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주요 도로변의 토양오염 조사 - I. 중랑구 망우로 주변 토양 -

Investigation of Soil Contamination at Major Roadside in Seoul - I. Manguro in Chungnanggu -

  • 김권래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
  • 류형주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
  • 정종배 (대구대학교 생명과학부 농화학전공) ;
  • 김계훈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 Kim, Kwon-Ra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Horticulture, The University of Seoul) ;
  • Ryu, Hyung-Ju (Department of Environmental Horticulture, The University of Seoul) ;
  • Chung, Jong-Bae (Department of Agricultural Chemistry, Daegu Univ.) ;
  • Kim, Kye-Hoo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Horticulture, The University of Seoul)
  • 발행 : 2001.05.31

초록

본 연구는 서울시 주요 도로변 토양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 중금속 및 음이온 함량 등의 자료를 구축할 목적으로 서울시 중랑구 망우로 주변 50지점을 선정하여 가로수 식수대 내의 표토, 심토의 시료를 채취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토성은 사양토와 양질사토가 주를 이루었다. 평균 토양 $_PH$는 표토 7.53, 심토 7.54로 약알칼리성을 나타내었다. Ca 함량은 표토 6.02 cmol $kg^{-1}$, 심토는 5.68 cmol $kg^{-1}$로 다소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중금속 농도의 평균값은 토양환경보전법상의 우려기준을 초과하지는 않았으나 서울시 근교 도시림의 중금속함량 보다는 상당히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일부 조사지점의 Cu 및 Pb의 농도가 토양환경보전법상의 우려기준을 초과하여 정밀조사 및 오염 확산 방지를 위한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Zn의 농도는 서울 근교 도시림의 Zn농도에 비해 최고 80배가 넘는 수치를 나타내었다. 음이온의 농도는 Cl, $NO_3$, $SO_4$가 표토에서 각각 79.85, 286.80, 134.31 mg $kg^{-1}$로 서울근교 도시림의 평균 음이온 함량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치를 보였으나 그로 인한 토양 산성화의 경향은 보이지 않았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contamination of the soils around the major roadsides in Seoul and to accumulate base-line data. Fifty topsoils ($0{\sim}5$ cm) and 48 subsoils ($20{\sim}50$ cm) were collected from 50 sampling sites near Manguro in Chungnanggu. The samples were air-dried, passed through 2-mm sieves, and analyzed to determin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Cd, Cu, Pb, Zn) and anions (Cl, $NO_3$, $SO_4$). Soil textures of top- and subsoils were mainly loamy sand and sandy loam, respectively. Average $_PH$ of top- and subsoil was approximately 7.5,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forest soils in Seoul. Average heavy metal contents were lower than the levels allowed by the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of Korea, whereas much higher than those of the forest soils. Contents of some heavy metals were higher than the maximum allowed levels. Anion concentrations were also much higher than those of the forest soils. A careful management to prevent the aggravation of the present contamination level and the diffusion of contaminants is recommend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