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기계호흡시 생존 예측 인자 분석

Outcomes of Patients with COPD Requring Mechanical Ventilation

  • Baik, Jae-Jo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National Medical Center) ;
  • Kim, Sang-Chu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National Medical Center) ;
  • Lee, Tae-Ho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National Medical Center) ;
  • Chung, Yeon-Ta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National Medical Center)
  • 발행 : 2000.08.30

초록

배경 :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호흡부전에 의해 기계호흡을 시행하게 되는 경우 그 결과에 관한 성적 및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지난 10년간 국립의료원 내과에서 기계호흡을 받았던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 44명에서 총 53차례의 기계호흡을 대상으로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기계호흡으로부터 이탈 성공률 및 생존군의 3개월과 1년 생존률을 각각 구하였으며 기계호흡에서 성공적으로 이탈하여 생존한 환자군과 이탈하지 못하고 사망한 환자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여 사망 또는 생존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를 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3개월 시점과 1년 시점에서의 생존군과 사망군을 비교하여 생존과 관련있는 인지를 확인해 보았다. 결과 : 총 44명의 환자가 53차례의 기계호흡을 받았는데 이 중 55%인 29례가 이탈에 성공하여 생존하였으며 나머지는 기계호흡과 관련하여 사망하였다. 기계호흡 당시 환지들의 연령은 평균 74세 (51-89세)였으며, 남자수는 19명에서 총 22차례, 여자는 25명에서 31차례였다. 생존군과 사망군의 비교에서 나이, 성별, 동반 질환, 이전 스테로이드 사용 여부, 호흡부전의 원인, 심전도상 우심설비후, 부정맥, 혈중 알부민 수치, ABGA 결과, $FEV_1$ 기계호흡 기간 기계호흡 중 스테로이드 사용 여부 등은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APACHE II score 의 경우만 생존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29례 생존군의 추적 결과를 보면 3개월 생존이 17례로 61%이고 1년 생존은 9례로 37% 였다. 3개월 생존과 관련한 인자를 보면 3개월 시점에서의 생존군이 사망군에 비해 연령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혈중 알부민 수치는 유의하게 높았다. 1년 시점에서의 결과도 마찬가지였다.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두 가지 인자를 조합하여 생존군을 분류해 보았을 때 연령이 75세 미상이고 알부민 수치가 3g/dl 미만인 경우 1년 시점에서 생존자가 한 명도 없었다. 결론 :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기계호흡시 이탈 성공은 APACHE II score와 관련이 있으며 장기 생존은 환자의 연령과 영양상태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Background : The decision to institute mechanical ventilation for patients with COPD is very difficult. The accurate information regarding weaning success and long-term survival will improve communication with patients and family and enhance informed consent.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describe outcomes and identify variables associated with survival for patients experiencing mechanical ventilation with an acute respiratory failure of COPD. Methods : The 53 cases of mechanical ventilation in the intensive care unit in the National Medical Center from 1989 to 1998 were included. Data were collected retrospectively from medical records. Weaning success rate and 3 month and 1 year survival rates were estimated. Factors associated with weaning success and survival were determined. Results : Weaning sucess was 55%. For success group with 29 cases, 3 months survival rate was 61% and 1 year survival rate 37%. APACHE II scores in weaning success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the failure group. Factors such as age, sex, comorbid-illnes. previous steroid use, causes of respiratory failure, RVH or arrhythmia on EKG, serum albumin level, arterial blood pH, $PaO_2$, $PaCO_2$, $FEV_1$ duration of mechanical ventilation and steroid use during mechanical ventilation were not associated with weaning success. Only age and serum albumin level were associated with 3 month and 1 year survival. No COPD patients of age more than 75 years and serum albumin level less than 3g/dl had survived at 1 year after weaning success. Conclusion : While weaning success from mechanical ventilation can be predicted by APACHE II score in COPD patients, long-term outcomes of survivors may be influenced by nutritional status and ag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