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nical Characteristics of Pulmonary Tuberculosis Presenting Prolonged Fever Despite Primary Short-Course Anti-tuberculosis Treatment

1차 항결핵약제 치료 후에도 지속적으로 발열을 보인 폐결핵 환자의 임상상

  • Kim, Eun-Ky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Hwang, Jung-Hwa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Song, Kun-Sick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Lim, Chae-Ma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Lee, Sang-D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Koh, Youn-Suc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Kim, Woo-S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Kim, Dong-So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Kim, Won-D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 Shim, Tae-Su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 김은경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황정화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방사선과학 교실) ;
  • 송군식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방사선과학 교실) ;
  • 임채만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이상도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고윤석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김우성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김동순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김원동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 심태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내과학교실)
  • Published : 2000.08.30

Abstract

Background : Usually fever subsides within one week in over 90% of pulmonary tuberculosis (TBp) patients after the start of short-course anti-tuberculosis therapy, but occasionally it persists over two weeks after treatment. When the fever persists, drug resistance, combined infection, or drug fever, and so on, are considered as an etiology and, in some cases, drugs are changed. But inadvertent discontinuation of a short-course regimen inevitably will extend the duration of treatment, and the treatment completion may be delaye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prolonged fever (PF) and to identify the predictors of PF in drug-susceptible TBp patients in Korea. Method : Five hundred-ninety-eight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Asan Medical Center from January 1996 to March 1999, diagnosed with TBp and prescribed short-course, anti-tuberculosis treatment, were reviewed. PF was defined as having fever over two weeks despite treatment. The causes of PF were analyzed. Drug-sus-ceptible TBp patients who presented no causes for PF, except turberculosis itself, were selected(n=22), and they were compared with those who had no fever at diagnosis (n=22) and those who had fever at diagnosis, which had subsided within two weeks after treatment (n=22). Clinical, laboratory, and radiological parameters were compared among the three groups. Results : Twenty-eight (4.8%) of 598 patients showed PF over two weeks despite short-course treatment. The causes of PF were drug fever (n=2), multi-drug resistant tuberculosis (n=3), disseminated Mycobacterium kansasii infection (n=1), and drug-susceptible tuberculosis itself (n=22). The patients with PF had more risk factors for tuberculosis, long duration of symptoms before treatment, night sweats, weight long, numerous acid fast bacilli on sputum smear, anemia, hyponatremia, hypoalbuminemia, over three lung cavity numbers and extensive infiltration, indicating that they had prolonged and extensive lung diseases. Conclusion : The main cause of PF in TBp despite short-course regimen seems to be drug-susceptible but extensive disease in Korea. Any changes to the drug regiment provided for TBp patients with prolonged fever despite treatment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연구배경 : 발열은 폐결핵 환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임상증상 중 하나로서, 4제 병합 1차 항결핵요법($6HREZ_2$) 시작 후 90% 이상에서 1주 이내에 열이 소실되며, 2주 이상 지속되는 경우는 드문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치료 후에도 열이 지속되는 경우 일부에서는 다른 감염의 동반, 약제 내성, 또는 약제열 등을 의심하여 조기에 약제를 변경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치료기간이 연장되기도 한다. 아직 약제내성율이 높은 국내의 현실에서 치료에도 불구하고 열이 지속되는 폐결핵 환자의 원인 및 임상상을 알아보고, 적절한 치료지침을 만들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법 : 1996년 1월부터 1999년 3월까지 서울중앙병원에 입원하여 폐결핵으로 진단된 후 4제 병합 1차 항결핵요법을 시작한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조사하였다. 2주 이상 열이 지속된 환자를 대상으로 지속적 발열의 원인을 조사하였고, 이 중에서 지속적 발열의 다른 원인이 없으며 약제감수성인 환자를 "지속적 발열군"으로 정하였다 (22명). 진단 당시 발열이 없었던 환자(비발열군)와 치료 시작 후 2주이내에 열이 소설된 환자(열소실군)에서 무작위로 같은 숫자의 환자를 추출하여 각 군간에 임상상 및 검사소견을 비교하였다. 결과 : 598명의 폐결핵환자 중 28명 (4.8%)에서 치료에도 불구하고 2주 이상 열이 지속되었다. 134명 (22.4%)은 2주 이내에 열이 소설되었으며, 435명(72.7%)은 진단 당시부터 열이 없었다. 2주 이상 열이 지속된 28명 중 2명은 약제열, 3명은 다제내성결핵, 그리고 l명은 Mycobacterium kansasii 감염이 지속적 발열의 원인이었다. 나머지 22명은 약제감수성이면서 결핵 자체이외의 다른 발열의 원인이 없었다. 지속적 발열군은 비발열군 및 열소실군에 비하여 결핵발병의 위험인자가 많았고, 중성구의 증가 및 임파구의 감소와 빈혈 소견이 많았으며, 혈청단백질, 알부민 및 나트륨이 감소되어 있었고, 흉부방사선 소견상 폐침윤의 범위가 넓었으며, 3개 이상의 공동이 존재하는 빈도가 더 높아서, 장기적이고 진행된 폐결핵임을 시사하였다. 결론 : 아직 결핵의 유병율 및 약제 내성율이 높은 국내의 현실에도 불구하고 1차 항결핵약재 치료 후 지속적 발열의 주된 원인은 약제 내성보다는 진행된 폐결핵 자체가 원인이었다. 약제내성의 위험인자가 없고 진행된 폐결핵의 경우에는 성급한 약제변경에 신중을 기하여야 하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