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의 최대개구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MAXIMUM MOUTH OPENING IN CHILDREN

  • 백병주 (전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
  • 김상훈 (전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
  • 양연미 (전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
  • 김재곤 (전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 Baik, Byeong-Ju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nd Institute of Oral Bioscience, School of Dentist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Sang-Hoo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nd Institute of Oral Bioscience, School of Dentist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Yang, Yeon-Mi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nd Institute of Oral Bioscience, School of Dentist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Jae-Go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nd Institute of Oral Bioscience, School of Dentist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1.11.30

초록

최근에 측두하악장애 (Temporomandibular Disorder, TMD)는 해마다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측두하악장애는 저작근, 측두하악관절 및 그와 관련된 구조물의 많은 임상증상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용어이다. 측두하악장애로 치과에 내원하는 환자는 여정이 많으며, 각 연령별 분포에서 보면 10대 후반에서 20대 후반에 호발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호발연령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에 측두하악장애의 조기진단의 필요성이 요구되어지며, 본 논문에서는 진단의 한 방법으로 간편하면서 쉽게 시행할 수 있는 최대개구량을 측정하였다. 최대개구량에 관한 여러 보고가 있지만, 소아기의 전 연령을 대상으로 광범위하게 조사된 보고는 희귀하다. 이에 저자는 4세부터 13세까지 1775명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최대개구량을 측정하였으며, 최대개구량과 연령, 신장, 체중에 관한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악관절장애 진단의 기초적인 참고자료로 이용하고자한다. 본 연구에서는 4세에서 13세까지의 1775명(남자943명, 여자832명)을 대상으로 최대개구량과 연령, 신장, 체중의 상관관계에 관한 비교분석을 시행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4세에서 12세까지의 연령군중 4세, 8세, 12세의 평균 최대개구량을 보면 남자의 경우 각각 40.16mm, 47.32mm, 50.54mm였고, 여자의 경우 각각 39.79mm, 44.85mm, 48.09mm였다. 2. 연령 이 증가함에 따라 최대개구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남자가 여자보다 큰 측정치를 보였다. 3. 신장이 증가함에 따라 최대개구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105cm 이상 115cm 미만을 제외하고는 남자가 여자보다 큰 측정치를 보였다. 4. 체중이 증가함에 따라 최대개구량은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모든 군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큰 측정치를 보였다. 5. 최대개구량과 연령, 신장, 체중간의 관계에서 유의한 순상관 관계를 보였으며, 신장이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Recently, tempormandibular disorder(TMD) shows an tendency to increase every year. TMD is a collective term embracing a number of clinical problems that involve the masticatory musculature, temporomandibular joint(TMJ) and associated structures, or both. TMD, viewed in distribution of age, often occurred from late teens to late twenties. But recently, the age of occurrence tends to be lower. Accordingly, early diagnosis of tempormandibular disorder is very important.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maximum mouth opening which is simple and easy to carry out as a way of TMD diagnosis. In this study, the maximum mouth opening was examined for 1,775 children from 4 to 12 years of age. We compa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ximum mouth opening with the age, height, and weight.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ean maximum mouth openings of 4, 8, and 12 year of age were respectively 40.16mm, 47.32mm, 50.54mm for male, 39.79mm, 44.85mm, 48.09mm for female. 2. The maximum mouth opening increased with age, and the values were greater in male than in female. 3. The maximum mouth opening increased with height, and the values were eater in male than in female except between 105cm and 115cm 4. The maximum mouth opening increased with weight, and the values were eater in male than in female. 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ximum mouth opening with the age, height, and weight was all significant, and height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