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linical Applicability of Transoral Transpharyngeal Approach to the Craniovertebral Junction Lesions

두개 경추 이행부의 병소에 대한 경구적 접근법의 유용성

  • Cho, Tae Goo (Department of Neuro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Park, Kwan (Department of Neuro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Cho, Yang-Sun (Department of Neuro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Baek, Chung-Hwan (Department of Neuro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Nam, Do Hyun (Department of Neuro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im, Jong Soo (Department of Neuro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Hong, Seung-Chyul (Department of Neuro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Shin, Hyung Jin (Department of Neuro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Eoh, Whan (Department of Neuro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im, Jong Hyun (Department of Neuro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조태구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신경외과학교실) ;
  • 박관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신경외과학교실) ;
  • 조양선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신경외과학교실) ;
  • 백정환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신경외과학교실) ;
  • 남도현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신경외과학교실) ;
  • 김종수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신경외과학교실) ;
  • 홍승철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신경외과학교실) ;
  • 신형진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신경외과학교실) ;
  • 어환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신경외과학교실) ;
  • 김종현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신경외과학교실)
  • Received : 1999.09.02
  • Accepted : 1999.11.17
  • Published : 2000.03.28

Abstract

Objective : Although transoral transpharyngeal approach is a very useful method for the lesions of craniovertebral junction, it is not frequently used because of anatomical unfamilarity, risk of cerebrospinal fluid(CSF) leakage, and resultant postoperative meningiti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transoral transpharyngeal approach for various lesions of craniovertebral junction,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he results of this approach are investigated. Methods : Transoral transpharyngeal approaches were performed in eight cases between 1996 and 1999. Among them, there were three basilar invaginations due to congenital anomalies, two odontoid type I fractures, two atlantoaxial dislocations, and one pseudotumor. Surgical methods included five cases of anterior decompression and posterior fusion, two anterior approaches for decompression and one transoral approach for biopsy. Results : This procedure allowed immediate clinical improvement in all cases. In seven patients with preoperative motor deficit showed a progressive neurological improvement. The follow-up plain x-rays demonstrated successful bony fusion in all patients. Only one patient suffered from postoperative wound dehiscence, but she completely recovered after wound revision. There was no complication of postoperative CSF leakages. Conclusions : Transoral transpharyngeal approach for the ventral lesions of craniovertebral junction, can be used as a relatively simple and effective method.

목 적 : 경구적 접근법은 두개 경추이행부의 병소에 대한 유용한 접근방법이나 신경외과 의사에게는 비교적 친숙하지 않은 해부학적 구조물과 뇌척수액 누출로 인한 뇌막염의 위험성으로 인하여 많이 사용되지 않고 있다. 본원 신경외과에서는 다양한 두개 경추이행부의 병변에 대한 경구적 접근법을 시행하였으며, 수술 방법에 따른 결과 및 이의 적응증에 대해 발표하고자 한다. 방 법 : 1996년 9월부터 1999년 4월까지 총 8예의 환자에서 경구적 접근법을 시행하였다. 3명의 환자에서 선천성 기형에 의한 두개저 함입이 있었고, 2명에서는 외상성 치상돌기 골절, 2명에서는 외상성 환축추탈구, 1명에서는 비인두부위 가양성 종양을 동반하였다. 5명의 환자에서 전방 접근법 시행후 후방 골유합술을 시행하였다. 결 과 : 환자 전 예에서 양호한 결과를 보였으며 수술전 사지의 부진마비가 있었던 환자에서는 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 신경학적 호전을 보였으며, 골유합술을 시행하였던 5예에서 성공적인 골유합이 관찰되었고, 연구개를 절개하였던 환자 4명중 1명이 창상 열개를 보여 재수술로 상처 치유가 가능하였다. 뇌척수액 누수는 한 예에서도 발생하지 않았다. 결 론 : 경구적 접근법은 두개 경추 이행부의 병소에 대한 유용한 접근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