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on of Community Health Education Program by Newsletter

건강정보소식지를 이용한 지역사회 건강증진 교육프로그램의 평가

  • Sohn, Seok-Joo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honnam University of Medical School and The Research Institute of Medical Science) ;
  • Shin, Jun-Ho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honnam University of Medical School and The Research Institute of Medical Science) ;
  • Rhee, Jung-Ae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honnam University of Medical School and The Research Institute of Medical Science)
  • 손석준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및 전남대학교 의과학연구소) ;
  • 신준호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및 전남대학교 의과학연구소) ;
  • 이정애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및 전남대학교 의과학연구소)
  • Published : 2000.12.30

Abstract

This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impact of health newsletter and related factors in the rural area. The Subjects were 354 individuals of 45 years of age and over, living in Chonnam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225 surveyed persons (64%) recognized the health newsletter, and 196 persons (55%) read it least once and more. Newsletter-recogniton related factors were sex and age. Newsletter-reading related factors were chronic disease and sex. And Newsletter-reading pattern was determined by age and education level. 147 persons(75.8%) reported that they had got the important health information from newletter, and 76 persons(39.8%) reported the behavior change. The quiz scores of hypertension and health care in summer were higher in the persons of newsletter-recognition than in persons of non-recognition. The quiz score of hypertension was not higher in newsletter reader than non-reader, but that of health care in summer was higher in newsletter reader than in non-reader.

전라남도 남해안에 인접한 일개 군의 45세 이상 보건지소 이용자 354명을 대상으로 건강 정보 소식지 노출도와 도움여부, 고혈압 및 여름철 건강관리와 잔은 건강관리지식을 조사하여 교육홍보의 효과와 관련, 요인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중 소식지를 인지하고 있는 사람이 225명(64%)이고 구독자가 196명(55%)였다. 2. 소식지의 인지에 영향융 주는 요인은 성과 연령이었다. 여자는 비차비가 0.63으로 남자에 비해 소식지에 대한 인지정도가 낮았다. 또 55-64세 구간의 비차비가 0.53이고, 65-74세 구간은 0.43, 75세 이상 구간은 0.32로 연령이 증가할 수록 소식지에 대한 인지정도가 낮았다. 3. 소식지의 구독에 영향을 추는 인자는 만성 질환과 연령이었다. 만성질환자의 비차비가 0.41로 일반주민에 비해 소식지를 실제로 구독하는 비율이 낮았다. 또 55-64세 구간은 비차비가 2.26이고 65-74세 구간은 3.48로 소식지의 구독률은 연령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4. 소식지의 읽는 습관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교육과 연령이었다. 중학교이상의 비차비가 2.14이고 전문대이상의 비차비가 9.91로 교육정도가 증가할 수록 끝까지 읽는 사람의 비율이 증가하였고, 또 55-64세의 비차비가 0.12이고 65-71세 구간은 027, 75세 이상 구간은 0.18로 연령증가에 따라 끝까지 읽는 사람의 비율은 줄어들었다. 5. 소식지가 도움된다고 응답한 사람은 147명(75.8%)이고, 소식지를 읽고 생활행태의 변화가 있었다고 응답한 사람은 76명 (39.8%) 이었다. 6. 소식지를 인지하고 있는 사람은 고혈압, 여름철 건강관리 점수가 각각 5.6점과 6.3점으로 모르는 사람의 4.8점과 5.7점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5). 7. 소식지 구독자의 고혈압 점수는 5.7점으로 비구독자의 5.4와 큰 차이가 없었으나 여름철 건강관리는 구독자에서 6.5점으로 비구독자의 5.1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5).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전남대학교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