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DISTAL MOVEMENT OF UPPER MOLAR USING THE PENDULUM APPLIANCE

Pendulum 장치의 상악대구치의 원심이동에 대한 효과

  • Lee, Chang-Seop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Oral Biology Institute,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Kim, Jae-Gwa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Oral Biology Institute,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Kang, Dug-Il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Oral Biology Institute,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Song, Kwang-Chul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Oral Biology Institute,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Jung, Hyun-Ku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Oral Biology Institute,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Lee, Sang-H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Oral Biology Institute,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이창섭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구강생물학연구소) ;
  • 김재광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구강생물학연구소) ;
  • 강덕일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구강생물학연구소) ;
  • 송광철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구강생물학연구소) ;
  • 정현구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구강생물학연구소) ;
  • 이상호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구강생물학연구소)
  • Published : 2001.08.31

Abstract

Treatment of class II malocclusions require distalization of maxillary molars into class I relationship. Intraarch distal molar movement techniques have recently assumed an important role in young patients. In this study, the dental and skeletal effects of the pendulum appliance were evaluated by means of cephalometric radiographs. The samples were consisted of 19 patients: 11 females and 8 males, mean age $11.68{\pm}1.52$ years. Measurements were obtained from cephalometric prior to and the day of removal of the pendulum appliance. Treatment changes were analyz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 1. The pendulum appliance produced $2.94{\pm}1.54mm$ distal molar movement with a mean intrusion of $1.17{\pm}0.97mm$, mean period $18.13{\pm}7.95$ weeks. 2. The anchor tooth was $1.34{\pm}1.40mm$ forward movement and $0.48{\pm}0.99mm$ extrusion, and labial tilting of incisors. 3. The angle between palatal plane and mandibular plane increased significantly. 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ording to 2nd molar position. 5. Total movement was consisted of 74% distal movement of 1st molar and 26% forward movement of the anchor tooth.

II급 치성교합을 가진 환자에서는 I급 구치부 교합관계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악 대구치의 원심이동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pendulum장치를 이용한 상악 대구치의 원심이동시 대구치의 이동양상과 고정원의 전방이동 및 정출정도 등 치아와 골격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상악 제1대구치를 원심이동시켜 I급 구치관계가 형성된 19명의 환자(남: 8명, 여: 11명, 평균연령 $11.68{\pm}1.52$세)에서 장치 장착 전과 장치제거 직후에 얻어진 측면두부방사선사진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I급 교합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 제1대구치는 평균 $2.94{\pm}1.54mm$ 원심이동하였으며, $1.17{\pm}0.97mm$ 함입되었고, 소요기간은 평균 $18.13{\pm}7.95$일이었다. 2. 고정원으로 사용된 치아는 $1.34{\pm}1.40mm$로 유의하게 전방 이동하였으며, $0.48{\pm}0.99mm$ 정출되었다. 또한 절치는 유의한 전방이동 및 순측경사가 발생하였다(P<0.05). 3. 구개평면과 하악평면이 이루는 각은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05) 4. 제 1소구치 또는 제 1유구치가 고정원으로 이용된 경우 제2소구치 또는 제2유구치가 이용된 경우 보다 전방이동이 증가하였다(P<0.005) 5. 제2대구치의 발육단계에 따른 제1대구치 및 제2대구치의 이동양상은 어떤 항목과도 유의성이 없었다(P<0.05). 6. 얻어진 총 공간 중 74%는 제1대구치의 원심이동이, 26%는 소구치의 전방이동에 의하여 얻어졌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pendulum appliance는 상악 대구치의 원심이동에 매우 효과적이었으며, 고정원의 소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2유구치 또는 제 2소구치가 포함되어야 한다. 또한 제1대구치의 원심경사는 필연적으로 일어나며,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