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asang Constitution by using BDI and STAI

Beck 우울척도, 상태-특성 불안척도를 이용한 사상인(四象人)의 심리특성에 대한 연구

  • Seo, Woong (Dept.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o Suk University) ;
  • Kim, Lak-hyung (Dept. of Oriental Neuropsychiatr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o Suk University) ;
  • Kwon, Bo-hyung (Dept. of Oriental Neuropsychiatr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o Suk University) ;
  • Song, Jeong-mo (Dept.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o Suk University)
  • 서웅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의학과) ;
  • 김락형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신경정신과) ;
  • 권보형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신경정신과) ;
  • 송정모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의학과)
  • Published : 2000.06.30

Abstract

1. Purpose of study : In Oriental Traditional medicine, especially 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the mind and the body are not separate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re very important as well as physical characteristics 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asang Constitution. 2. Subjects and Methode of Study : Subjects were 63 persons. There were male 54 and female 9 who were healthy. There were Taeumin 35, Soumin 17, and Soyangin 11. We judged Sasang Constitution in QSCC II and the diagnosis by a medical specialist. The degree of depression and anxiety was determined by Beck's Depression Inventory(BDI) and State-Trait Axiety Inventroy(STAI, State Anxiety : S-A, Trait Anxiety : T-A). We studied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 Depression and Anxiety - in the Sasang Constitution by analyzing BDI and STAI scores. 3. Result of study : 1) The score of STAI(S-A) in Soeumin(少陰人)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aeumin(太陰人) group. 2) The score of STAI(T-A) in Soeumin(少陰人)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aeumin(太陰人) group and Soyangin(少陽人) group. 3) The score of BDI in Soeumin(少陰人) group was higher than that in Taeumin(太陰人) group and Soyangin(少陽人) group, but it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4. Conclusion of study These result suggest that Soeumin(少陰人) is more anxious than Soyangin(少陽人) and Taeumin(太陰人).

1. 연구배경 및 목적 한의학 특히 사상의학에서는 인체를 정신과 신체로 이원화하지 않고 하나의 통합된 체계로 인식되어 왔으며, 사상체질 임상에 있어서 정신의학적 측면들의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에 저자는 사상체질별 심리적 상태의 객관적 접근을 위하여 임상심리검사를 이용하여, 불안, 우울 성향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 연구방법 설문지와 임상적 진단을 거쳐 체질이 최종적으로 분류된 건강한 성인남녀 63명-남자 54명, 여자 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태음인 35명, 소음인 17명, 소양인 11명이었다. Beck 우울척도(BDI)와 상태-특성 불안척도(STAI, 상태불안 : S-A, 특성불안 : T-A)를 사용하여 우울과 불안의 성향을 측정하였다. 3. 연구결과 1. 상태불안척도를 이용하여 사상체질별 불안에 대한 비교의 결과, 소음인, 태음인, 소양인의 순서로 불안의 성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음인 태음인의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특성불안척도를 이용하여 사상체질별 불안에 대한 비교의 결과 소음인, 태음인, 소양인의 순서로 불안의 성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태음인 소음인 체질간과 소음인 소양인 체질간의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Beck 우울척도를 이용하여 사상체질별 우울에 대한 비교의 결과 소음인, 태음인, 소양인의 순서로 우울 성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사상의학 고병희(등)
  2. 사상의학원론 홍순용;이을호
  3. 심리척도 핸드북 I 고려대학교 부설 행동과학연구소(編)
  4. 의학, 보건학 통계분석 안재억;유근영;이중환
  5. 사상체질의학회지 v.11 no.2 四象體質 診斷法의 文獻的 考察 鄭元敎;金種元
  6. 대한한의학회지 v.6 no.1 사상체질변증에 대한 소고 고병희;송일병
  7. 대한한의학회지 v.8 no.1 사상체질변증 방법론연구 고명희;송일병
  8. 사상의학회지 v.5 no.1 사상체질분류검사지(QSCC)의 타당화 연구 김선호;고병희;송일병
  9. 사상의학회지 v.6 no.1 설문지를 이용한 체질감별방법의 신뢰도에 관한 연구 김달래
  10. 사상의학회지 v.8 no.1 사상체질분류검사지(QSCC)의 표준화연구 김선호;고병희;송일병
  11. 사상의학회지 v.8 no.1 사상체질분류검사지(QSCC II)의 타당화연구 이정찬;고병희;송일병
  12. 사상의학회지 v.5 no.1 사상체질분류검사의 준거타당화 연구 이정찬;고병희;송일병
  13. 사상의학회지 v.10 no.1 四象體質診斷의 客觀化 硏究에 대한 現況 및 展望 宋一炳
  14. 사상의학회지 v.3 no.1 알콜리즘患者의 人格特性에 關한 豫備 硏究 金種佑;金知赫;黃義完
  15. 대한한의학회지 v.14 no.1 사상체질별 성격요인분석에 관한 연구 고병희
  16. 대한한의학회지 v.15 no.1 사상체질검사(QSCC)와 다면적인성검사(MMPI)의 비교분석을 통한 사상체질감별과 사상체질별 인격특성에 관한 고찰 고병희(등)
  17. 사상의학회지 v.9 no.2 사상체질과 최면반응성에 관한 연구 박희관;이종화
  18. 사상의학회지 v.10 no.2 이제마의 사상체질과 융의 심리학적 유형간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박희관;이종화
  19. 신경정신과학 대한신경정신의학회(編)
  20. 精神病理學 v.4 no.1 한국판 Beck 우울척도의 표준화 연구 이민규(등)
  21. 신경정신의학 v.25 no.3 산전 및 산후의 정서변화 연구 홍종문;송수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