 case treated by activator and headgear combination therapy, who diagnosed with skeletal Class II div. 1 malocclusion.

골격성 II급 1류 부정교합을 가지는 아동에서 상악골의 과도한 성장은 흔히 전후방적 요소 뿐 아니라 수직적 요소도 가지고 있는데, 그 이유는 상악골이 전하방으로 성장, 이동할 경우 하악골이 후하방 회전하기 때문이며, 하악골의 성장이 전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방해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치료목표는 하악골이 더욱 돌출 되어 상악골과 정상적인 관계를 가지도록 성장하는 동안 상악골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구외력을 적용하는 것이 현명한 방법으로 보고되고 있다. 조선대학교 소아치과에 내원한 골격성 II급 1류 부정교합 환자에서 C II activator와 headgear를 이용한 구외력을 적용후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